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산림 자원 생리활성물질 정보
자생종 생리활성물질 정보
- 국내 자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생리확성물질 정보를 제공
산림자원관리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221.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22,315,646
조회수 1003 / 다운수 1
0
데이터 상품 정보 |
---|
● 데이터 키워드
- 유용성정보, 종목록, 생리활성물질
● 데이터 상품 정보
- 본 상품은 국내 자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생리확성물질 정보를 제공합니다.
- 종목록 유용성 정보 융합데이터
● 컬럼(속성) 정보
- 화학물명
- CAS번호
- IUPAC 명
- 비고
- 학명
- 국명
- 종 설명1/2
- 출처
● 기간 및 범위
- 2019년 7월 ~ 2019년 12월
|
데이터 키워드 |
---|
생리활성, 2차대사산물, 국내 자생종, 산림생물자원, 산업활용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infoboss | 2019-11-29 | 2021-07-08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없음 | csv/zip | 다운로드 | 221.00 KB |
번호 | 화학물명 | CAS 번호 | IUPAC 명 | 비고 | 학명 | 국명 | 종 설명 1 | 종 설명 2 | 출처 |
1 | cudranin | Morus alba | 뽕나무 |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잔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없어진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장타원상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 꽃은 2가화로서 6월에 피고 응화서는 새가지의 밑부분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는 미상화서(尾狀花序)에 달리며 자화서는 길이 5~10mm이고 암꽃의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이 2mm이다. 씨방은 털이 없으며 열매는 길이 l~2.5cm로서 6월에 혹색으로 익는다.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처진뽕나무. for. pendula Dippel 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 | artemetin | Achillea alpina | 톱풀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3 | artemetin | Achillea alpina | 톱풀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 | ginkgolide A | Ginkgo biloba | 은행나무 | 높이가 60m 이상. 지름이 4m에 달하는 낙엽교목(落葉喬木)으로서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것처럼 보이고 부채모양이며 맥이 2개씩 갈라진다. 긴가지의 잎은 깊이 갈라지고 짧은 가지의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이 많다. 꽃은 짧은 가지에 달리며 2가화(때로 1가화)로서 5월에 잎과 같이 핀다. 수꽃은 卜5개의 미상화서(尾狀花序)에 달리고 화서축(花序軸)은길이 3?4cm 이며 암꽃은 1가지에 6~7개씩 달리고 길이 2cm의 꽃자루〔花梗〕에는 각각 2개씩의 밑씨가 달리지만 대개 1개만이 10월에 익는다. 열매의 황색 종의(種衣)는 악취가 나며 빨리 썩고 종자는 난상 원형이며2?3개의 능선이 있고 첨두(尖頭) 원저(圓底)로서 길이1.5~2.5cm이며 겉이 백색이기 때문에 백과(白果)라고도한다. 배유(胚乳)는 황록색이고 식용으로 한다. 공원수와가로수로 많이 심으며 절의뜰에도 많이 심고 임목은 귀중한 가구재로 쓰인다. 황색열매의 겉모양이 살구와 비숫하기 때문에 은행(銀杏)나무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 | gomisin | Schisandra chinensis | 오미자 | 사계절산약초, 푸른행복, 장광진, 성환길, 곽준수, 2012 | |||||
6 | swertianmarin | Gentiana scabra | 용담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7 | visotoxin | Viscum album coloratum | 겨우살이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8 | akeboside | Akebia quinata | 으름덩굴 | 황해도 이남의 산야에서 혼히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잎은 새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掌狀複葉)이고 소엽은 5개(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凹頭)이며 원저(圓底) 또는 넓은 예저(銳底)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1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지름 2.5~3cm로서 자갈색이고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잎이 있다.장과(漿果)는 길이 6?10cm로서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과육을 먹을 수 있다. 소엽이6~9개인 것을 여덟잎으름, var. polyphylh Nak.이라고 하며 속리산 ?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줄기를 약용으로 하거나 바구니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 | acacetin | Clerodendrum trichotomum | 누리장나무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10 | acacetin | Chrysanthemum indicum | 감국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1 | daidzin | Pueraria lobata | 칡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2 | nigakilactone D (=quassin) | Picrasma quassioides | 소태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3 | caffeic acid | Saxifraga stolonifera | 바위취 | 중부 이남에서 심고 있는 상록다년초로서 음습지(陰濕地)에서 잘 자라고 짧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하며 잎이 없는포복지 끝에서 새싹을 형성하고 전체에 적갈색의 긴 털이있다. 