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산림 식물 자원 분포 위치 정보
자생종 식물 위치 정보
- 국내 자생하는 식물의 위치 정보를 GPS좌표(WGS84, UTM-K) 형태로 제공
산림자원관리
데이터 제공 포맷
csv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9.79 M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17,565,586
조회수 1788 / 다운수 4
0
데이터 상품 정보 |
---|
● 데이터 키워드
- 위치, 종목록, 동정정보
● 데이터 상품 정보
- 본 상품은 국내 자생하는 식물의 위치 정보를 GPS좌표(WGS84, UTM-K) 형태로 제공합니다.
- 종목록 위치 정보 융합데이터
● 컬럼(속성) 정보
- 학명 : 생물학에서 생물의 종에 붙인 분류학적인 이름
- 국명 : 한국명
- 종 설명1/2 : 분류군의 설명 (1,2)
- 관찰 시간 : 데이터 수집 일자
- 출처 : 데이터 출처명
- 데이터 구분(Point, Polygon) : Point,Polygon 데이터 구분여부
- 위도(WGS84) : WGS84 위도 정보
- 경도(WGS84) : WGS84 경도 정보
- 고도(WGS84) : WGS84 고도 정보
- 위도(UTM-K) : UTM-K 위도 정보
- 경도(UTM-K) : UTM-K 경도 정보
- 고도(UTM-K) : UTM-K 고도 정보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생물의 학명을 바탕으로 유용성, 유전체 데이터 등 위치 파악하는 것이 가능
● 기간 및 범위
- 2019년 7월 ~ 2019년 12월
|
데이터 키워드 |
---|
국내 자생종, 위치, 식물, 산림생물자원, 학명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infoboss | 2019-11-29 | 2021-07-08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없음 | csv | 다운로드 | 9.79 MB |
번호 | 학명 | 국명 | 종 설명1 | 종 설명2 | 관찰 시간 | 출처 | 데이터 구분 | 위도(WGS84) | 경도(WGS84) | 고도(WGS84) | 위도(UTMK) | 경도(UTMK) |
1 | Equisetum arvense | 쇠뜨기 |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혼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지하경이 길게 벋으며 번식한다. 생식경(生殖莖)은 이른봄에 나와서 끝에 뱀대가리 같은 포자낭 이삭을 형성하고마디에 비늘 같은 잎이 윤생하며 가지가 없다. 영양경(營養莖)은 뒤늦게 나와서 높이 30?40cm 정도로 자라며 속이 비어 있고 겉에 능선이 있으며 마디에는 가지와 비늘 같은 잎이 윤생한다. 잎의 수는 원줄기의 능선수와 같고 가지에는 3~4개의 능선이 있다. 포자낭 이삭은 장타원형이고 6각형의 포자엽이 서로 밀착하여 거북 등처럼 되며 안쪽에는 각각 7개 내외의 포자낭이 달린다. 포자에는 각각 4개씩의 탄사(彈絲)가 있어 마르고 습한 데 따라 신축운동으로 포자를 산포시킨다. 가지에 3개의 능선과 3개의잎이 달린 것을 북쇠뜨기,var. boreale (Bong) Rupr.己*고 한다. 쇠뜨기란 소가 뜯는 풀이란 뜻이며 소가 잘먹는다. 생식경은 식용으로하고. 영양경은 민간에서 이뇨제로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 | Larix kaempferi | 일본잎갈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 | Pinus densiflora | 소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 | Pinus koraiensis | 잣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 | Pinus rigida | 리기다소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 | Juniperus rigida | 노간주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 | Platycarya strobilacea | 굴피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 | Alnus sibirica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 | Castanea crenata | 밤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0 | Quercus acutissima | 상수리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1 | Quercus aliena | 갈참나무 | 높이 25m. 지름 lm 에 달하는 낙엽교목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2 | Quercus dentata | 떡갈나무 | 높이 20m, 지름 70cm 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가지가 굵고 넓게 퍼지며 수피는 회갈색이고잔가지는 갈색이며 굵고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겨울눈은 각추상(角錐狀) 난형이고 털이있다. 잎은 두꺼우며 도란형이고 둔두(鈍頭) 이저(耳底)가 보통이지만 심장저. 원저를 거쳐 둔저(鈍底)인 것도 있으며 길이 5?42cm(보통9~22cm), 너비 3.5~Ztan(보통 5~17cm)로서가장자리에 3~17쌍의 큰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표면은 성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주맥 위에만남으며 뒷면에는 끝까지 긴 성모가 남고 잎자루는 길이 1?16mm로서 갈색의 성모가 있다. 꽃은 1가화 또는 양성화로서 5월에 피며 응화서는 새가지 밑의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자화서는 위에서 곧추 나와 몇 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4~20개의 수술과 5~11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꽃밥에 털이 있고 암꽃은 6개의화피 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견과는장타원형이며 길이 10~27mm. 지름 7~19mm로서 10월에 익고 포린은 길며 뒤로 젖혀진다. 잎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청떡갈. var. iallax Nak?잎이 거의 주맥까지 갈라지는 것을 깃떡갈. var.pinnatiSda Matsum. 이 라고 한다.으로서 수피는 그물처럼 얕게 갈라지며잔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다. 잎은 타원상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30cm, 너비 3?19cm로서 둔두 또는예두이며 예저가 보통이지만 원저 또는 심장저도 있고 끝이 둔하며 4?8쌍의 치아상 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2~17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으며 주맥 위의 단모는 곧 떨어지고 잎자루는길이 1~36_이다. 꽃은 1가화 또는 양성화로서 5월에 피며 응화서는 새가지의 기부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선다. 수꽃은 6~14개의 수술과 5~9개의 화피 열편이 있으며 암꽃은6개의 화피 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각두는 3각형의 포린으로 덮이고 견과는 10월에 익으며 타원형이고길이 6~23mm, 지름 7?16_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다.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청갈참, var. peOudda Bu, 톱니가 졸참나무의 톱니 같은 것을 졸갈참, var. acuteserrata Maxim., 전자와 같고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청졸갈참.var. acuteserrata for. calvescens Rehder 이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3 | Quercus mongolica | 신갈나무 | 중턱 이상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 30m, 지름 lm 이고 새가지에 간혹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며 겨울눈은 난형이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참나무 중에서 가장 $찍」^며 도란형 또느 도란상 장타원형이고둔두이며 갑자기_밑으로^좁아지면서 이저로 끝나고 길이 7-20cm로서 3?17쌍의 톱니는 둔두이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것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l~13mm로서 털이 없다. 