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전통마을숲 전국 데이터
전통마을숲_전국
- 전통마을 숲 위치도
산림휴양/복지
데이터 제공 포맷
json / zip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184.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1982 / 다운수 143
2
데이터 상품 정보 |
---|
■ 상품 설명 및 특징
- 공간 범위 : 전국 (2019년 기준 데이터 제공)
- 파일형식 : ALL.shp(shp, shx, dbf, prj)
- 제공파일형식 : zip파일
- 파일타입 : point
- 좌표계 : 단일평면직각좌표계 UTM-K (100000, 200000), EPSG:5179
* 숲문화의 보전과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개선 등을 위하여 마을 주변에 조성·관리하는 산림과 수목
* 2003년부터 산림청에서 마을숲을 조성관리
|
데이터 키워드 |
---|
전통마을. 숲, 마을, 수종명, 임상명, 역사, 문화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시선아이티 | 2019-11-22 | 2023-12-20 | 20191214 ~ 99991231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변경시 | json/zip | 다운로드 | 184.00 KB |
객체ID | 이력관리번호 | 전통마을숲명 | 소재지명 | 주요수종명 | 주요임상명 | 역사조사내용 | 문화조사내용 | 구역면적 |
318 | 1122 | 고정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고평리 795임 | 소나무 | 침엽수림 | 고려말 정씨가 이주하여 마을을 형성 하면서부터 조성된 숲으로서 마을 수구막이가 되고 있으며 마을의 상징이 되고 있음 | 마을주변 경관숲으로 생활환경 정화에 좋은 여건이 되고 있으며 여름철 주민들의 휴식공간과 놀이공원으로도 활용되고 있음 | 0.19 |
319 | 1131 | 마륜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고평리 144임 | 소나무 | 침엽수림 | 조선 숙종때 서씨가 정착할때부터 형성된 숲으로 마을의 수구막이가 될뿐만아니라 풍치림으로도 활용되고 있음 | 여름철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으며 마을 경관숲으로도 가치가 높고 마곡제 낚시동호인들의 쉼터가 되고 있음 | 0.33 |
320 | 187 | 고례마을 소나무 숲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고례리 | 소나무 | 침엽수 | 0.254 | ||
321 | 869 | 외이마을숲 | 전북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 | 느티나무 | 0.009 | |||
322 | 870 | 창신마을숲 | 전북 순창군 유동면 창신리 | 느티나무 | 0.08 | |||
323 | 1150 | 주생초교 송림숲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지당리 480-9 | 소나무 | 침엽수림 | 1929년 개교당시 임야 8,128평, 밭4,125평 논525평 등 12,778평을 남강 방해규(1869-1950)옹께서 학교부지로 희사하였음 개교당시에는 방해규옹께서 손수 가꾼 소나무 약 2천여 그루가 있었음 6.25전쟁때 폭격으로 인해 많은 나무가 소실되고 현재는 116주가 있음 | 면사무소 주관 행사- 면민체육대회, 광복절행사 등 매년 활용 봄부터 가을까지 남원시내 각종 친목단체에서 주말 및 휴일 마다 학교운 동장과 송림 사용 지역주민들의 체력단련의 장 및 지역주민들의 소공원역할 학교 학생들의 교육 장소로 활용 | 0.6 |
492 | 707 | 금산마을숲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창북리 금산마을 | 느릅나무, 감나무, 호랑가시나무 | 활엽수림 | 0.027 | ||
493 | 271 | 예리(B)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구룡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성수산에서 북으로 뻗어내린 줄기사이의 골짜기 제법 큰 충적지에 위치한 이 마을은 마치 진흙땅에 거북이 꼬리를 끌고 가는 형국이라 해서 예니구미라 불렸다. 북쪽 수구에 수구막이 숲이 조성되어 있고 동쪽 당산에는 당산숲이 조성되어 있다. | 0.082 | |
494 | 709 | 양산마을숲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증산리 양산마을 | 소나무, 은행, 양버즘 | 혼효림 | 0.279 | ||