잎은 신장형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얕은 결각(缺刻)이 있고 길이 3~5cm, 너비 3~9cm로서 표면은 녹색이지만 연한 색의 무늬가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고 잎자루는 길이 3~10cm이다.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줄기는 높이 20?40cm 이며 꽃차례는 원추형이고 길이 10?20cm 로서 짧은 홍자색의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서 위쪽의 3개는 길이 3_ 정도이고 연한홍색 바탕에짙은홍색 반점이 있으며 아래쪽열편은 백색이고 길이 10?20mm로서 반점이 없으며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2개로 얄게 갈라지며 종자는 난형이고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민간에서 전초(全草)의 생즙을 백일해 ? 종처 ? 화상 및 동상에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4 | caffeic acid |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 오갈피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5 | caffeic acid | Prunella vulgaris asiatica | 꿀풀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6 | caffeic acid | Sambucus williamsii | 딱총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7 | caffeic acid | Solidago virgaurea asiatica | 미역취 |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지오북, 국립수목원, 2010 | |||||
18 | caffeic acid | Taraxacum platycarpum | 민들레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9 | glaucoginin A | Cynanchum atratum | 백미꽃 |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500η 에 달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잎과 더불어 털이 밀생한다.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6~ 15cm, 너비 3~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8~12mm이다. 꽃은 5?7월에 피고 혹자색(黑紫色〉이며 잎겨드랑이에모여달리고 꽃자루가 거의 없으며 소화경은 산형으로 달리고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피침형이며 꽃부리통보다 짧고 꽃부리는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안쪽은 짙은 자주색으로서 털이없고 끝에서부터 1/2~2/3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상 장타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둔두이며 부화관의 열편은 타원형이고 원두이다. 골들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8cm, 지름 1.5cm 로서 잔털이 밀생하고 종자에긴 백색 털이 있다. 민간에서 잎을 강장제로 사용한다. 꽃에 녹색이 도는 것을 푸른백미꽃, for.viridesxns Ohwi 이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0 | icarisid II | Epimedium koreanum | 삼지구엽초 | 경기도 이북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30cm 에달하고 한 포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자란다. 근경은 옆으로 벋으며 잔뿌리가 많이 달리고 꾸불꾸불하며원줄기 밑을 비늘 같은 잎이 둘러싼다. 뿌리에서 돋은잎은 잎자루가 길고 원줄기에서 1?2개의 잎이 호생하며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라고한다. 소엽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5~ 13.5cm. 너비 1.5~7.2cm 로서 가장자리에털 같은 잔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황백색이며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밑을 향해 달리고 꽃받침잎은8개로서 겉의 4개는 작으며 크기가 서로 같지 않고 일찍 떨어지지만 안쪽의 4개는 크며 크기도 비슷하다.꽃잎은 4개로서 긴 거(距)가 있고 1개의 암술과 4개의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들창문처럼 터지고 열매는골들(??)로서 길이 10-13mm. 지름 5?6mm 이다. 음양곽(淫羊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전초를 강장및 강정제로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1 | bupleurumol | Bupleurum latissimum | 섬시호 | 울릉도 바닷가 초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고 근경이 갈라지며 털이 없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잎은 거의 2줄로 배열되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이며 뿌리에서 돋은 잎은 총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12-18cm 로서 밑부분이 넓으며 안쪽에 있는 것과 원줄기를 감싼다. 잎새〔葉身〕는 넓은 난형이고 11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심장저로서 갑자기 좁아지며 길이 6~13cm, 너비 4.5~llcm이고 가장자리가 물결형이다.밑부분의 줄기에 달린 잎은 짧은 잎자루 날개가 있으며 원줄기를 감싸고 11개의 조선(條線)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잎자루가 없고 장타원상 난형이며 완전히 원줄기를 감싼다. 포엽(苞葉)과 소포엽(小苞葉)은 각각5개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심장저이고 소화경과 씨방에 털이 없다. 꽃받침은 거의 없으며꽃잎은 도란형이고 황색으로서안쪽으로 굽으며 끝이 뾰족하고5개의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며꽃밥은 난형이고 황색이다. |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지오북, 국립수목원, 2010 | ||||
