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자원 식용 유용성 정보

자생종 식용 유용성 정보

  • 국내 자생식물중 식용분야로 사용되는 종 분류 정보 제공
infoboss

산림자원관리

  •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
  • 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
  • 데이터 파일 용량

    91.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1518 / 다운수 57

0
데이터 상품 정보

데이터 상품 정보

● 데이터 키워드 - 유용성정보, 종목록, 식용 ● 데이터 상품 정보 - 본 상품은 국내 자생식물중 식용분야로 사용되는 식물의 종류 및 그 분류 정보를 제공합니다. - 종목록 유용성 정보 융합데이터 ● 컬럼(속성) 정보 - 학명 : 생물학에서 생물의 종에 붙인 분류학적인 이름 - 국명 : 한국명 - 종 설명1/2 : 분류군의 설명 (1,2) - 카테고리명(상세 유용성정보) : 유용성정보 카테고리 - 출처 : 유용성정보 출처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생물의 학명을 바탕으로 유용성(조경, 식용 등) 정보를 활용하여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생물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 ● 기간 및 범위 - 2019년 7월 ~ 2019년 12월
데이터 상품 정보

데이터 키워드

식용, 국내 자생종, 산림생물자원, 유용성, 학명
데이터 상품 정보
판매제공처 데이터 등록일 데이터 수정일 데이터 이용기한
infoboss 2019-11-29 2021-07-08 무기한
데이터 상품 정보
상품 구분 데이터 배포 주기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데이터 제공 방식 데이터 파일 용량
dataset 없음 csv/zip 다운로드 91.00 KB
번호 학명 국명 종 설명1 종 설명2 카테고리명 출처
1 Pinus densiflora 소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 Chamaecyparis obtusa 편백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 Cryptomeria japonica 삼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 Juniperus chinensis sargentii 눈향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 Quercus mongolica crispula 물참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 Cinnamomum camphora 녹나무 제주도에서 자라는 상록교목(常綠喬木)으로서 높이20m, 지름 2m 에 달하고 잔가지는 황록색이며 윤채가있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6?10cm. 너비 3?6cm로서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물결형의 톱니가 있으며뒷면은 회록색이지만 어린 잎은 붉은빛이 돌고 잎자루는 길이 1.5~2.5cm로서 털이 없다. 꽃은 양성으로서 5월에 피며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고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원추화서에달리며 화피 열편은 3개씩2줄로 배열되고 4줄로 배열된 1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안쪽의 수술은꽃밥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지 름 8mm 로서 10 월 에 자흑색으로 익는다. 한때 지엽(枝葉)과 뿌리로 장뇌를 만들었으며 목재는 건축재 또는 가구재로 사용한다.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 Lindera glauca 감태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 Lindera sericea 털조장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 Litsea japonica 까마귀쪽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0 Machilus japonica 센달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1 Neolitsea sericea 참식나무 울릉도 및 남부지방의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상록교목으로서 높이가 10m 에 달하고 잔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딱딱하며 장타원형, 낙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점첨두예저이며 길이 7?18cm, 너비 4~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어린 잎은 밑노로 처지며 황갈색 털이 밀생하지만점차 없어지고 3출맥(三出脈)이 있으며 뒷면은 백색으로 되고 잎자루는 길이 2?3.5cm로서 연한갈색 털이 있으나점차 없어진다. 꽃은 2가화로서 10?11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꽃자루가 없는 산형화서에 꽃이 밀착하며 꽃차례에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피는 얕은 종모양이고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수꽃은 8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편평한 암술머리를 가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2_로서 다음해 10월에 적색으로 익고 소과경(小果梗)은길이 8~ 12mm 이다. 보길도 예송리 바닷가에는 높이가 10m, 가슴높이의 둘레가 1.12m 인 것이 있다.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2 Cercidiphyllum japonicum 계수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3 Akebia quinata 으름덩굴 황해도 이남의 산야에서 혼히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잎은 새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掌狀複葉)이고 소엽은 5개(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凹頭)이며 원저(圓底) 또는 넓은 예저(銳底)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1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지름 2.5~3cm로서 자갈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잎이 있다.장과(漿果)는 길이 6?10cm로서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과육을 먹을 수 있다. 소엽이6~9개인 것을 여덟잎으름, var. polyphylh Nak.이라고 하며 속리산 ?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줄기를 약용으로 하거나 바구니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4 Piper kadsura 후추등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5 Paeonia japonica 백작약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6 Prunus triloba truncata 풀또기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7 ? yedoensis 왕벚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8 Euphorbia fauriei 두메대극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9 Zanthoxylum piperitum 초피나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0 Buxus sinica koreana 회양목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1 Cayratia japonica 거지덩굴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2 