꽃은 잡성(雜性) 1가화로서 4월에 피고 응화서(雄花序)는 새가지 기부의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雌花序)는 윗부분에서 곧추 자라고 모두 털이 없으나 잡종성의 것은 털이 있다.수꽃은 1~17개의 수술과 3~12개의화피 열편이 있으며 암꽃은 1개 또는여러 개가 이삭처럼 달리고 6개의 화피 열편과 1?5개의 암술머리가 있다.견과는 9월에 익으며 떨어지면 곧 싹이 나오고 길이 6~25_ 지름 6~21_로서 타원형이다. 각두의 포린은구부러지며 등이 툭 튀어나온다. 잎이길이 5~9cm 로서 5~7쌍의 톱니가있는 것을 깃참나무, var. liaotungensisNak. 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4 | Quercus serrata | 졸참나무 |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 23m, 지름 lm이고 어린 가지에 견모가 밀생한다. 잎은 도란상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2~19cm, 너비1.5~10cm로서 첨두 또는 점첨두이고 보통 예저이지만 원저도 있으며 톱니는 다소 안쪽으로 향하고 끝이 둥글며3?17쌍이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단복모(單伏毛)와 성모(星毛)가 같이 있으나 성모가 없는 것도 있고 맥 위에 단복모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23mm. 지름 l~3mm로서대부분 털이 있으나 없는 것도 있다. 꽃은 잡성 1가화로서5월에 피며 응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는 윗부분에서 곧추선다. 수꽃은 3?12개의 수술과 5?8개로 갈라진 화피가 있으며 암꽃은 6개로 갈라진 화피와 2?7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각두를덮고 있는 포린은 참나무 중에서 가장 작으며 피침형이고 각두도 깊이 2~12mm. 지름 2-18mm 로서 가장 작다. 견과는길이 4~28mm, 지름 3? 17mm로서 장타원형이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5 | Quercus variabilis | 굴참나무 | 중부 이남, 특히 경상도 및 강원도에서 많이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 25m, 지름lm이고 수피는 코르크가 두껍게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며 잔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잎은 호생하고 장타원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8~15cm로서 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침같이 예리한 톱니와 9~16쌍의 측맥이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l~3cm이다. 상수리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고 회백색이므로 구별할 수 있다. 꽃은 1가화로서 5월에 잎과 더불어 피며 응화서는 새가지 밑에서 처지고 자화서는 위에서 곧추서며 보통 1개씩 달린다. 수꽃은 3?5개의 화피 열편과 4?5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총포로싸이며 3개의 암술대가 있다. 견과는 구형이고 뒤로 젖혀진 많은 긴 포린으로 싸이며 다음해 10월에 익고 식용 및약용으로 하거나 사료로 이용한다. 목재는 용재(用材)로 사용하며 수피에서 코르크를 채취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6 | Boehmeria spicata | 좀깨잎나무 | 산골짝 시내 근처의 돌담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비교적흔히 자라는 반관목(半灌木)으로서 높이 50~100cm 이고 줄기에 붉은빛이 돌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잎은 대생하고 4각상 난형이며 끝이 갑자기 꼬리처럼길어지고 예저이며 길이 4?8cm. 너비 2.5?4cm로서 표면에 누운 털이 있고 뒷면은 맥 위에만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잎자루는 길이1?3cm로서 붉은빛이 돈다. 같은 마디에 달리는 잎은한쪽이 길고 한쪽이 짧은 것이 많다. 꽃은 1가화로서7~8월에 피며 자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응화서는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4개씩의 화피 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한군데에 달리며 통형의 화피내에 1개의 씨방이 있고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긴 도란형이지만 여러 개가모여달리기 때문에 둥글게보이며 10월에 익는다. 껍질은 섬유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설유자원으로 이용하고봄철에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7 | Pilea hamaoi | 큰물통이 | 습지에서 자라는 1 년초로서 높이 20~40cm 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녹색이거나 자줏빛이 돈다. 잎은 4각상 난형이며 대생하고 길이 1.5~5cm, 너비1 ?3.5cm 로서 짙은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윗가장자리에 뚜렷한 톱니〔鋸齒〕가 있고 밑부분이 예저이며 표면에 주름이 지고 결정체(結晶體)가 불규칙하게 나열되며 잎자루는 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은 1가화로서 7~9월에 피고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밀집하며 길이5~20mm이고 암꽃과 수꽃이 함께 달린다. 수꽃은 둥글며 2개씩의 화피 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3개의 화피 열편이 있으며 그중 2개가 길다. 수과(瘦果)는 넓은 난형이고 색깔이 연하며 길이 2mm정도로서 갈색 반점이 있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8 | Asarum sieboldii | 족도리풀 |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근경은 마디가 많으며 육질이고 매운 맛이있으며 원줄기 끝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퍼지고 대생한 것처럼 보인다. 잎은 심장형 또는 신장상(腎臟狀)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며 너비 5?10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윤채가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흔히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잎자루는 길며 자줏빛이 돈다. 꽃은 잎이 나오려고 할 때 잎 사이에서 1개씩 나오며 지름 10~15_로서 검은 홍자색(紅紫色)이고 꽃받침은 반구형이며 안쪽에 줄이 있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져서 퍼지며 열편은 3각형 비슷한난형으로서 흔히 끝부분이 뒤로 말린다. 씨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6개이며 12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된다. 열매는 장과상(漿果狀)이고 끝에 화피 열편이 달려 있으며 종자가 20개 정도 들어 있다. 근경을 발한(發汗) ? 거담(fe痰) 및 두통(頭痛)에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9 | Persicaria filiformis | 이삭여뀌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0 | Persicaria thunbergii | 고마리 | 들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덩굴성 1년초로서 길이가 lm에 달하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가시가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7cm, 너비 3?7cm이다.