495,754,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추동,느티나무 | 아까시나무,활엽수림,만덕산의 줄기가 동진하는 가운데 한 자맥에서 뻗어 내린 곳에 위치한 마을은 본래 가래나무가 많아 | |||||||
가래골이라 불렀으나 한자의 뜻을 취하여 추동이라 고쳐 불렀다. 마을숲은 두군데인데 마을회관 앞 | ||||||||
개천가 제방에 조성된 느티나무는 서쪽으로 흘러 내려오는 수류 범람을 | 0.112 | |||||||
496,755,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판치,느티 | 팽.개서어 | 갈참,활엽수림,이 마을에서 부귀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널티라 하여 부귀면 쪽 마을은 바깥 널티 | 이 마을은 | |||||
안널티라 부르다가 판치로 쓰게 되었다. 마을의 뒷산을 지네혈 또는 사두혈이라고 했으나 고속도로 | ||||||||
가 건설되면서 내맥을 끊어버려 지금은 그 자취를 알기 어렵다. 마을 북쪽 | 0.341 | |||||||
497 | 270 | 예리(A)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구룡리 | 상수리 외2종 | 활엽수림 | 성수산에서 북으로 뻗어내린 줄기사이의 골짜기 제법 큰 충적지에 위치한 이 마을은 마치 진흙땅에 거북이 꼬리를 끌고 가는 형국이라 해서 예니구미라 불렸다. 북쪽 수구에 수구막이 숲이 조성되어 있고 동쪽 당산에는 당산숲이 조성되어 있다. | 0.188 | |
498,753,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신동,느티나무 | 개서어나무,활엽수림,만덕산의 줄기에 애워싸인 마을로 예전에 마을에서는 놋(유기)그릇을 만들어 외지로 반출했다고 | |||||||
하여 놋점터라 불렀으나 놋점이 없어진 후 신동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마을앞 수구에 | ||||||||
마을 숲이 조성되었다. 전형적 수구맥이 숲으로 보인다. 마을숲에서는 1990년 | 0.008 | |||||||
499 | 226 | 연동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농소리 연동 531-2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휴식 | 0.05 | |
484 | 260 | 고암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0.082 | ||
485 | 263 | 솔안(송내)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 활잡목 | 활엽수림 | 마을이 큰 소나무에 둘러싸여 있어 솔안이라고 불린다. 마을 앞으로 농로를 따라 가로로 숲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북방 부귀산의 공알봉이 도둑살 형국이므로 이것을 가리기 위한 것이다. | 0.037 | |
486 | 253 | 광산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용광리 광산 490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마을수호 | 0.376 | |
487 | 706 | 화동마을숲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화동리 | 팽나무 | 활엽수림 | 0.037 | ||
488,790,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중길리 종군,느티 | 개서어,활엽수림,만덕산의 줄기가 5시 방향으로 감싸면서 그 가운데로 또 한줄기가 뻗어 내리다가 멈춘 곳에 위치하 | |||||||
는 마을로 마을 뒷산이 중군대좌 명당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을숲은 두 군데에 | ||||||||
조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마을 동쪽 동산을 청룡날로 보고 이를 강화하는 | 0.525 | |||||||
489 | 705 | 창북3 마을숲 |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창북3리 | 소나무, 측백, 느티나무 | 혼효림 | 0.269 | ||
490 | 259 | 원반월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 느티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진안의 팔명당 가운데 세번째 운중반월의 명당이라고 하는 곳으로 마을 남쪽으로는 성수산, 덕태산 등이 위용을 자랑하고 그 앞의 대소 봉우리들도 좋은 기운을 품는다고 한다. 서쪽으로는 문필봉이 보이고 마을 옆에는 마산이 대기하고 있어 보기드문 길지이다. 마을 북쪽 | 0.575 | |
491 | 262 | 금마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 느티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0.3 | ||