22 | jaceosidin | Artemisia argyi | 황해쑥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3 | avicularin | Polygonum aviculare | 마디풀 | 길가에서 비교적 혼히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 30-40cm이고 털이 없으며 곧추서는 것도 있으나 혼히 옆으로 비스듬하게 퍼지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다소 딱딱한 감이 든다. 잎은 호생(互生)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장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1.5?4cm, 너비 3? 12mm 로서 말랐을 때는 녹색이다. 잎집〔葉革肖〕같은 턱잎은 얇고 2개로 크게 갈라진 다음 다시잘게 갈라지며 길이 5?10mm로서 가는 맥과 더불어가장자리에 굵은 털이 있다.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피고 잎겨드랑이〔葉?〕에 1개 내지 여러 개씩 달리며꽃받침은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돌고 5개로갈라진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6~8개이고 암술대〔花柏는 3개로 갈라지며 열매는 세모가 지고 화피(花被)보다 짧으며 잔점이 있고윤채가 없다. 어린 잎올 식용으로 하고 전초(全草)를이뇨제로 사용하거나 회충구제에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4 | avicularin | Saururus chinensis | 삼백초 | 제주도 협재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 이며 근경(根莖〉은 백색이고 진흙 속을 옆으로 벋어간다.잎은 호생하며 장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5~ 15cm, 너비 3~8cm로서 5~7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은 심장상 이저(耳底)이고 표면은 연한녹색, 뒷면은 연한백색이지만 윗부분의 2?3개의 잎은 표면이백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l~5cm로서 밑부분이 다소 넓어져서 원줄기를 안는다. 꽃은 양성으로서 6~8월에 피며백색이고 수상화서(?狀花序)는 잎과 대생하며 길이 10~15cm로서 꼬불꼬불한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지다가 곧추선다. 소포(小苞)는 난상 원형이며 지름 1.5mm 정도이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2?3mm이며 꽃잎이 없다. 수술은6~7개이고 심피(心皮)는 3~5개로서 털이 없으며 열매는 둥글고 종자는 각 실에 대개 1개씩 들어 있다. 잎 ?꽃및 뿌리가 백색이기 때문에, 또는 윗부분에 달린 2?3개의 잎이 희어지기 때문에 삼백초(三白草)라고 한다. |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지오북, 국립수목원, 2010 | ||||
25 | aectiin | Forsythia viridissima | 의성개나리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6 | arjunolic acid | Phlomis umbrosa | 속단 | 높이가 lm 에 달하는 다년초로서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뿌리에 비대한 덩이뿌리〔塊根〕가 5개 정도 달린다. 잎은대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너비 10cm 또는그 이상 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올라가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꽃은 7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여 전체가 큰 원추화서로 되며 각 소화서(小花序)는 잎겨드랑이에서 대생하고 다시 분지 위에서 소화경이 대생하여 각각 4~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8mm 정도이고 꽃받침잎은 털 같은 돌기로 되며잔털이 약간 있고 꽃부리는 순형이며 길이 1.8cm 정도이고 상순은 모자형으로서 겉에 우단같은 털이 밀생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있다. 소포는 길이 7~10mm 로서 선형이며 짧은 털이 있고 열매가 꽃받침으로 싸여 익는다.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뿌리는금창 및 부인병에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7 | eudesmanolide | Inula japonica | 금불초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28 | coniine alkaloid | Caltha palustris | 동의나물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29 | borneol | Thymus quinquecostatus ?elak. | 백리향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0 | borneol | Artemisia argyi | 황해쑥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1 | 7-dimethyl ether | Artemisia capillaris | 사철쑥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2 | darutogenol | Sigesbeckia glabrescens | 진득찰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3 | ecliptine | Eclipta prostrata | 한련초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4 | meliatoxin A2 | Melia azedarach | 멀구슬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5 | timosaponin A-III | Anemarrhena asphodeloides | 지모 | 황해도 서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굵고 옆으로 벋으며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20?70cm로서 끝이 실처럼 가늘며 밑부분이 서로 안기어 원줄기를 감싼다. 