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측열편(側裂片)은 서로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으며 잎집은 길이 5~8_로서 가장자리에 짧은 털과 더불어 흔히 소엽 같은 것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리며 꽃자루에 짧은 털과대가 있는 선모가 있다. 소화경(小花梗)은 매우 짧고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길이 5?6mm로서흰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것과 흰빛이 도는 것이 있다. 수술은 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씨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3mm 정도로서 윤채가 없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와 잎을 지혈제로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1 | Persicaria hydropiper | 여뀌 | 습지 또는 시냇가에서 자라는 1년초로서높이 40~80cm 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호생하며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 12cm. 너비 l~3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잔선점이 밀생하고녹색이며 씹으면 맵다. 잎집〔葉?〕같은 턱잎은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길이 1~5_의털이 있으며 속에서 짧은 꽃차례가 나오기도 한다. 꽃은 6?9월에 피고 수상화서는길이 5~10cm로서 밑으로 처지며 소포(小苞)는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화피는연한녹색이고 끝이 약간 적색이며 선점이있고 길이 2.5?4mm로서 4?5개로 깊게 갈라진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6개. 암술대는 2개이고 씨방은 타원형이다. 수과는 흑색이며 편난형(扁卵形)이고 잔점이 있으며길이 2~3_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일본에서는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한다. 잎이 가늘고 수과의 길이가 1.5_에 달하는 것을가는여꾸!. var. fastigiatum Nak. 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2 | Persicaria perfoliata | 며느리배꼽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3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 개별꽃 |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방추형의 덩이뿌리〔塊根〕가 卜2개씩 달리며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도피침형(倒披針形)이며길이 10~40mm, 너비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꽃은 5월에 피며 소화경은길이 2?3cm로서 한쪽에 털이 줄지어 돋고 1개의 흰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5개씩이며도란형이고 길이 7~8_이며 끝이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씨방에 3개로 갈라진암술대가 있고 지면 가까이에 폐쇄화가 달리며 대가있다.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3개로 갈라진다. 소화경(小花梗)이 잎보다 길거나비슷한 것을 309+. 지리개별꽃, P. okamotoi Ohwi 이라고 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며 자란 것은 위장약으로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4 | Silene seoulensis | 가는장구채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5 | Stellaria aquatica | 쇠별꽃 |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는 2년 내지 다년초로서 높이 20~5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고 윗부분이 어느정도 곧추서며 줄기에 1개의 실 같은 관속(管束)이 있고윗부분에 선모가 약간 있다.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긴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심장저의잎이 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l~6cm. 너비 8?30mm로서예두이고 털이 없으며 표면의 엽맥이 쑥 들어간다. 5~6월에 잎이 달려 있는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흰 꽃이 달리고잎겨드랑이에는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5_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꽃이 핀 다음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좁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꽃잎은5개로서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숫하고 밑부분까지 깊게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암술은 1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씨방 끝에 5개의 암술대가있다. 삭과는 난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5개로 갈라진 끝이다시 2개씩 갈라지며 종자는타원형이고 길이 0.8mm 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며 ?겉에 젖꼭지 같은 돌기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하고 생초를 위장약으로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6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 큰개별꽃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7 | Clematis heracleifolia | 병조희풀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8 | Akebia quinata | 으름덩굴 | 황해도 이남의 산야에서 혼히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잎은 새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掌狀複葉)이고 소엽은 5개(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凹頭)이며 원저(圓底) 또는 넓은 예저(銳底)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1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지름 2.5~3cm로서 자갈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잎이 있다.장과(漿果)는 길이 6?10cm로서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과육을 먹을 수 있다. 소엽이6~9개인 것을 여덟잎으름, var. polyphylh Nak.이라고 하며 속리산 ?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줄기를 약용으로 하거나 바구니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29 | Cocculus trilobus | 댕댕이덩굴 | 각지의 들판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비교적 혼히 자라는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尖頭) 또는 둔두(鈍頭)이며 아심장저(亞心?