314,1125,내호곡마을숲,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594-1임,소나무,침엽수림,지금부터 약 600여년전 고려공민왕때 문하시중인 박문수의 12세손 박시채의 아들 4형제와 당질한분이 이곳 호곡으로 이주하면서부터 조성된 자연발생적 숲으로서 마을주변을 에워싸고 있어서 마을경관숲으로도 가치가 높으며 마을의 주령을 이루고 있음,마을주변 경관숲으로 생활환경 정화에 좋은 여건을 | ||||||||
만들고 있음 | 1 | |||||||
315 | 868 | 아랫당산 | 전북 남원시 대강면 월탄리 829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0.06 | ||
478 | 265 | 은천(A)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 느티나무 외4종 | 활엽수림 | 마을 남쪽의 산모양에 요살이 비치므로 오방에 요살이면 오행에서 수화가 상극하는 형국이라 이를 가리기 위한 방편이다. | 0.491 | |
479 | 266 | 은천(B)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 느티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마을 남쪽의 산모양에 요살이 비치므로 오방에 요살이면 오행에서 수화가 상극하는 형국이라 이를 가리기 위한 방편이다. | 0.05 | |
480 | 254 | 용신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용광리 용신 270-3 | 느티나무 11주, 갈참 7주 | 활엽수림 | 마을수호 | 0.149 | |
481 | 261 | 외기(산재)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 소나무 외3종 | 침엽수림 | 이 마을은 예전에 산재라 불렸는데, 아주 산속 깊이 있어 산을 넘지 않으면 마을을 갈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현재는 외기라 칭한다. 마을 잎구에 모정이 있는데 이곳에 숲이 형성되어 있다. | 0.067 | |
482 | 708 | 장등마을공원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장등리 | 소나무, 느티나무 | 혼효림 | 0.55 | ||
483 | 264 | 지소(산수동)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성수산 아래골짜기에 위치한 이 마을은 경치가 좋아 산수동이라 하며 예전에 닥종이를 만드는 곳이 있어 지소라고도 불렸다. 마을 어귀의 숲은 수구막이로 숲이 조성되었다. | 0.096 | |
348 | 210 | 섬안숲(낙림)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일중리 | 팽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 혼효림 | 0.492 | ||
349 | 209 | 월파정 박씨 종중 숲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물우리 물우부락 | 소나무 | 침엽수림 | 0.626 | ||
350 | 178 | 신양리 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신양리 | 소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 혼효림 | 0 | ||
351 | 1121 | 고안체육공원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 69-1 외 2필 | 소나무, 느티나무 | 혼효림 | 조선시대부터 조성되어 지금까지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소중히 여겨온 숲으로 1970~80년대 하층에 느티나무등을 심어 공원으로 조성 이용하고 있는 지역임 | 마을 진입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마을 주민들이 운동,휴양시설로 이용하고 있으며 마을을 보호하는 숲으로 여기고 있음 | 0.22 |
352 | 1158 | 하신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 931 | 소나무 | 침엽수림 | 보절면 하신마을에 위치한 마을 숲은 마을이 면 소재지권에 위치하며, 들녘에 자연적으로 조성된 마을 숲으로 1990년 경 마을 정각을 세워 주민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음 | 0.1 | |
311 | 1156 | 포암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유암리 750-41 | 소나무 | 침엽수림 | 1600년경 부근의 터가 소가누워 있는 와우형국이라하여 진주소씨가 정착하면서부터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진 숲으로서 지금은 마을의 보기좋은 경관을 이루고 있음. | 0.08 | |
