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자원 관상 유용성 정보

자생종 관상 유용성 정보

  • 국내 자생식물중 관상분야에 사용되는 종 분류 정보 제공
infoboss

산림자원관리

  •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
  • 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
  • 데이터 파일 용량

    66.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1169 / 다운수 52

0
데이터 상품 정보

데이터 상품 정보

● 데이터 키워드 - 유용성정보, 종목록, 관상 ● 데이터 상품 정보 - 본 상품은 국내 자생식물중 관상분야에 사용되는 식물의 종류 및 그 분류 정보를 제공합니다. - 종목록 유용성 정보 융합데이터 ● 컬럼(속성) 정보 - 학명 : 생물학에서 생물의 종에 붙인 분류학적인 이름 - 국명 : 한국명 - 종 설명1/2 : 분류군의 설명 (1,2) - 카테고리명(상세 유용성정보) : 유용성정보 카테고리 - 출처 : 유용성정보 출처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생물의 학명을 바탕으로 유용성(조경, 식용 등) 정보를 활용하여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생물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 ● 기간 및 범위 - 2019년 7월 ~ 2019년 12월
데이터 상품 정보

데이터 키워드

관상용, 국내 자생종, 산림생물자원, 유용성, 학명
데이터 상품 정보
판매제공처 데이터 등록일 데이터 수정일 데이터 이용기한
infoboss 2019-11-29 2021-07-08 무기한
데이터 상품 정보
상품 구분 데이터 배포 주기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데이터 제공 방식 데이터 파일 용량
dataset 없음 csv/zip 다운로드 66.00 KB
번호 학명 국명 종 설명1 종 설명2 카테고리명 출처
1 Huperzia cryptomeriana 왕다람쥐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 Huperzia miyoshiana 다람쥐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 Huperzia selago 좀다람쥐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 Huperzia serrata 뱀톱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 Huperzia sieboldii 줄석송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 Selaginella helvetica 왜구실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 Selaginella tamariscina 바위손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 Selaginella involvens 부처손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 Selaginella rossii 구실사리 바위 겉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원줄기는 구리철사같이 단단하고 붉은빛이 돌며 옆으로 벋으면서 2개씩 갈라지기 때문에 방석같이 퍼지고 여기저기서 잎이 없는줄기(擔根體)가 자라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4줄로 배열되며 측엽은 약간 밑으로 처지면서 수평으로 퍼지고 난형으로서 양쪽 밑에 굵은 털 같은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고 양끝이좁으며 끝은 측엽과 더불어 가시같이 뾰족하고 2줄로 빽빽하게 가지에 들러붙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가지와 더불어 연한녹색이다. 포자낭 이삭은 잔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대가 없고 길이 1cm 내외, 지름 2mm 정도로서 네모가 진다. 포자엽은 3각상으로 양쪽 가장자리가 접어들며 뒷면에 능선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0 Selaginella sibirica 실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1 Botrychium lunaria 백두산고사리삼 무두봉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겨울 동안에는 잎이 없다. 잎은 1개가 나오며 길이 10?20cm이고 중앙에서 2개로 갈라져 1개는 포자낭 이삭이 달리는 생식엽으로 된다. 영양엽은 짧은 대가 있으며 1회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5?7쌍으로 부채꼴이며 정열편을 제외하고는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가장자리에둔한 톱니가 있으며 털이 없고 녹색이며 원두이고 넓은예저로서 맥이 부채꼴로 퍼진다. 포자엽은 영양엽보다길며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포자낭은 소우편의좌우에 빽빽하게 달린다.포자낭은 황색으로 좁쌀 같으며 대가 없고 익으면 옆으로 갈라진다. 이와 비숫한 것으로 영양엽이 보다위쪽에 붙고 1 ?2회 우상으로 갈라진 것을 32+. 메고사리삼. B. boreale Mo.de °1라고 한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2 Botrychium ternatum 고사리삼 햇볕이 잘 드는 숲속 기름진 곳이나 산골짝 냇물 가까운 풀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두꺼우며 윤채가 있다. 굵은 육질의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1 개의 잎이 나와 2개로 갈라져서 나엽(裸葉)과 실엽(實葉)으로 된다. 나엽은 잎자루가 길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2?3회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잎새〔葉身〕는 길이 5?10cm로서 3각형 또는 5각형이며양쪽 밑 우편(羽片)에 긴 잎자루가 있다. 소우편(小羽片)은 장란형 또는 난형이고 우편 바깥쪽 밑의 소우편이 가장 크며 각 열편은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서 끝이 둥글고 너비 2~3mm 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포자엽은 나엽보다 훨씬 길고 윗부분이잘게 갈라져서 각 가지에좁쌀 같은 포자낭이 달리며 9~11월에 익는다. 