底)이고 길이 3~12cm. 너비 2? 10cm 로서 3~5출맥이 있다. 꽃은 2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생하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6개. 수술은 6개이고 암꽃은 6개의 헛수술과 3개의 심피가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으며 핵과(核果)는구형이고 10월에 혹색으로 익으며 지름 5~8mm 로서 백색가루로 덮여 있고 종자는 편평하며 원형에 가깝고 지름4mm 정도로서 많은 둥근 선이 있다. 줄기는 바구니 등을엮는 데 사용하고 뿌리는 신경통에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0 | Lindera erythrocarpa | 비목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1 | Lindera obtusiloba | 생강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2 | Corydalis ambigua | 왜현호색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3 | Corydalis remota | 현호색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4 | Cardamine flexuosa | 황새냉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5 | Cardamine leucantha | 미나리냉이 |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50cm 에 달하고 지하경이 벋으면서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약간갈라지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우상복엽이고 길이 15cm 정도로서 잎자루가 길다. 소엽은5~7개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고 길이4~8cm. 너비 l~3cm로서 예첨두(銳尖頭)이며 소엽병은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으로달린다. 꽃받침잎은 타원형이며 길이 3mm 정도로서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꽃받침보다 2배 또는 그 이상 길고 도란형이다. 6개의 수술중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고 처음에는 털이 약간있으며 자라서 길이 2cm 의열매로 되고 소과경이 있어서 옆으로 약간 퍼진다. 잎이 보다 크며 씨방에 털이있는 것을 통영미나리냉이,var. toensis T. Lee 라고 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6 | Thlaspi arvense | 말냉이 | 낮은 지대의 밭이나 들에서 곧추 자라는2년초로서 높이 20?60cm 이고 회록색(灰綠色)이 돌며 줄기에 능선이 있고 전체에털이 없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한군데에서많이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넓은 주걱형으로서 잎자루가 있고 톱니가 없거나 약간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호생하며 도피침상장타원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윗부분의것은 줄기를 감싸며 길이 3~6cm. 너비 1~2.5cm 로서 둔두(鈍頭)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며 흰 십자화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10?20cm의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꽃받침잎은 가장자리가 횐빛이 도는 녹색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장타원형이고 꽃잎은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4mm 정도로서 백색이고 4개의 큰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원반형 또는 편평한 도란상 원형이며 길이15mm. 너비 10~12mm 로서 넓은 날개가있고 끝이 오므라지며 소화경(小花梗)이열매보다 길다. 종자는 길이 12mm 정도로서 주름살이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7 | Lepidium apetalum | 다닥냉이 | 북아메리카에서 들어와 각지에 퍼진 2년초로서 높이30~60cm이며 털이 없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길고 짙은녹색이며 한군데에서 많이 나와 방석같이 퍼지고 길이 3?5cm로서 우상복엽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호생하며 잎자루가 없고 밑부분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홀수우상 및 도피침상의 단엽(單葉)을 거쳐 선형으로 되며 길이 1.5~5cm, 너비 2?10mm이고 가장자리에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과원줄기 끝에 작은 십자화(十字花)가 총상으로 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녹색이며 같은 수의 꽃잎은불완전한 것도 있고 6개의수술 중 4개는 길며 1개의암술은 자라서 지름 3mm정도로 되고 끝이 오목하게파진 원반 같은 열매로 된다. 종자는 적갈색으로서 작으며 원반형이고 가장자리에 있는 흰 막질의 날개가젖으면 점질로 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8 |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 꿩의비름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39 | Deutzia uniflora | 매화말발도리 | 중부 이남의 바위 틈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lm에 달한다. 잎은 장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넓은 예저이며 길이 4~6cm로서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다. 꽃은 묵은 가지의 측면에서 卜3개씩 피며 간흑 꽃 밑에 卜2개의 잎이 달리는 수도있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2~5_로서 성모가 밀생하며꽃받침통은 씨방에 붙어 있고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잎은털이 거의 없으며 꽃잎은 백색이고 길이 15?20_이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씨방은 하위(下位》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삭과는 종모양으로서 3개의홈이 있으며 암술대가 달려 있다.잎에 3출모(三出毛)가 있고 삭과표면에 4출모가 있으며 암술대가4개로 갈라지는 것을 지리말발도리, for. triradiata (Hatus.) T. Lee,잎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4출성모(四出星毛)가 있으며 1년지에 대가 있는 성모가 있고 소화경에 털이 많은 것을 해남말발도리.for. iozawae (Hatus.) T. Lee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0 | Agrimonia pilosa | 짚신나물 | 들이나 길가에서 혼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우상복엽으로서 5?7개의 소엽이 있으나 밑부분의 소엽은 점차작아지고 중앙부에 소엽 같은 것이 끼어 있으며 끝에달려 있는 3개의 소엽은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장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며 길이 3?6cm, 너비1.5~3.5cm 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턱잎은 반월형이며 한쪽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달리고 길이 10?20cm 이며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3mm정도로서 세로로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이 5개로갈라지고 그 밑에 갈고리같은 털이 있어서 성숙하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3~6_이고 수술은 12개이며 열매는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다. 