꽃은 6?7월에 피고 2?3개씩 이삭처럼 모여달리며 통 같고 길이 7~8_로서 윗부분이 6개로 갈라진다. 꽃줄기〔花莖〕는 잎 속에서 나와 60-90cm 정도 자라며 포(苞)는 난형이고 길게 뾰족해진다. 수술은 3개이며 안쪽 화피(花被) 열편의 중앙에 붙어 있고 삭과(?果)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2mm 정도로서 양끝이 좁고 3실이다.각 실(室)에는 검은 종자가1개씩 들어 있으며 종자에3개의 날개가 있다. 근경을약용으로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6 | 24-dihydrocucurbitacin D | Trichosanthes kirilowii | 하늘타리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7 | 1-pulegone | Glechoma longituba | 긴병꽃풀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8 | anisaldehyde | Agastache rugosa | 배초향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39 | loniceroside A | Lonicera japonica | 인동덩굴 | 반상록덩굴성 관목으로서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잔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고 속이 비어 있다.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끝이 둔한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너비 l~3cm로서 톱니가 없고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 남으며잎자루는 길이 5mm로서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2cm로서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꽃받침잎은 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겉에털이 있고 통부 안쪽에 누운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갈라지고 그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서 9~10월에 혹색으로 익는다. 어린 가지와잎에 갈색 털이 있는 것을 털인동. var. repens Rehder,잎 가장자리 이외에는 털이 거의 없고 상순이 반 이상갈라지며 겉에 홍색이 도는 것을 잔털인동. for. chinensisHara이라고 한다. 잎과 꽃을 이뇨 ? 건위 · 해열 및 소염제로 사용하거나 늑막염에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0 | lycopodin | Lycopodium clavatum | 석송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1 | shionone | Celosia argentea | 개맨드라미 | 열대지방에 널리 퍼져 있는 1년초로서 관상용으로 심고 있으며 원줄기는 높이 40?80cm로서 곧추 자라고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끝이 뾰족하며 길이 5?8cm, 너비 1 ?2.5cm로서 밑부분이 밑으로 홀러 잎자루가 없거나 있다. 꽃은 양성으로서7?8월에 피고 연한홍색이며 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8cm, 지름 l~2.5cm 로서 피침형 또는 원주형이다. 포(苞)와 소포(小苞)는 넓은 피침형이며 백색이고 건막질(乾膜質)이며 길이 4mm 장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꽃이 진 다음에 백색으로 되고 길이 8~10_로서 끝이 뾰족하며 1맥이 있고 밑부분에 가는 맥이있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의 밑부분이 합생(合生)하고열매는 꽃받침보다 짧으며수평으로 갈라져서 윗부분이떨어지고 끝에 길이 3mm 정도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 종자는 여러 개씩 들어 있으며지름 1.5 mm 정도이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2 | shionone | Aster koraiensis | 벌개미취 |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60cm 이고 근경이 옆으로 벋으며 곧추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있으며 뿌리에서 돋은 잎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9cm. 너비 1.5~3cm 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길이 4?이다. 꽃은 6~10월에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8_이다.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4?5mm,너비 1.5mm 로서 장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털이 있으며 설상화의 꽃부리는 길이 26mm, 너비 3.5~4mm 이다. 수과는 길이 4mm,지름 1.3mm 로서 도피침상장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관모도 없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지오북, 국립수목원, 2010 | ||||
43 | shionone | Aster tataricus | 개미취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4 | 에보니민 | Euonymus hamiltonianus | 참빗살나무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45 | glucotropaeolin | Lepidium apetalum | 다닥냉이 | 북아메리카에서 들어와 각지에 퍼진 2년초로서 높이30~60cm이며 털이 없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길고 짙은녹색이며 한군데에서 많이 나와 방석같이 퍼지고 길이 3?5cm로서 우상복엽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호생하며 잎자루가 없고 밑부분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홀수우상 및 도피침상의 단엽(單葉)을 거쳐 선형으로 되며 길이 1.5~5cm, 너비 2?10mm이고 가장자리에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과원줄기 끝에 작은 십자화(十字花)가 총상으로 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녹색이며 같은 수의 꽃잎은불완전한 것도 있고 6개의수술 중 4개는 길며 1개의암술은 자라서 지름 3mm정도로 되고 끝이 오목하게파진 원반 같은 열매로 된다. 종자는 적갈색으로서 작으며 원반형이고 가장자리에 있는 흰 막질의 날개가젖으면 점질로 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6 | methylchavicol | Agastache rugosa | 배초향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7 | gingenosida R0 | Panax ginseng | 인삼 |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지오북, 국립수목원, 2010 | |||||