전초(全草)를 약용으로 한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3 Psilotum nudum 솔잎란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4 Osmunda cinnamomea 꿩고비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5 Diplopterygium glaucum 풀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6 Dicranopteris linearis 발풀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7 Lygodium japonicum 실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8 Azolla imbricata 물개구리밥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9 Salvinia natans 생이가래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0 Plagiogyria euphlebia 꿩고사리 남부지방의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초본으로서 근경은 덩어리처럼 비스듬히 자라며 잎이 총생한다. 잎은 나엽과 실엽의2가지가 있고 나엽은 높이 30?50cm 이며 잎자루는 흑록색이고 밑부분이 갑자기 굵어져서 세모가 지며 뒷면 양쪽에피목(皮目) 같은 돌기가 있다. 잎새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중축에 2줄의 홈이 있고 뒷면이 둥글다. 우편은 좁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물결형이지만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뚜렷한 톱니가 있고 짧은 대가 있으며측우편(側羽片)과 정우편(頂羽片)은 모양이 비슷하다. 실엽은 나엽보다 길고 곧추서며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보다 좁으며 대가 있다.포자낭군은 2개로 갈라진 엽맥의 가지에 달리고 뒤로 젖혀진 잎 가장자리로 덮인다.환대(環帶)는 비스듬히 포자낭의 둘레를 완전히 돈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1 Odontosoria chinensis 바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2 Dennstaedtia hirsuta 잔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3 Dennstaedtia wilfordii 황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4 Hypolepis punctata 점고사리 한라산 기슭의 약간 습기가 있고 양지바른 풀밭에서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범으며 연한갈색 털이 있다. 잎은 근경에서 드문드문 나오고 흰 털이있으며 큰 것은 높이 lm까지 자란다. 잎자루는 연한녹색이고 길이 30cm 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떨어진 털자국 때문에 거칠고 밑부분이 약간 가늘다. 잎은 옆으로비스듬히 퍼지며 긴 3각형 또는 장타원형으로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30?50cm이다. 우편은 피침상 장타원형 또는 3각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장타원형이며끝이 둔하고 깃처럼 갈라지거나 톱니모양이다. 포자낭군은 열편의 주맥과가장자리의 중간에 달리고점같이 둥글며 황색이고포막이 없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5 Microlepia marginata 돌잔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6 Microlepia strigosa 돌토끼고사리 남제주 바닷가 바위 틈에서 자라는 상록초본으로서 근경은 옆으로 벋으며 털이 있고 때로는 지면 위로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30?60cm로서 밑부분에 털이 많으며잎새는 길이 20?80cm, 너비 20~30cm 로서 장타원형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예첨두(銳尖頭)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첫째 우편이 다소 짧다. 우축은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에는 털이 있으며 우편은좁은 피침형이고 점차 좁아져서 꼬리처럼 길어지며 소우편은 장타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일그러진예저(銳底)로서 대가 없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표면에 털이거의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맥이 튀어나온다.포자낭군은 톱니 밑에서 가까운 측맥 끝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털이 없으며 앞 끝이 열편 가장자리에 닿는다. 돌토끼고사리란 돌 틈에서 자라는토끼고사리란 �裏甄�.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7 Cystopteris fragilis 한들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8 Cystopteris sudetica 바람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29 Gymnocarpium dryopteris 토끼고사리 한라산과 경기도 이북 침엽수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털이 없으며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고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로서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며 연한녹색이지만 밑부분은 혹갈색이다. 인편은 연한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좁은 난형으로서 길이 2~3_이지만 밑부분과 근경에 달린 것은 길이 3~4_로서 넓은 난형이다. 잎새는 거의 5각형이고 너비가 길이보다 약간 넓으며 3개의 우편으로 갈라지고 길이 8~15cm이다. 정우편은 측우편보다 약간 길거나 같으며 너비 5~10cm로서 길이 1.5~4cm의 대가 있고 3각형 예첨두이며 2회 우상으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진다. 소우편은 정우편의 첫째 것에 때로 대가 있고 3각상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열편은 장타원형이며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물결형의 잔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없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0 Gymnocarpium jessoense 산토끼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1 Coniogramme japonica 가지고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2 Haplopteris flexuosa 일엽아재비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3 Onychium japonicum 선바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4 Asplenium normale 깃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5 Asplenium ruprechtii 거미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6 Asplenium wrightii 눈썹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7 Asplenium varians 애기꼬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8 Asplenium wilfordii 수수고사리 제주도의 숲속 바위 또는 노목 밑동에 붙어서 자라는상록초본으로서 근경은 짧고 잎자루 기부와 더불어 혹갈색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길이 10?25cm, 지름 1.5_로서 딱딱하고 윤채가 없으며 연한녹색이지만 혼히 자줏빛이 돈다. 