어린 순을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1 | Crataegus pinnatifida | 산사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2 | Solanum nigrum | 미국까마중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3 | Geum aleppicum | 큰뱀무 | 산골짝 냇가 근처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30~100cm이고 전체에 옆으로 퍼진 털이 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며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2~5쌍이며 점차 작아지고 소엽 같은 부속체가 있다. 정소엽은 4각상 난형 또는 원형이며 예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또는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5~10cm, 너비 3?10c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짧은 잎자루와 3?5개의 소엽이 있으며 턱잎은 도란형이고 결각(缺刻)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1.5?2cm로서황색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모두 3~10개이고 꽃받침 잎 · 꽃잎 및 겉꽃받침잎은 각각 5개이며 과탁에길이 1mm 정도의 털이 있다. 수과에도 털이 있고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뱀무와비슷하지만 소화경에 퍼진털이 있고 과탁의 털이 짧은 것이 다르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4 | Geum japonicum | 뱀무 |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5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며 깃처럼 갈라지고측소엽은 작으며 1~2쌍으로서 소엽 같은부속체가 있고 정소엽은 크며 난상 원형 또는 심장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3~6αη로서 흔히3개로 갈라지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짧고 난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심장저 또는 예저로서 약간 또는 깊게 3개로 갈라지며 턱잎은 잎 같고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피며 황색으로서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에 비로드 같은 털이 있으며 겉꽃받침잎은 선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3각상 피침형이며 겉에 융모(絨毛)가 밀생하고 꽃이 핀 다음 뒤로 젖혀지며 꽃잎도5개로서 원형이고 꽃받침잎과 길이가 비숫하거나 약간 짧다. 암술과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는 끝까지 남아 있고 끝이 갈고리처럼 굽으며 과탁(果托)에 길이 2?3mm의 털이 있고 수과에도 털이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5 | Malus sieboldii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6 | Potentilla dickinsii | 돌양지꽃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7 | Prunus sargentii | 산벚나무 | 벚나무와 비슷하지만 수피가 검은밤색이고 잔가지가굵으며 털이 없고 새싹에 약간 점착성이 있는 것이 다르다. 잎은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8~12cm, 너비 4~7cm로서 점첨두(漸尖頭) 아심장저(亞心臟底)이며 표면은 짙은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고 톱니가사3각형(斜三角形)이다. 잎자루는 털이 없으며 적색이고 길이 1.5~3cm로서 윗부분에 1쌍의 적색 밀선이 있다. 꽃은 지름 2.5?4cm로서 연한홍색이지만 간혹 백색인 것도 있으며 꽃대축〔花軸〕이 없는 소화경에 산형(傘形》으로 달리고 꽃차례에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둥글고 끝이 오므라지며 향기가 없고 암술대 및 씨방〔子房〕에 털이 없다. 바다에 가까운 수림(樹林) 중에서 자란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8 | Rubus crataegifolius | 산딸기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49 | Rubus phoenicolasius | 곰딸기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0 | Sorbus alnifolia | 팥배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1 | Stephanandra incisa | 국수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2 | Sanguisorba officinalis | 오이풀 | 산야에서 혼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0? 150cm 이고 근경이 옆으로 갈라져서 자라며 방추형으로 굵어지고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갈라지고 전체에털이 없다. 잎은 잎자루가 길며 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1개이며 장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원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2.5?5cm, 너비 1~2.5cm(3.5cm)로서 3각형의 톱니가 있으며 소엽병(小葉柄)은 길이 6?30mm이고 밑부분에 혼히 소엽편(小葉片)이 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짧고작다. 꽃은 7~9월에 피며 검은 혈적색이고 수상화서는긴 대가 있으며 길이 1~2.5cm, 지름 6~8mm로서 곧추서고 포(苞)는 넓은 타원형이며 소포(小苞)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꽃받침잎은 4개이며 넓은타원형이고 수술도 4개로서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밥은흑갈색이다. 심피는 1개이고 수과는 4각형으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뿌리를지혈제로서 각혈 및 월경과다에 사용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3 | Glycine soja | 돌콩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4 | Indigofera kirilowii | 땅비싸리 |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소관목(落葉小灌木)으로서높이가 lm 에 달하며 뿌리에서 많은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것처럼 보이고 잔가지에 줄이 약간 있으며 처음에는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홀수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굵으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1 ?4cm 로서 양면에 복면(腹面)으로 붙어 있는 누운 털이 있다. 총상화서는 액생(腋生)하며 길이 12cm 정도로서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2cm정도로서 장미색이고 꽃받침은 길이 3_ 정도이며 피침상의 꽃받침잎에 털이 약간 있고 기판의 겉에도 털이 있다.열매는 원주형이며 길이 3-5.5cm로서 10월에 익는다. 