312 | 1120 | 갈촌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유암리 329-1임 | 소나무 | 침엽수림 | 1405년 (세종32년)에 진주소씨가 산을 개간하여 이곳에 정착 하였으며 견두산에서 내려뻗는 칡이 마을전체를 에워싸고 있어 칡을 이용해 갈퀴.삼태기 .발대등을 만드면서 생활할때부터 천연적으로 조성된 숲으로서 지금은 마을 수구막이 역할을 하고 있음 | 0.6 | |
313 | 1142 | 외호곡마을숲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774-1임 | 소나무 | 침엽수림 | 지금부터 약 350년전(인조)때 이곳 명산인 견두산 아래 개금사라는 절이 있었고 이절 양지쪽에 진주강씨가 정착하였으며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진 숲으로 안홈실과 밧홈실의 경계가 되었음 | 여름철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으며 마을 경관숲으로도 가치가 높음 | 1.5 |
524,742,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 상향,개서어 | 느티 | 소 | 상수리,활엽수림,마을숲은 예전에는 약 500평 가량의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1960년대에 방죽과 신흥리 | |||||
로 가는 길을 내면서 팔았다고 한다. 지금의 숲은 도로를 따라 경사면에 위치하는데 마을이 언덕 | ||||||||
배기에 있어 앞이 급경사를 이르므로 그를 비보하기 위하여 조성된 것으로 보 | 0.403 | |||||||
525,744,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 장전(진밭),개서 | 소 | 느티 | 상수리 | 신갈,혼효림,이 마을은 고산에서 내려뻗은 줄기가 구량천의 여울에 잠기는 기슭 언덕에 자리하였다. 마을뒷산 | ||||
이 매가 꿩을 잡는다는 배봉인데 오른쪽 날은 개가 꿩을 물고 간다는 개밖골 | 왼쪽 날은 사람이 꿩 | |||||||
을 몬다고하여 떨골이라 부른다. 마을앞에 꿩이 엎드려 숨어 있다는 부치혈 | 0.504 | |||||||
526,745,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절곡(부곡),느티 | 소 | 상수리 | 개서어,혼효림,이 마을은 전에 절이 있어 절골로 불리다가 뒤에 부촌이 되라는 뜻으로 부곡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
마을 입구에 느티나무, 소나무를 중심으로 이뤄진 마을 숲이 있고 남쪽을 비보하는 숲으로 보인다. | 0.3 | |||||||
527,780,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주평리 회사,소나무 | 개서어 | 신갈,활엽수림,부귀산이 북서족으로 감아돌아 마을 북방에서 언덕을 이룬 평지에 위치한 이 마을은 전나무가 있는 | ||||||
절골이라는 데서 젓절골이라고도 불리다가 그 뜻을 한자화하여 회사로 부르고 있다. 이 마을은 뒷 | ||||||||
동산에 소나무를 주로 하여 마을 숲을 조성하여 실용적으로 북방을 가리는 | 0.62 | |||||||
528,779,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주평리 지사,느티나무,활엽수림,주평리의 회사와 가막재의 중간에 위치한 이 마을은 마을숲이 두 군데 조성되어 있다. 하나는 마을 | ||||||||
위(북)쪽 산줄기가 이어져오는 곳에 400년 된 중심으로 느티나무 네그루가 옹호하여 당산숲을 형성 | ||||||||
하고 있는데 마을에 골짜기의 물이 입수되는 지점이다. 이는 수명을 보전 | 0.035 | |||||||
529,743,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 하향,느티나무,활엽수림,이마을에는 본디 구리원이 있어 구리원을 중심으로 윗마을은 �m열원마을 | 아래는 아래열원마을의 | |||||||
뜻으로 불렸다. 이후 아래 열원리가 행화낙지의 형국이라하여 행원으로 바뀌었다. 또 행원으로 | ||||||||
쓰면서 향원으로 읽는다. 지금의 마을숲은 마을 어귀 보호수와 느티나무 두그 | 0.036 | |||||||
364 | 206 | 마을 모종 |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신기마을 | 느티나무, 서어나무 | 활엽수림 | 0.307 | ||
365 | 228 | 마평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쌍계리 마평 299-3 | 소나무 50주, 느티나무 3주 | 침엽수림 | 휴식 | 0.32 | |
516 | 255 | 평신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 평신 436-3 | 느티나무 4주 | 활엽수림 | 마을수호 | 0.086 | |