잎새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15~35cm, 너비 4?10cm로서 끝이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고 3~4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8~10쌍이며 짙은녹색으로서 긴 3각형이고 대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열편은 쐐기형 비숫하고 마르면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며 다시 갈라지지 않거나 3개로 갈라지고 대개위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각열편에 1맥이 있다. 주맥은표면이 녹색이고 뒷면 밑부분에 흑갈색이 돌며 흑갈색인편이 드문드문 돋는다. 포자낭군은 소우편에 1 ?3개씩달리고 좁은 장타원형이며포막은 길이 l~3mm 이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39 Hymenasplenium hondoense 지느러미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0 Cyclosorus omeiensis 나도진퍼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1 Cyclosorus parasiticus 털별고사리 울릉도와 남쪽 해안 가까운 곳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벋으며 어린 부분 이외에는 거의 나출된다. 잎자루는 드문드문 달리고 길이 20■'ㅡ80cm로서 털이 있으며 근경 끝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는 인편이 돋고 인편은흑갈색이며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밋밋하다. 잎새는장타원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갑자기 좁아지지만 정우편이뚜렷하지 않으며 첫째 우편은 밑을 향하고 짧아지지 않으며 길이 40?70cm, 너비 15~30cm로서 털이 많으나 변이가심하다. 우편은 밑부분에서는 약간 떨어져서 달리고 좁은피침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절저로서 대가없으며 가장자리가 깃처럼 거의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편은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원두이고 가장자리에 물결형의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중앙부 또는 약간 가장자리 가까이에 2줄로 달리며 포막은둥근 신장형이고 지름 0.5?0.7mm로서 털이 있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2 Leptogramma pozoi mollisima 진퍼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3 Macrothelypteris oligophlebia elegans 각시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4 Metathelypteris laxa 드문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5 Parathelypteris beddomei 가는잎처녀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6 Parathelypteris glanduligera 사다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7 Parathelypteris japonica 지네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8 Parathelypteris nipponica 키다리처녀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49 Thelypteris palustris 처녀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0 Thelypteris quelpaertensis 큰처녀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1 Thelypteris subochthodes 제비꼬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2 Woodsia hancockii 애기가물고사리 무산령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고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5?3cm로서 벗짚색이며 밑에서부터 1/4?1/2 부분에 관절이 있고 밑부분에 갈색 인편이 달리며 인편 가장자리에 작은 돌기가 있다. 잎새는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12cm. 너비 l~:L2cm로서 밑부분이 약간 좁아지고 2회우상으로 갈라지며 중축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우편은드문드문 달리며 밑부분의 우편은 난상 3각형으로서 대가 없으나 중앙부의 우편은 난상 3각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짧은 대가 있으며 예저 또는 거의 절저이고 길이 5~12mm,너비 5~6_이다. 열편은둔두 또는 예두로서 물결형의 톱니가 약간 있거나 얕게갈라진다. 포자낭군은 각 열편에 卜3개씩 달리며 포막은 불규칙하게 5~6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의 가장자리가 다시 털처럼 갈라진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3 Woodsia ilvensis 두메우드풀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4 Woodsia macrochlaena 참우드풀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5 Woodsia polystichoides 우드풀 햇볕이 잘 쬐는 산지의 바위 겉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덩어리 같고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5?lton로 적갈색이 돌며 털과 인편이 달리고 위 끝에비스듬히 관절이 있다. 