꽃차례가 잎보다 2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꽃받침잎이 좁은 것을 큰땅비싸리. var. coreana Crab.,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는 것을 955+.민땅비싸리, I koreana Ohwi 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5 | Lespedeza cyrtobotrya | 참싸리 | 양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2m 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원형으로 되며 노목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잔가지에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3출엽이며 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끝이 대개 요두(凹頭)이지만 원두(圓頭)도 있으며 밑부분이 원저(圓底)이고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잎자루는 짧으며 털이 있다. 꽃차례는 총상이지만 짧기 때문에 둥글게 보이고 꽃대축〔花軸〕에 털이 밀생하며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0.5~4mm이다. 꽃받침은 중렬되고 털이 있으며 점첨두이고 기판은 원두 또는 요두이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꼬투리는 길이 8mm로서 난형이고 털이 있다. 기판과 익판이 백색이며 용골판이 다소 홍색이 도는 것을 흰참싸리, for. semialba T. Lee, 꽃이 순백색인 것을 선녀싸리, for. alba T. Lee,잎이 타원형인 것을 긴잎참싸리. var. long胞ia Nak.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6 | Pueraria lobata | 칡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7 | Trifolium repens | 토끼풀 | 유럽 원산의 다년초로서 목초로 재배하기도 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밑부분에서 갈라진 가지가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길며소엽은 3개이고 도란형(倒卵形) 또는 도심장형(倒心臟形)이며 원두 또는 요두이고 예저이며 소엽병이 없고 길이 15~25mm, 너비 10~25_로서 가장자리에잔톱니가 있고 턱잎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두상화서에 많은 꽃이 산형(傘形)으로 달리며 꽃자루는길이 20~30cm이고 꽃은 6-7월에 피며 길이 9mm 정도로서 백색이고 기판이 떨어지지 않고 갈색으로 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꼬투리는 선형이며 4?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와 비슷하지만 줄기가 곧추서고 꽃이 담홍색인것을 973+. 선토끼풀. T. hybridum L. 이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8 | Robinia pseudoacacia | 아까시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59 | Vicia unijuga | 나비나물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0 | Chamaecrista nomame | 차풀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1 | Albizia julibrissin | 자귀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2 | Amorpha fruticosa | 족제비싸리 |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관목으로서 1930년경 만주를 거쳐들어왔으며 높이가 3m 에 달하고 잔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11~25개씩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지만 주맥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길이 1.5?3cm로서 뒷면에 잔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길이 7?15cm로서 꽃이 배게 달리고 꽃은 5~6월에 피며길이 6_로서 자줏빛이 도는 하늘색이고 향기가 강하다.꽃받침에 선점이 많으며 꽃받침잎은 뾰족하고 털이 없거나있으며 기판은 길이 6_로서 난상 원형이고 익판과 용골판이 없다. 열매는 약간 굽으며길이 7~9mm로서 9월에 익고대개 1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신장형(腎?形)이다.사방지역(砂防地域) 및 비탈 나지의 피복용으로 흔히 심어 왔다. 가장 밑의 소엽이 줄기에서lcm 미만으로 떨어져 있는 것을 962+. 털족제비싸리, A. canescens Nutt. 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3 | Kummerowia striata | 매듭풀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4 | Lespedeza bicolor | 싸리 |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능선이 있고 짙은갈색이며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목재는 연한녹색이며 골 속은 희다. 잎은 3출엽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길이 2?5cm로서 끝이 둥글거나 파지며 뾰족한 짧은돌기가 있고 표면은 짙은녹색이며 뒷면에 누운 털이 있다. 총엽병(總葉柄)은 길이 2.5~5cm로서 털이 없거나약간 있고 소엽병(小葉柄)은 길이 5_ 정도이다. 총상화서는 길이 4~8cm로서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달리며 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형성하기도 하고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3_로서털이 약간 있다. 꽃받침통은 명주실 같은 털이 있으며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뒤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꼬투리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고 길이 7~8mm. 너비 5_로서 누운 털이 약간 있으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신장형비슷하고 갈색 바탕에 짙은색깔의 반점이 있다. 흰 꽃이피는 것을 횐싸리, for. albaOhwi. 잎 뒷면에 털이 많고회백색인 것음 털싸리. var.sericea Nak., 소화경이 머리카락같이 가늘고 분홍색 꽃이 달리는 것을 쇠싸리, var.melanantha T. Lee 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5 | Lespedeza maximowiczii | 조록싸리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6 | Maackia amurensis | 다릅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7 | Geranium sibiricum | 쥐손이풀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8 | Zanthoxylum schinifolium | 산초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69 | Rhus javanica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0 | Rhus verniciflua | 옻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1 | Staphylea bumalda | 고추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2 | Acer pseudosieboldianum | 당단풍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3 | Acer palmatum | 단풍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4 | Impatiens noli-tangere | 노랑물봉선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5 | Impatiens textori | 산골짝 냇가에서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유연하고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육질에 가깝고 마디가 튀어나온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잎자루를 제외한 길이 6? 