517,772,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세동리 우정,개서어 | 상수리 | 느티,활엽수림,만덕산의 줄기에 둘러쌓인 마을로 동쪽에 용마봉이라고 부르는 갈마봉이 있고 | 북동쪽에 머문 | |||||
봉우리는 백두산이라 한다. 소가 물을 마시는 형국이라 우정이라 불린다. | ||||||||
마을에는 수령 500년인 느티나무 보호수가 있는데 1982년 천연 기념물 282호로 지정되었으나 | ||||||||
낙뢰로 | 0.65 | |||||||
518 | 285 | 고무정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 소나무 외1종 | 침엽수림 | 0.078 | ||
519 | 256 | 신흥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오봉리 신흥 580 | 느티나무 9주 | 활엽수림 | 마을수호 | 0.105 | |
520 | 284 | 절골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 느티나무 외3종 | 활엽수림 | 0.3 | ||
521,778,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주평리 원가막,느티 | 개서어 | 상수리,활엽수림,주평리의 골짜기중 가장 남쪽 깊은 골에 위치하는 마을로 가막재라 했다. 진안읍 가막리로 넘어가는 | ||||||
고개가 마을 동쪽에 있어 그를 마을 이름으로 취했다. 마을 어귀(북쪽)의 실개천 양안에 길게 위치 | ||||||||
하여 수구막이 숲을 이루고 있다. 마을을 감추어 주는 보호림이 되기도 | 0.225 | |||||||
522 | 225 | 당저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양악리 당저 456-4 | 개서어나무 17주, 산벚나무 6주 | 활엽수림 | 휴식 | 당산제 | 0.11 |
523 | 281 | 구운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0.007 | ||
508 | 258 | 원단양(A)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단양리 | 팽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마을 오른쪽의 백호날로 낮은 언덕이 형성되어 마을앞을 흐르는 냇물을 거스르며 맞서는 형국을 하고 있다. 마을의 기상을 드높인다고 생각하고 조성한 숲이다. | 0.13 | |
509,775,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신정리 서촌,개서어 | 느티,활엽수림,서쪽 만덕산의 줄기가 동진한 산자락 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남쪽 널재를 넘으면 마령면 덕천리 | |||||||
판치 마을로 통한다. 천주교 신자들이 마을을 일으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마을 전체가 오목한 | ||||||||
분지 안에 자리잡아 동쪽으로만 밖으로 통하는데 이곡이 동네 어귀이자 수구막 | 0.057 | |||||||
510 | 275 | 궁동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물곡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0.09 | ||
511 | 273 | 암곡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구룡리 | 느티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진안읍내 동쪽 우제산 기슭 골짜기에 위차한 이 마을은 마을어기 바위 위에 느티나무가 있어 바우실이라 불렀다. 마을 어귀로 수구막이 숲이 조성되어 있다. 1978년경에 100평의 땅을 구입하여 숲을 조성한 후 부촌이 되었다고 한다. | 0.047 | |
512 | 279 | 대광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0.1 | ||
513 | 280 | 개실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정곡리 | 개서나무 외2종 | 활엽수림 | 부귀산 자락의 좁은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 어귀에 수구맥이 목적으로 조성된 숲이다. 마을 숲의 나무가 썩어도 주민들은 손도 대지 않는다고 한다. | 0.159 | |