48 | sennoside E | Rheum coreanum | 장군풀 | 백두산 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속이 빈 원줄기는높이가 2m에 달하고 밑부분은 지름 5cm 정도로서 세로줄이 있으며 뿌리가 굵어지고 황색이며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윗부분이 흑갈색 인편으로 싸여 있다. 뿌리에서 돋은잎은 장상엽(掌狀葉)으로 3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은 뾰족하게 다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과 가장자리에 누운 털이 있다. 잎자平는 지름 2~2.5mm 로서 털이 없고 턱잎〔托葉〕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8cm로서 가장자리가혹갈색이다. 2개의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0cm, 너비 40cm 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에서3개의 큰 맥이 발달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복총상화서(複總狀花序)가 모여 원줄기의 끝에서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서축(花序軸)은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으나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소화경은중앙 이하에 환절(環節)이 있고꽃받침잎은 6개가 2줄로 배열되며 안쪽 것이 보다 크고 길이2mm 정도로서 황백색이며 수술은 10개로서 털이 없고 꽃밥〔葯〕은 짙은홍색이다. 씨방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3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수과는 꽃받침으로싸여 있다. 뿌리를 건위제(健胃劑)로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49 | estrone | Prunus armeniaca | 살구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0 | arginine | Capsella bursa-pastoris | 냉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1 | arginine | Dioscorea japonica | 참마 |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긴 원주형(圓柱形)의 육질(肉質) 뿌리가 있다. 잎은 대생(對生)하지만간혹 호생(互生)하는 것도 있으며 잎자루가 길고 길이5~10cm. 너비 2?5cm 로서 장타원형 또는 좁은 3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저로서 녹색이며 털이 없고 잎겨드랑이에서 살눈〔肉芽〕이 발달한다. 꽃은 2가화로서 6~7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1-3개의 수상화서에 달린다. 응화서 (雄花序)는 곧추 자라고자화서(雌花序)는 밑으로 처지며 흰 꽃이 달리고 수꽃에는 6개씩의 수술과 화피열편 및 1개의 암술 흔적이있으며 암꽃에는 6개의 화피 열편과 1개의 3실 씨방이 있다. 삭과는 3개의 날개가 있고 종자도 막질의 날개가 있다. 뿌리를 식용으로하거나 강장 및 지사제로 사용한다. | 사계절산약초, 푸른행복, 장광진, 성환길, 곽준수, 2012 | ||||
52 | nuciferol | Torreya nucifera | 비자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3 | 16-hydroxypseudojolkinolide B | Euphorbia fischeriana | 큰땅빈대|낭독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4 | 1-pinocamphone | Glechoma longituba | 긴병꽃풀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5 | scutellarein | Scutellaria baicalensis | 황금 | 흔히 재배하고 있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60cm 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있고 원줄기는 네모가 지며 한군데에서여러 대가 나오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며양끝이 좁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2mm 정도이고 밑부분의 잎은 길이 4.5cm, 너비8_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8월에피며 자줏빛이 돌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꽃차례에 잎이 있고 각 잎겨드랑이에 꽃이 1개씩 달린다.꽃받침은 종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2개로 갈라지며 뒤쪽에 돌기가 있고 꽃이 진 다음 젖혀지며 화통은 길이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굽고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뒤의 열편은 투구형이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측열편(側裂片)과 거의합쳐지고 첫째 열편은 퍼지며 자주색이다. 열매는 꽃받침 안에 들어 있고 둥글다.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뿌리는 소염성 해열제 및 지사제로 사용한다.