15cm. 너비 3~7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있고 꽃차례의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다. 총상화서는 가지 윗부분에 달리며 소화경은 화서축(花序軸)과 더불어 밑으로 굽고 붉은빛이 도는 육질의 털이 있으며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이며양쪽에 있는 큰 꽃잎은 길이 3cm이고 거는 넓으며 자주색 반점이 있고 끝이 안으로 말린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이 서로 합쳐지고 암술은 1개이며 열매는 피침형이고 길이 1?2cm로서 익으면탄력적으로 터지면서 종자가 튀어나온다. 흑자색(黑紫色) 꽃이 피는 가야물봉선, for. atrosanguineaT. Lee 과 혼!물봉선, for. pallescens Hara 이 있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6 | Ampelopsis heterophylla | 개머루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7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담쟁이덩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8 | Vitis flexuosa | 새머루 |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 3m 이상 자란다. 잎은 덩굴손과 대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3각상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절저 또는 심장저이고 너비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어린 나무의 것은 까마귀머루처럼 갈라지기도 한다. 원추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때로는 꽃자루에서 덩굴손이발달하고 꽃은 단성으로서 6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5수이다. 꽃받침은 윤상(輪狀)이며 꽃잎은 윗부분에서 합쳐져서 밑부분이 떨어지고 수술은 5개이며 열매는 지름 8mm로 9월에 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열매를 생식하거나 술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잎이 난상 원형이고양면에 솜털이 드문드문 있는 것을 털새머루. var. choiiT. Lee 라고 하며 제주도및 안동에서 자란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79 | Hypericum erectum | 고추나물 |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0-60cm 이고 원줄기는 둥글며 곧추 자라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며 서로 접근하여 원줄기를 얼싸안고 끝이 둔하며 피침형이고 길이 2?6cm, 너비 7~30mm로서 검은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당일쓰러지며 지름 15~20mm 로서 황색이고 가지 끝에 많이달리며 전체가 원추형 비숫한 꽃차례〔花序〕로 된다. 꽃받침잎은 녹색이고 꽃잎과 더불어 각각 5개이며 꽃잎은 길이8~10mm 이고 수술은 많으며 3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길이 3.5~4mm 이며 포엽(苞葉)은 잎모양이지만 작다. 삭과는 길이 5~llmm로서 작은종자가 많이 들어 있고 종자는겉에 잔 그물맥이 있으며 길이1mm 정도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성숙한 것은 지혈 및세척제로 사용하지만 피부염을일으키는 수가 있다. 키가 작고잎이 좁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에서 총생하는 것을 다북고추나물. var. caespitasum Mak.(Hvaniotii L£v.) 이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0 | Viola acuminata | 졸방제비꽃 |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0.~40cm 이며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보통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나온다. 잎은 호생하며 3각상 심장형이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2.5~4cm, 너비 3~5cm로서 윗부분의 '잎은너비가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턱잎은 장타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5~10cm의 꽃자루가 나와 백색 또는 연한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꽃자루 윗부분에좁은 포가 달리고 흰 꽃의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고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이 오그라든다. 꽃잎은 길이 8? 10mm로서 측판안쪽에 털이 있으며 거는 길이 3~4mm 이다. 어린 순을나물로 한다. 꽃잎 안쪽을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는 것을 민졸방제비꽃, for. glaberrimaHara 이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1 | Viola albida | 태백제비꽃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2 | Viola mandshurica | 제비꽃 | 양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없고 뿌리에서 긴 잎자루가 있는 잎이돋는다. 잎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절저 또는 약간 심장저에 가까우며길이 3?8cm. 너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얕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이 핀 다음에 자라는 잎은 난상 3각형이고심장저로 되며 윗부분에 약간 뚜렷하지 않은 물결형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3?15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있다. 4~5월에 잎 사이에서 높이 5?20cm의 꽃자루가 나와 짙은 자주색 꽃이 달리며 간혹 흰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피는 것도 있다(for. albescens T. Lee).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부속체는 반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 길이 12?17_로서 측열편에 털이 있거나 없고 거는 짧은 원주형이며 길이 5?7mm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3 | Elaeagnus umbellata | 보리수나무 | 평남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3~4m 이고 혼히 가시가 있으며 어린가지는 은백색 또는 갈색이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며 둔두(鈍頭) 또는 짧은 점첨두(漸尖頭)이고 원저(圓底) 또는 넓은 예저(銳底)이며 길이3~7on. 너비 l~2.5cnv로서 톱니가 없고 표면의 털이 곧 떨어지며 뒷면에 은백색비늘털에毛〕이 밀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4~10mm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에서 연한황색으로 변하고 향기가 있으며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7개가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통은 길이 12mm 정도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4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에 비늘털이 있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8mm로서 비늘털로 덮여 있으며 10월에 적색으로 익고 먹을 수 있으며 소과경(小果梗)은 길이5~12mm이다. 