514 | 1199 | 마을숲 | 전북 전주시 동서학동 산228외 7필(남고산성) | 소나무 | 혼효림 | 남고산성은 산성공원인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순조 11년(1811년)에 구축한 후백제의 얼이 살아 숨쉬는 문화유적의 보고인 옛 성터로 전해지고 있는 곳으로, 고종 8년(1871년) 관찰사 이호준이 6개월을 별장(別將)으로 겸관했던 남고사를 비롯하여 상경사, 관성묘 등 문화 유1 | 전주시내 외곽에 위치한 지역으로 침엽수림으로 구성된 남고사 길을 따라 남고 산성터 일주코스(약5.4km)가 매우 인상적이며 특히 가을에는 울긋불긋 색동옷으로 갈아 입은 듯한 풍경이 매우 아름다운 곳임 | 52.77 |
515 | 291 | 가정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신정리 | 개서어나무 외3종 | 활엽수림 | 0.036 | ||
500 | 272 | 석곡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구룡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마을에서 예리구미로 넘어가는 고개 중간에 큰 바위가 박혀 있어 돌고개라 불리고 여기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마을숲이 있는 곳은 뒷산으로부터 내려오는 둔덕의 끝이다. 여기에 보호수를 중심으로 세 그루의 느티나무가 마을을 양분하고 있는데 이를 윗마을에서 보 | 0.04 | |
501 | 276 | 외오천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 | 느티나무 | 활엽수림 | 마을 남쪽 청풍정이란 정자가 자리한 곳이 마을의 청룡날에 해당하며 이 정자 아래 다섯그루의 숲이 조성되어 있는데 마을의 청룡날을 보강한 것이다. | 0.072 | |
502 | 277 | 평촌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 | 밤나무 외2종 | 활엽수림 | 0.05 | ||
503 | 278 | 내오천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죽산리 | 느티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0.088 | ||
504 | 296 | 제전마을숲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제전리 | 팽나무 | 활엽수림 | 0.973 | ||
505 | 224 | 매계마을숲 |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 매계 237-1 | 느티나무, 소나무 | 혼효림 | 휴식 | 0.09 | |
506 | 282 | 원연장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연장리 | 느티나무 외3종 | 활엽수림 | 마을 앞이 터져 있으면 복이 나간다고 하여 숲이 조성되었다. 일제 때 배를 만든다고 하여 벌목한 이후에 마을에 크게 불길한 일이 있어 다시 조성하게 되었다. 마을제의 하당이 모셔진 장소로서 정월 동제시 마을 사람들은 뒷산의 상당에서 제를 시작하여 이곳 하당에서 잡 | 0.514 | |
507 | 274 | 종평마을숲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물곡리 | 느티나무 외1종 | 활엽수림 | 마을에 서나무가 많다고 하여 서남정이라 불렸다고도 한다. 일제 때 마루들이라 부르다 종평이라 한자화 되었다. 이 마을에는 돌탑위에 거북이를 올려놓은 민속신앙이 있다. 전에 마을 못 미쳐 오른쪽 개천을 건너 5~6그루의 마을 숲 안에 콘크리트로 만든 160cm정도의 거북 | 0.003 | |
530,746,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 용암,느티나무,활엽수림,북서쪽 고산에서 내려온 줄기와 북동쪽 국사봉의 줄기 사이로 골짜기 물이 이마을 남쪽에서 구량천 | ||||||||
과 합수한다. 마을 우측 동산에 있는 느티나무 5주의 백호를 비보하기 위함인듯하고 마을을 남쪽으 | ||||||||
로 가르는 개천의 제방에 새로 초성된 6주 느티나무 군락은 풍치림으로 | 0.03 | |||||||
531,773,마을숲,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한식골(대곡),느티나무,활엽수림,남쪽의 부귀산 줄기가 마을의 동서로 흘러내린 가운데 좁은 골자기의 충적지에 위치한 마을이다.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seesunit.com | 시선아이티 | 02-839-5765 | bigdata@seesunit.com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19. SEESUNIT CO., LTD.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실시 | 품질측정기간 | 20191115~20191130 |
---|---|---|---|
품질측정기관 | 시선아이티 | 품질측정연락정보 | 055-339-3933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코드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