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56 | syringin | Phellodendron amurense | 황벽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7 | syringin |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 오갈피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8 | syringin | Kalopanax septemlobus | 음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59 | syringin | Plantago asiatica | 질경이 | 길가 또는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비스듬히 퍼지며 잎자루는 길이가 일정하지않으나 대개 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4~15cm, 너비 3~8cm로서 평행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물결형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 사이에서 길이 10~50cm의 꽃자루가 나와서 꽃이 이삭처럼 밀착하며 화수(花?)는 전길이의 1/3?1/2이고 털이 없으며 포는 좁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대가 거의 없다.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잎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흰 막질이지만 뒷면은 녹색이며 중앙부에 굵은 맥이 있다. 꽃부리는 깔때기모양으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며 씨방은 상위이고 암술은 1 개이다. 삭과는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익으면 옆으로 갈라지면서 뚜껑이 열리고 6~8개의 검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고 하여 한약재로 사용하고 연한 잎은 나물로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0 | syringin | Cirsium japonicum maackii | 엉겅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1 | panaxytriol | Panax ginseng | 인삼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2 | genkwadaphnin | Daphne genkwa | 팥꽃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3 | (+)-corydaline | Corydalis ternata | 들현호색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4 | adonitoxin | Adonis amurensis | 복수초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65 | machilin A | Machilus thunbergii | 후박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6 | umbelliferone 6-carboxylic acid | Angelica decursiva | 바디나물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7 | saikogenin E | Bupleurum latissimum | 섬시호 | 울릉도 바닷가 초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고 근경이 갈라지며 털이 없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잎은 거의 2줄로 배열되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이며 뿌리에서 돋은 잎은 총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12-18cm 로서 밑부분이 넓으며 안쪽에 있는 것과 원줄기를 감싼다. 잎새〔葉身〕는 넓은 난형이고 11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심장저로서 갑자기 좁아지며 길이 6~13cm, 너비 4.5~llcm이고 가장자리가 물결형이다.밑부분의 줄기에 달린 잎은 짧은 잎자루 날개가 있으며 원줄기를 감싸고 11개의 조선(條線)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잎자루가 없고 장타원상 난형이며 완전히 원줄기를 감싼다. 포엽(苞葉)과 소포엽(小苞葉)은 각각5개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심장저이고 소화경과 씨방에 털이 없다. 꽃받침은 거의 없으며꽃잎은 도란형이고 황색으로서안쪽으로 굽으며 끝이 뾰족하고5개의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며꽃밥은 난형이고 황색이다. |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지오북, 국립수목원, 2010 | ||||
68 | arginene | Hemerocallis fulva kwanso | 왕원추리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69 | stigmasterol palmitate | Plantago asiatica | 질경이 | 길가 또는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비스듬히 퍼지며 잎자루는 길이가 일정하지않으나 대개 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4~15cm, 너비 3~8cm로서 평행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물결형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 사이에서 길이 10~50cm의 꽃자루가 나와서 꽃이 이삭처럼 밀착하며 화수(花?)는 전길이의 1/3?1/2이고 털이 없으며 포는 좁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대가 거의 없다.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잎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흰 막질이지만 뒷면은 녹색이며 중앙부에 굵은 맥이 있다. 꽃부리는 깔때기모양으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며 씨방은 상위이고 암술은 1 개이다. 삭과는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익으면 옆으로 갈라지면서 뚜껑이 열리고 6~8개의 검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고 하여 한약재로 사용하고 연한 잎은 나물로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0 | kizutasponin | Hedera rhombea | 송악 | 전북 김제시 금구면, 울릉도 및 인천 앞바다까지 올라오는 상록덩굴식물로서 가지에서 기근(氣根)이 나와 다른 물체에 붙고 어린 가지는 잎 및 꽃차례와 더불어15~20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비늘털_毛〕이 있으나 잎의 것은 곧 없어진다. 