잎새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며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뭉뚝하게 끝나며밑부분이 약간 좁아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인편이 드문드문 있고 길이 10~30cm 이다. 우편은 중축에서 거의 직각으로 갈라지며 장타원형으로서 밑부분이넓은 예저이고 위쪽 밑부분이 귀처럼 튀어나오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둔한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양쪽가장자리에 1줄로 달리고 포막은 연한갈색이며 불규칙하게 4~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잎에 털이 적은 것을 var. nudiusculaHooker 라고 하여 구별하기도 하지만 한 생태형에 지나지 않는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6 Matteuccia struthiopteris 청나래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7 Pentarhizidium orientale 개면마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8 Woodwardia japonica 새깃아재비 제주도의 남쪽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굵은근경은 잎자루 기부와 더불어 갈색 인편으로 덮이고 옆으로 약간 누우며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굵고딱딱하며 길이 30~50cm 이고 잎새는 장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40~80cm. 너비 20?35cm로서 윗부분이 갑자기 뾰족해져 독립된 우편처럼 된다. 우편은 10?15쌍으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대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15~22cm. 너비 2?5cm 이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은 색깔이 연하고 맥 위에 갈색 인편이 달리며가장자리가 깃처럼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길이 2~5mm 로서주맥 가까이에 달리며 곧고포막은 두꺼우며 갈색이다.포자낭군이 달리지 않은 잎은 개면마와 비숫하지만 열편 주맥 옆의 엽맥이 1~3줄의 그물눈을 형성하는 것이다르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59 Athyrium acutipinnulum 섬고사리 울릉도 ? 태백산 및 제천지방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덩어리처럼 짧고 잎이 총생하며높이 80cm 내외이다. 잎자루는 잎새와 길이가 거의 비숫하고 밑부분에 검은 인편이 있다. 잎새는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장타원형이고 우편은 좁은 피침형으로서점차 좁아져서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깃처럼 갈라지고 우축에 갈색 인편이 있으며 우편에 짧은 대가 있다.소우편은 다시 깃처럼 깊게 갈라지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점차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우축으로 홀러서 약간 날개같이 보이고 앞쪽 첫째 열편이 가장 크다. 열편은 장타원형이며 끝이 위로 굽고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열편측맥에 달리며 포막은 길고갈고리형도 있으며 가장자리가 너슬너슬하게 갈라진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0 Athyrium alpestre 산고사리 백두산 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덩이처럼짧고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잎새 길이의 1/2정도이며 연한갈색 털이 밑부분에 밀생하고 윗부분으로갈수록 적어진다. 어린 잎의 중축과 우축에도 좁은 인편이 있으며 잎새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30~60cm. 너비10?20cm 로서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소우편은 대가없으며 난상 장타원형이고 열편은 장타원형이며 깊은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원형이고 간혹 타원형도 있으며 열편에 1개 또는 몇 개씩 달리고 포막은 겉으로나타나지 않으나 포자낭을모두 떼어내면 흔적 같은작은 포막이 나타나며 가장자리가 너슬너슬하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1 Cornopteris christenseniana 지리산숲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2 Cornopteris crenulatoserrulata 응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3 Cornopteris decurrenti-alata 뿔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4 Deparia lancea 버들참빗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5 Diplazium chinense 암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6 Diplazium wichurae 주름고사리 제주도와 거문도의 습한 그늘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잎자루는 길이 10~30cm 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있고 인편은 좁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흑갈색으로서 길이 4~6mm, 너비 1?1.5mm이다. 잎새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짧은 꼬리처럼 발달하고 길이 20~35cm,너비 10?20cm로서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는다. 우편은피침형이며 낫처럼 위로 굽어들고 길이 6~10cm. 너비l~2cm 로서 끝이 가늘며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 앞에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뒤쪽은 예저이고 가장자리에잔톱니와 더불어 굵은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짧은대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없어진다. 