Lithospermum erythrorhizon 지치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3 Clinopodium chinense parviflorum 층층이꽃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4 Elsholtzia splendens 꽃향유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5 Glechoma longituba 긴병꽃풀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6 Mentha arvensis piperascens 박하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7 Perilla frutescens crispa 소엽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8 Thymus quinquecostatus magnus 섬백리향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9 Valeriana sambucifolia 넓은잎쥐오줌풀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0 Valeriana dageletiana integra 긴잎쥐오줌풀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1 Artemisia sacrorum iwayomogi 더위지기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2 Cymbopogon goeringii 개솔새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3 Hierochloe alpina 산향모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4 Hierochloe odorata 향모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5 Zingiber mioga 양하 식용:향료자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6 Castanea crenata 밤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7 Aconogonon alpinum 싱아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8 Aconogonon divaricatum 왜개싱아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9 Aconogonon microcarpum 참개싱아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0 Aconogonon mollifolium 얇은개싱아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1 Bistorta alopecuroides 가는범꼬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2 Bistorta incana 흰범꼬리 깊은 산 풀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80cm에 달하며 잎 뒷면이 백색이고털이 많은 것이 특이하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짧거나 거의 없으며 심장상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으로 된다. 원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집 같은 턱잎〔托葉〕은 줄기에 달린 잎보다 2~4cm 정도 길다. 꽃은 6~8월에 피며 꽃줄기는 높이 lm 내외로서 끝에 길이 2?5cm의 꽃차례가 달리고 화피는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8개의 수술은 화피보다 다소 길다. 암술대는 3개이며 화피보다 훨씬 길고수과는 화피로 싸이며 3개의 능선(稜線)이 있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3 Bistorta manshuriensis 범꼬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4 Bistorta ochotensis 호범꼬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5 Bistorta pacifica 참범꼬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6 Bistorta tenuicaulis 이른범꼬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7 Fallopia ciliinervis 나도하수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8 Fallopia multiflora 하수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9 Fallopia japonica 호장근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0 Fallopia sachalinensis 왕호장근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1 Persicaria conspicua 꽃여뀌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70cm이고 근경이 땅속으로 길게벋으면서 퍼지며 원줄기는 가지가 적고 약간 굳으며 마디가 두드러진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7? 12cm, 너비 1?2cm로서 표면, 특히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굳은 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으며 턱잎은 원통형으로서 끝이 자른것 같고 가장자리에 수염 같은 털과 발달한 맥이 있다. 꽃은 2가화로서 6~7월에피며 연한홍색이고 꽃차례는 수상화서와 비슷하며 갈라지지 않고 많은 꽃이 달린다.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길이 4~6mm이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꽃잎은 없고 8개의 수술과 난상 원형의 씨방에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수꽃은 긴 수술과 짧은암술대가 있어 열매를 맺지 않으며 암꽃은 긴 암술대와 짧은 수술이 있어 열매를맺고 수과는 세모진 난형으로서 윤채가 없다. 줄기와 잎을 약용으로 한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2 Persicaria hastatosagittata 긴미꾸리낚시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3 Persicaria lapathifolia 흰여뀌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4 Persicaria lapathifolia salicifolia 솜흰여뀌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5 Persicaria posumbu 장대여뀌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6 Persicaria sagittata 미꾸리낚시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7 Persicaria senticosa 며느리밑씻개 들에서 자라는 1년생 덩굴식물로서 길이 1?2m 이며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줄기는 4각형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붉은빛이 돌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은 호생하며 3각형이고 길이와 너비가각각 4?8cm로서 예두이며 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턱잎〔托葉〕은 잎 같지만 작고 녹색이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며 가지 끝에 둥글게 모여달리고 꽃자루에 잔털과 선모(腺毛)가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길이 4mm 장도로서 연한홍색이지만 끝부분은 적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다. 씨방은도란상(倒卵狀) 타원형(楕圓形)이고 암술대가 3개로갈라지며 열매는 흑색으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윗부분은 노출되며 둥글지만약간 세모가 진다. 