잎은호생하며 굳고 윤채가 있는 짙은녹색이며 벋어가는 가지의 잎은 3각형 비슷하고3~5개로 얕게 갈라지며 절저 또는 심장저이지만 늙은 가지의 잎은 난형. 넓은난형 또는 마름모이고 양끝이 좁으며 때로는 예저 또는 원저로 되고 길이 3~6cm, 너비 2~4cm 로서 톱니가 없으며 잎자平는 길이 2?5cm 이다. 산형화서(傘形花序)는 1개 또는 여러 개가 가지 끝에 취산상으로 달리고 꽃은 양성으로서 10월에 피며 지름 4~5mm이고 녹황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l~1.5cm로서 성모(星毛)가 있다. 꽃받침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5개의 톱니가 있고 꽃잎은 5개로서녹색이며 겉에 성모가 있고 수술과 암술대는 각각 5개이며 씨방은 5실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 10mm로서 다음해 5월경에 흑색으로 익는다. 남부지방에서는소가 잘 먹기 때문에 소밥이라고도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1 | magnosalicin | Magnolia denudata | 백목련 | 중국 원산의 낙엽교목으로서 관상용으로 심고 있으며 줄기는 곧고 높이가 15m에 달하며 어린 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도란상장타원형이며 길이 10~15cm로서 끝이 둔두이지만 뾰족해지고 예저이며 표면에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연한녹색이며 엽맥에 털이 약간 있다. 이른봄에 가지 끝에서 큰 백색 꽃이 피고 꽃은 지름 12?15cm로서 향기가 강하다. 3개의 꽃받침잎과6개의 꽃잎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며 도란형에 가깝고 약간 육질이다. 열매는 원주형이며 길이 8~12cm로서 갈색이 돈다. 이와 비슷하지만 꽃잎의 겉이 연한 홍자색이고 안쪽이 백색인 것을 자주목련, var. purpurascens Rehder et Wils.이라고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2 | engelitin | Smilax china | 청미래덩굴 | 덩굴성 관목으로서 뿌리가 굵고 꾸불꾸불 옆으로 벋는다.원줄기는 마디에서 이리저리 굽으며 길이 3m 정도로서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3?12cm, 너비 2~10αη로서 두껍고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亞心臟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잎자루는 길이 7~20mm 이고 턱잎은덩굴손으로 된다. 꽃은 2가화로서 5월에 피며 황록색이고산형화서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5~30mm.소화경은 길이 1cm 정도이다. 화피 열편은 6개로서 장타원형이고 뒤로 말리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씨방은 장타원형으로서 3실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둥글고 지름 Ιση 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종자는 황갈색이며 5개 정도이다. 뿌리는 약용으로 하고 열매는 생식하며어린 순은 나물로 한다. 줄기가곧고 가지가 많으며 높이 20-50cm이고 잎은 길이 1?5cm, 너비7~43_이며 밑부분에서 5맥이 나오는 것을 좀청미래, var.micmphylla Nak. 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3 | cucurbitacin I | Trichosanthes kirilowii | 하늘타리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4 | euphorpekinensin | Euphorbia pekinensis | 대극 |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80cm에 달하고 뿌리가 굵으며 곧추 자라지만 밑부분에서 혼히 가지가 갈라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꼬부라진 흰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 너비 6? 12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잔톱니가 있으며 주맥에 흰빛이 돈다. 꽃은 6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하고 5개의가지가 산형(傘形)으로 갈라진다. 총포엽(總苞葉)은 넓은난형. 3각상 원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서 길이 5~12mm이며 배상화서의 선체(腺體)는 장타원형이고 지름 1.5mm 정도로서 검은 갈자색(褐紫色)이다. 1개의 암술로 구성된 1개의암꽃과 1개의 수술로 구성된몇 개의 수술이 소총포(小總苞)안에 들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삭과는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8mm 정도로서 겉이 밋밋하다. 뿌리를이뇨제로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5 | sinomenine | Sinomenium acutum | 방기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6 | angelic acid | Petasites japonicus | 머위 | 사계절산약초, 푸른행복, 장광진, 성환길, 곽준수, 2012 | |||||
77 | quercetin) | Aesculus turbinata | 칠엽수 | 일본산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30m에 달하고 경기도이남에서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잎은 대생하며 장상복엽(掌狀複葉)이고 소엽은 5~7개이며 긴 도란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작으나 중앙부의 것은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0cm, 너비 12cm 정도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적갈색의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겹톱니가 있다.