포자낭군은주맥 양쪽에 1줄로 달리고포막은 선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때로는 2개가 맞닿는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7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금털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8 Arachniodes borealis 왁살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69 Arachniodes mutica 털비늘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0 Arachniodes standishii 일색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1 Cyrtomium falcatum 도깨비쇠고비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2 Dryopteris atrata 톱지네고사리 제주도의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초본으로서 굵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은 길이 lm. 너비 25cm이고 잎자루는 보통 잎새 길이의 1/2보다 짧으며 중축과 더불어 검은 인편이 달린다. 인편은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이고 길이 2cm 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좁아지며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새는 도피침형 또는장타원상 도피침형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며 밑부분에 달린 우편은 다소 처진다. 우편은 20~30쌍이고 선형이며 절저 또는 심장저로서 대가 없고 위로올라갈수록 점점 좁아져서 길게 뾰족해지며 표면에는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 주맥 위에 작은 인편이 있고톱니 끝은 둥글거나 편평하지만 앞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진다. 포자낭군은 가장자리를 제외하고는뒷면 전체에 달리며 포막은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3 Dryopteris championii 제주지네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4 Dryopteris chinens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5 Dryopteris expansa 퍼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6 Dryopteris fragrans 주저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7 Dryopteris goeringiana 바위틈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8 Dryopteris lacera 비늘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79 Dryopteris maximowiczii 진저리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0 Dryopteris pudouensis 큰족제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1 Dryopteris polylepis 산비늘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2 Dryopteris setosa 산족제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3 Dryopteris tokyoensis 느리미고사리 광릉과 수원의 냇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고짧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5~30cm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더욱 밀생하고 인편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갈색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큰 것은 길이 l~1.5cm이다. 잎새는도피침형이고 양끝이 점점 좁아지며 길이 70?90cm. 너비 17~25cm이다. 우편은 30~40쌍이고 중앙부의 것은넓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서 대가 없으며 뒷면주맥에 작은 인편이 있고 깃처럼 얄게 또는 반쯤 갈라진다. 열편은 끝이 둥글며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첫째 1쌍이 가장 크며 밑부분의 측맥이 밑으로 굽어서주맥과 연결되고 측맥은 다시 갈라지지 않는다. 포자낭군은 잎새 윗부분에만 달리며 우편의 주맥 가까이에1~2줄로 배열되고 포막은둥근 신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4 Dryopteris uniformis 곰비늘고사리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상록초본으로서 짧고 굵은 근경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5~30cm로서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흑갈색 또는 짙은갈색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좁고 짧아지며 중축의 것은 피지거나 밖으로 젖혀지고 작은 돌기가 있다. 잎새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절저이며 길이 40~60cm, 너비 15~22cm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이고 너비 l~3.5cm로서 뒷면 주맥에 인편이 드문드문 있으며 짧은 대가 있고 밑부분일수록 깊게 갈라져서열편이 서로 떨어진다. 열편은 장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측맥은 2개씩갈라진다. 포자낭군은 윗부분에 달리며 중간형이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참곰비늘고사리, for. coreana H.Pro 는 열편 끝이 둔하며 완도에서 자란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5 Polystichum braunii 좀나도히초미 북쪽으로는 금강산과 낭림산까지 자라고 남쪽으로는각호산 ? 지리산 ? 죽령 및 울릉도 숲속에서 자라며 근경은 짧고 잎이 더북이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5?25cm로서 짙은갈색이며 인편이 밀생한다. 잎새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25~60cm. 너비7?22cm로서 2회 우상으로갈라지며 밑에서부터 1/3부분의 우편은 밑으로 갈수록짧아진다. 중축의 인편은 퍼지거나 뒤로 젖혀지고 혼히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우편은 수평으로 퍼지고 피침형으로서 대가 없으며 첫째 우편은 짧고 약간 처진다.소우편은 길이 6~15mm. 너비 3~7_이며 앞쪽은 직선적이고 뒤쪽은 위에서 약간 굽으며 가시같이 뾰족하고 표면에 털 같은 인편이다소 있으며 뒷면에는 좁은인편이 있고 가장자리의 톱니가 가시같이 뾰족하다. 