어린 잎은 식용으로 한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8 Persicaria trigonocarpa 가는개여뀌 산지에서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 30~50cm 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눕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가 다소 높고 털이 없다. 잎은 잎자투가 거의 없으며 좁은 피침형이고길이 3~7cm, 너비 4~8_로서 마르면 혼히 갈색이 돌며 양면. 특히 가장자리에가까운 맥 위에 잔 누운 털〔伏毛〕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다. 잎집 같은 턱잎은 길이 5~12mm로서 누운 털과 더불어 긴 연모가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길이2~2.2mm 로서 홍색이 돌고 수상화서는 길이 2~3cm 로서 꽃이 밀생한다. 소화경(小花梗)은 가늘며 털이 없고 화피는 길이 2mm 정도로서 선점이 없거나 있다. 암술대는 3개이며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고 길이 2mm 정도로서 적갈색이며 윤채가 있다.세뿔산여뀌라고도 하여 세뿔여뀌와 혼돈하기 쉽고, 대동여뀌와 비슷하지만 마르면적갈색으로 되므로 붉은대동여뀌라고 고쳤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9 Persicaria viscosa 기생여뀌 연못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 40~120cm이고 갈색의 긴 털과 대가있는 선모가 밀생한다. 잎은 난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715cm, 너비 1.5?4cm로서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잎집 같은 턱잎은 길이 7~15_로서 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피고 홍자색이며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길이 3~5cm로서 적색의 잔꽃이 밀착하여 아름답다. 화피는 길이 2~3_로서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8개이고 화피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세모진 난상 원형이고 흑갈색이며 길이 2.5~3_로서 다소 윤채가 있고 향기가 있다. 전체적으로 붉은빛이 돌며 향기가 있기 때문에 기생여뀌라고 한 것 같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0 Deutzia grandiflora baroniana 바위말발도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1 Hydrangea macrophylla serrata 산수국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2 Hydrangea petiolaris 등수국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3 Schizophragma hydrangeoides 바위수국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4 Parnassia palustris 물매화 산기슭 양지 쪽 습지에서 자라지만 고산지대에서도 자라는 다년초로서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고 원심형(圓心形)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10?35mm로서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원줄기를 감싼다. 꽃줄기는 길이 7?45cm로서 털이없고 능선이 다소 있으며 중앙부에는 1개의 잎, 끝에는1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2.5cm로서 백색이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장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mm로서 수평으로 퍼지고 수술은 5개이며 밖을 향한꽃밥이 달리고 수술대〔花絲〕는 처음에는 씨방에 기대었다가 교대로 밖으로 굽으며헛수술〔假雄?〕은 5개로서끝이 12?22개로 갈라지고끝에 황록색의 선(腺)이 있다. 씨방은 상위이며 암술대〔花柱〕는 4개로 갈라지고 삭과는 길이 10? 12mm 로서 넓은 난형이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5 Amelanchier asiatica 채진목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6 Photinia villosa 윤노리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7 Prunus armeniaca 살구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8 Prunus spachiana ascendens 올벚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9 Prunus triloba truncata 풀또기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0 Pyrus pyrifolia 돌배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1 Rhodotypos scandens 병아리꽃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2 Rubus ikenoensis 오엽딸기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3 Sanguisorba ? tenuifolia 가는오이풀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4 Spiraea prunifolia simpliciflora 조팝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5 Stephanandra incisa 국수나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6 Campylotropis macrocarpa 꽃싸리 경북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lm 에 달하고어린 가지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타원형,장타원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이며 길이 2~5an로서 둔두(鈍頭) 또는 미요두(微凹頭)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갈색의 명주실 같은 털이 밀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1.5~3.7cm로서 털이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길이 lcm 정도로서 길이8cm 정도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포액(苞腋)에1개씩 달리며 길이 5~7mm로서 꽃과의 사이에 마디가있다. 꽃받침잎은 통부(筒部)보다 짧고 길이가 서로 비숫하며 첨두이고 열매는 타원형이며 길이 1.2~ 1.5cm,너비 5mm 정도로서 양끝이좁고 주름과 가장자리에 털이 많으며 10월에 익는다.기판(旗瓣)이 적색이고 용골판(龍骨瓣)이 자주색인 것을붉은꽃싸리. for. rosea Uyeki라고 하며 경남 김해군에서자란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7 Caragana sinica 골담초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8 Indigofera kirilowii 땅비싸리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소관목(落葉小灌木)으로서높이가 lm 에 달하며 뿌리에서 많은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것처럼 보이고 잔가지에 줄이 약간 있으며 처음에는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홀수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굵으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1 ?4cm 로서 양면에 복면(腹面)으로 붙어 있는 누운 털이 있다. 총상화서는 액생(腋生)하며 길이 12cm 정도로서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2cm정도로서 장미색이고 꽃받침은 길이 3_ 정도이며 피침상의 꽃받침잎에 털이 약간 있고 기판의 겉에도 털이 있다.