잎 표면과 암술대의 털이 떨어지고 표면에 비늘털이 없는 것을 민보리수, var. parvifcJia Schneid? 잎이 도피침형(倒披針形)이고 어릴 때 잎 표면에 별모양의 누운 털이 있는 것을 왕보리수, var. coreana Lfiv? 열매가 길이 7?8mm, 지름5mm 인 것을 긴보리수, var. longicarpa T. Lee 라고 한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4 | Oenothera biennis | 달맞이꽃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5 | Aralia elata | 두릅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6 | Kalopanax septemlobus | 음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7 | Angelica anomala | 개구릿대 | 산골짝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l-2m 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털이 없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잎은 2~3회 우상복엽이고 질이 두꺼우며 3각형이다. 소엽은다시 2?3개로 갈라지고 열편과 더불어 장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짙은녹색이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맥 위가 거칠며 뒷면은 혼히 털이 산생하고 흰빛이 돌며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때로는 밑부분이 홀러서 날개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평활하다.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잎집은 도란형으로 커지며 돌기 같은 잔털이 있다. 산경(傘梗)은 소산경(小傘梗) 및 소화경(小花梗)과 더불어 잔털이 밀생하고 소산경은 30~60개로서 길이 3~8cm이며 소총포편(小總苞片)은 없고 소화경은 40?60개로서 길이 5~15mm이며 암술대는 길이 1mm 정도이다. 열매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6~7_로서 밑부분이 요형(凹形)이며 가장자리의 날개가 좁고 능선 사이에 1개, 합생면에 4개의 유관이 있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8 | Torilis japonica | 사상자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89 | Cornus walteri | 말채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0 | Pyrola japonica | 노루발 |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근경이길게 옆으로 벋는다. 잎은 1~8개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4~7cm. 너비 2.5~4.5cm로서흔히 잎자루와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표면은 엽맥부가 연한녹색이며 가장자리에낮은 톱니가 약간 있고 잎자루는 길이 3?8cm 이다. 꽃줄기는 길이 15?30cm로서능선이 있으며 1~2개의 비늘잎이 달리고 윗부분에 5? 12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지름 12?15_로서 백색이다.포는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_로서 소화경보다 길거나 같다.꽃받침잎은 5개로서 넓은 피침형 또는좁은 난형이고 길이가 너비보다 2.5~3배길며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이 길게 나와 끝이 위로 굽는다. 삭과(?果)는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7~8?로서 5개로 갈라진다. 줄기와 잎을 이뇨제로 사용하고 생즙(生汁)을 독충에 쏘였을때 바른다.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1 | Rhododendron mucronulatum | 진달래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2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철쭉 | 숲속과 능선 상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2~5m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腺毛)가 있으나 없어지며 회갈색으로 된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4?5개씩 총생하고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끝은 둥글거나 다소 파지고 밑은 좁으며 길이 5?10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연한녹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잎과 더불어 5월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3ㄱ7개씩 가지 끝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난형이며길이 5_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꽃부리는 연한홍색이며 윗부분의 꽃잎은 적갈색반점이 있고 깔때기모양이며 지름5~8cm 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길이가 같지 않고 긴 것은 꽃잎과길이가 비슷하며 수술대에 돌기가있고 암술대는 길며 기부에 돌기가 있고 씨방에 선모가 있다. 열매는 장타원상 난원형이며 길이 1.5cm로서 선모가 있고 10월에 익는다. 흰 꽃이 피는 것을 흔!철쭉. for.albiQorum T. Lee 이 라고 한다. 〈흰철쭉〉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3 | Lysimachia clethroides | 큰까치수염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4 | Styrax japonicus | 때죽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5 | Fraxinus rhynchophylla | 물푸레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6 | Ligustrum obtusifolium | 쥐똥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7 | Callicarpa japonica | 작살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8 | Clerodendrum trichotomum | 누리장나무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99 | Agastache rugosa | 배초향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
100 | Isodon japonicus | 방아풀 | Flora | Range | 37.3702 | 126.9129 | 1929981.402 | 948205.7997 | 0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infoboss.co.kr | 인포보스 | 010-9097-3786 | starflr@infoboss.co.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19, 인포보스,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실시 | 품질측정기간 | 20191101~20191131 |
---|---|---|---|
품질측정기관 | 인포보스 | 품질측정연락정보 | 02-6341-1187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관계, 오류 데이터 점검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