포자낭군은 주맥 가까이 양쪽에 배열되며 포막은 길이0.3 ~ 0.5mm 이 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6 Polystichum craspedosorum 낚시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7 Polystichum lepidocaulon 더부살이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8 Polystichum ovatopaleaceum coraiense 참나도히초미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89 Polystichum tripteron 십자고사리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고곧으며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0?40cm로서 연한녹색이거나 벗짚색이고 밑부분에 갈색이 돌며 중축과더불어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고 잎새는 2회 우상복엽이다. 첫째 우편이 길게 발달하여 십자형으로 되기 때문에십자고사리라고 한다. 정우편은 길이 20?45cm, 너비 5~ 10cm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소우편은 낫같이 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예저이며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앞쪽 밑부분에 돌기가 있으며길이 2.5~5cm, 너비 5-12mm 이다. 톱니가 특히 깊게갈라지는 것을 큰십자고사리, for. subtripinnatum H.Ito 라고 한다. 표면이 밋밋하고 뒷면에 작은 인편이있으며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주맥과 가장자리 사이에2~4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빨리 떨어진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0 Davallia mariesii 넉줄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1 Colysis elliptica 손고비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2 Colysis simplicifrons 창고사리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3 Colysis wrightii 밤잎고사리 제주도의 숲속 지면이나 늙은 나무 줄기의 썩은 곳에붙어서 자라며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범고 잎이 드문드문달린다. 잎자루는 나엽에 있어서는 길이 5?17cm, 포자낭이 달리는 잎에 있어서는 길이 10?40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있으나 작은 것은 전체에 날개가 있는 것도있으며 볏짚색이다. 잎새는 넓은 피침형 또는 3각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주름살이 지는수도 있으며 마르면 흑갈색으로 변하고 길이 10~30cm이며 주맥과 측맥이 비교적뚜렷하다. 포자낭군은 측맥과 평행하게 달리고 길이 1~ 2.5cm 이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4 Lepisorus annuifrons 다시마일엽초 제주도 계곡의 바위 겉이나 노목의 원줄기 겉에 붙어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옆으로 벋으며 잎이 약간접근하여 나온다. 근경은 지름 1.5~3_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인편은 난상 3각형으로서 윗부분이 꼬리처럼 급히 좁아지며 흑갈색이지만 가장자리가 좁고 연한 흑갈색이며 길이 1.5~3mm이다. 잎자루는 길이 l~2cm로서밑부분에 인편이 있다. 잎새는 길이 10~25cm, 너비 1?3cm로서 피침형이고 밑에서부터 1/4 정도가 가장 넓으며 끝이 점점 좁아져서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다소 물결형으로되고 중축(中軸)은 가늘며맥이 뚜렷하다. 포자낭군은뒷면 윗부분에 2줄로 달리고 둥글며 포막은 없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5 Lepisorus onoei 애기일엽초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6 Lepisorus thunbergianus 일엽초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7 Lepisorus ussuriensis 산일엽초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8 Loxogramme grammitoides 주걱일엽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99 Loxogramme salicifolia 버들일엽 한라산 계곡의 이끼가 낀 바위 또는 나무줄기 밑동에붙어서 자라는 상록다년초(常綠多年草)로서 근경은 검은 쇠줄 같고 옆으로 벋으며 적갈색 인편으로 덮이고지름 1?1.5mm이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자루는 길이 2~ 10mm 로서 연한녹색 또는 볏짚색이고 좁은 날개가 있다. 잎새는 단엽이며 좁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15~20cm, 너비 5~ 17mm 로서 양끝이 좁으며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녹색이고 마르면 뒤로 말린다.주맥은 표면으로 도드라지며 측맥은 잎살 속에 묻혀있다. 포자낭군은 윗부분에달리고 황색이며 선형으로서 길이 1 ?2.5cm 이다.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100 Neolepisorus ensatus 밤일엽 관상 한반도 관속식물 자원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 1,2,3
데이터 샘플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판매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www.infoboss.co.kr 인포보스 010-9097-3786 starflr@infoboss.co.kr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라이선스 권한 접근권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opyright 2019, 인포보스, all rights reserved public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품질측정검사 실시 품질측정기간 20191101~20191131
품질측정기관 인포보스 품질측정연락정보 02-6341-1187
품질측정결과 정상 품질측정내용 관계, 오류 데이터 점검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의 글만 수정이 가능하며, 타인의 글에 댓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 댓글이 달린 글은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문의 내용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