열매는 원주형이며 길이 3-5.5cm로서 10월에 익는다. 꽃차례가 잎보다 2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꽃받침잎이 좁은 것을 큰땅비싸리. var. coreana Crab.,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는 것을 955+.민땅비싸리, I koreana Ohwi 라고 한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9 Lathyrus palustris pilosus 털연리초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0 Lathyrus quinquenervius 연리초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1 Lespedeza davurica 호비수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2 Lespedeza juncea 땅비수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3 Lespedeza thunbergii formosa 풀싸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4 Lespedeza tomentosa 개싸리 산야에서 자라는 낙엽반관목 또는 다년초로서 높이가lm 에 달하며 짧고 굵은 가지가 있고 원줄기와 가지는능선과 더불어 긴 갈색의 밀모(密毛)로 덮여 있다.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양끝이 둥글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긴갈색 털이 밀생하고 엽맥이 현저하게 두드러진다. 8~9월에 가지 끝에서 융모(絨毛)로 덮여 있는 굵고 긴 총상화서가 발달하여 많은 꽃이 달리며 꽃은 길이 7~8mm로서 연한 황백색이고 소화경은 짧으며 털이 있다.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밑부분의 3개는 선형이며 윗부분의 2개는 조금 얕게 갈라지고 모두 긴 갈색의 융모로 덮여 있으며 기판(旗瓣)은 끝이 뾰족하고 중앙부에 적색 줄이 있다. 총상화서의 정상화는 대개 결실하지 않으며 꽃차례 밑부분이나 끝의 폐쇄화(閉?花)가 결실하고 열매는 원형이며 표면에 털과 더불어 그물맥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5 Lespedeza virgata 좀싸리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6 Lotus corniculatus japonica 벌노랑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7 Maackia fauriei 솔비나무 한라산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가 8m 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1회 우상복엽이고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9~17개(보통 13개 이상)이고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3~6cm, 너비 l~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하며 처음에는 솜털이 있으나 성숙함에 따라 없어지고 소엽병(小葉柄)은길이 5m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가지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4mm정도로서 화서축(花序軸)과 더불어 갈색의 누운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모양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갈색의 누운 털이 있다. 꼬투리는 편평한 장타원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3~7an, 너비 5?8_로서 한쪽에 날개가 있다. 다릅나무와 비슷하지만 소엽이 작고 많은 것이 다르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8 Millettia japonica 애기등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9 Pueraria lobata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0 Thermopsis lupinoides 갯활량나물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1 Vicia amoena 갈퀴나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지하경이 벋으면서 번식하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80~ 18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능선이 있어서 네모가 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호생하며 짝수 우상복엽으로서 10~16개의 소엽과 더불어 극히 짧은 잎자루가 있고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5?30mm, 너비 4?10mm로서끝에 돌기가 약간 있고 턱잎은 약간 크며 가장자리에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자루는 길이 2?7cm로서 액생하고 꽃차례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6~9월에 피고 길이 12~ 15mm 로서 나비 형〔蝶形〕이며 홍자색이고 포가 작다.꽃받침은 종모양으로서 5개의 불규칙한 조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길고 꽃받침통보다 짧거나 같다. 열매는 편평한 장타원형이며 길이 2~ 2.5cm, 너비5mm 로서 털이 없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2 Vicia angustifolia 가는살갈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3 Vicia angustifolia segetilis 살갈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4 Vicia hirsuta 새완두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5 Vicia pseudoorobus 큰등갈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6 Vicia tetrasperma 얼치기완두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7 Vicia venosa cuspidata 광릉갈퀴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8 Vigna angularis nipponensis 새팥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9 Vigna vexillata tsusimensis 돌동부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00 Wisteria floribunda 식용:밀원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데이터 샘플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판매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www.infoboss.co.kr 인포보스 010-9097-3786 starflr@infoboss.co.kr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라이선스 권한 접근권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opyright 2019, 인포보스, all rights reserved public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품질측정검사 실시 품질측정기간 20191101~20191131
품질측정기관 인포보스 품질측정연락정보 02-6341-1187
품질측정결과 정상 품질측정내용 관계, 오류 데이터 점검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의 글만 수정이 가능하며, 타인의 글에 댓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 댓글이 달린 글은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문의 내용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