2021-07-08

조회수 1957

산림자원관리

자생 버섯/지의류 종목록

자생 버섯/지의류 종목록

4

무료

2021-07-08

조회수 3498

산림자원관리

자생 식물 사진 정보

자생 식물 사진 정보

4

무료

2021-07-08

조회수 2685

산림자원관리

자생 식물 종목록

자생 식물 종목록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448

산림자원관리

한약 자원 종목록

한약 자원 종목록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871

산림자원관리

자생 곤충 사진 정보

자생 곤충 사진 정보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782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식물 유전체 원 데이터

자생종 식물 유전체 원 데이터

2

무료

2021-07-08

조회수 1319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데이터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478

산림자원관리

자생 기타 종목록

자생 기타 종목록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258

산림자원관리

산림 자원 SSR 정보

산림 자원 SSR 정보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825

산림자원관리

국내 자생생물 지역별 위치 정보

국내 자생생물 지역별 위치 정보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90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병 저항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자생종 병 저항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13

산림자원관리

자생 기타 사진 정보

자생 기타 사진 정보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314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200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효소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자생종 효소 유전자 발현확률 데이터

1

무료

2021-07-08

조회수 1010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생리활성물질 정보

자생종 생리활성물질 정보

0

₩ 22,315,646

2021-07-08

조회수 1214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해 정보

자생종 유해 정보

0

₩ 6,471,633

2021-07-08

조회수 1266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곤충 위치 정보

자생종 곤충 위치 정보

0

₩ 19,868,273

2021-07-08

조회수 1295

산림자원관리

자생 곤충 종목록

자생 곤충 종목록

0

무료

2021-07-08

조회수 1034

산림자원관리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계통확률 데이터

자생종 유용성 유전자 계통확률 데이터

0

무료

2021-12-27

조회수 996

산림자원관리

항바이러스 제 후보 식물 기후대 정보

항바이러스 제 후보 식물 기후대 정보

0

무료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Address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28 청호나이스빌딩 6층
E-mailfdex@datastreams.co.kr Tel02-6393-2730
(주)데이터스트림즈대표이사 이영상 사업자등록번호214-86-91079
민원이나 환불 처리의 주체는 데이터스트림즈입니다.
    산림청     한국임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