2021-07-08

조회수 3498

산림자원관리

자생 식물 사진 정보

자생 식물 사진 정보

4

무료

2021-07-08

조회수 1958

산림자원관리

자생 버섯/지의류 종목록

자생 버섯/지의류 종목록

4

무료

2021-07-08

조회수 2685

산림자원관리

자생 식물 종목록

자생 식물 종목록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871

산림자원관리

자생 곤충 사진 정보

자생 곤충 사진 정보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448

산림자원관리

한약 자원 종목록

한약 자원 종목록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783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식물 유전체 원 데이터

자생종 식물 유전체 원 데이터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200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효소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자생종 효소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19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데이터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13

산림자원관리

자생 기타 사진 정보

자생 기타 사진 정보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258

산림자원관리

산림 자원 SSR 정보

산림 자원 SSR 정보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14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480

산림자원관리

자생 기타 종목록

자생 기타 종목록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91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병 저항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자생종 병 저항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825

산림자원관리

국내 자생생물 지역별 위치 정보

국내 자생생물 지역별 위치 정보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415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식물 전사체 원 데이터

자생종 식물 전사체 원 데이터

0

무료

2021-07-08

조회수 1010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생리활성물질 정보

자생종 생리활성물질 정보

0

₩ 22,315,646

2021-07-08

조회수 1215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해 정보

자생종 유해 정보

0

₩ 6,471,633

2021-07-08

조회수 1268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곤충 위치 정보

자생종 곤충 위치 정보

0

₩ 19,868,273

2021-07-08

조회수 1073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단백질 유전자 계통확률 데이터

자생종 단백질 유전자 계통확률 데이터

0

무료

2021-07-08

조회수 1295

산림자원관리

자생 곤충 종목록

자생 곤충 종목록

0

무료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Address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28 청호나이스빌딩 6층
E-mailfdex@datastreams.co.kr Tel02-6393-2730
(주)데이터스트림즈대표이사 이영상 사업자등록번호214-86-91079
민원이나 환불 처리의 주체는 데이터스트림즈입니다.
    산림청     한국임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