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5?25cm, 지름 6~10cm로서 짧은 퍼진 털이 있으며 꽃은 잡성으로서 6월에 피고 수꽃에 7개의 수술과1개의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양성화는 7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꽃받침은종모양으로서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4개로갈라지며 열매는 도원추형(倒圓錐形)이고 지름 5cm 정도로서 3개로 갈라지며 10월에 익고 적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타닌 (tannin) 을 제거한 열매를 식용으로 한다.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78 | lonicerin | Lonicera japonica | 인동덩굴 | 반상록덩굴성 관목으로서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잔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고 속이 비어 있다.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끝이 둔한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너비 l~3cm로서 톱니가 없고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 남으며잎자루는 길이 5mm로서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2cm로서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꽃받침잎은 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겉에털이 있고 통부 안쪽에 누운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갈라지고 그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서 9~10월에 혹색으로 익는다. 어린 가지와잎에 갈색 털이 있는 것을 털인동. var. repens Rehder,잎 가장자리 이외에는 털이 거의 없고 상순이 반 이상갈라지며 겉에 홍색이 도는 것을 잔털인동. for. chinensisHara이라고 한다. 잎과 꽃을 이뇨 ? 건위 · 해열 및 소염제로 사용하거나 늑막염에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79 | aucubin | Plantago asiatica | 질경이 | 길가 또는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비스듬히 퍼지며 잎자루는 길이가 일정하지않으나 대개 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4~15cm, 너비 3~8cm로서 평행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물결형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 사이에서 길이 10~50cm의 꽃자루가 나와서 꽃이 이삭처럼 밀착하며 화수(花?)는 전길이의 1/3?1/2이고 털이 없으며 포는 좁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대가 거의 없다.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잎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흰 막질이지만 뒷면은 녹색이며 중앙부에 굵은 맥이 있다. 꽃부리는 깔때기모양으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며 씨방은 상위이고 암술은 1 개이다. 삭과는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익으면 옆으로 갈라지면서 뚜껑이 열리고 6~8개의 검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고 하여 한약재로 사용하고 연한 잎은 나물로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0 | gastrodin | Gastrodia elata | 천마 | 부식질(腐植質)이 많은 계곡의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높이 60~ 100cm 이며 잎이 없고 감자 같은 덩이줄기〔塊莖〕가있다. 덩이줄기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0?18cm, 지름 3.5cm로서 옆으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초상엽은 막질이고 길이1~2αη로서 잔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싼다. 꽃은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꽃차례는 길이 10~30cm로서 많은꽃이 달리고 포는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7?12mm, 너비 2mm로서 얇으며 잔맥이 있다. 외화피 3개는합쳐져서 표면이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처럼 보이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달리므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순판은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의 돌기로 화통부(花筒部)의앞쪽 내부에 달리므로 화피 열편가장자리에 약간 나타난 것을 볼수 있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 앞쪽에 암술머리가 있고 화분괴(花粉塊)에 대가 없다. 삭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2~ 15mm로서 끝에 화피가 있다. 전초를 강장제로 사용하거나 신경쇠약·현기증 및 두통에 사용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1 | ginkgolide B | Ginkgo biloba | 은행나무 | 높이가 60m 이상. 지름이 4m에 달하는 낙엽교목(落葉喬木)으로서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것처럼 보이고 부채모양이며 맥이 2개씩 갈라진다. 긴가지의 잎은 깊이 갈라지고 짧은 가지의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이 많다. 꽃은 짧은 가지에 달리며 2가화(때로 1가화)로서 5월에 잎과 같이 핀다. 수꽃은 卜5개의 미상화서(尾狀花序)에 달리고 화서축(花序軸)은길이 3?4cm 이며 암꽃은 1가지에 6~7개씩 달리고 길이 2cm의 꽃자루〔花梗〕에는 각각 2개씩의 밑씨가 달리지만 대개 1개만이 10월에 익는다. 열매의 황색 종의(種衣)는 악취가 나며 빨리 썩고 종자는 난상 원형이며2?3개의 능선이 있고 첨두(尖頭) 원저(圓底)로서 길이1.5~2.5cm이며 겉이 백색이기 때문에 백과(白果)라고도한다. 배유(胚乳)는 황록색이고 식용으로 한다. 공원수와가로수로 많이 심으며 절의뜰에도 많이 심고 임목은 귀중한 가구재로 쓰인다. 황색열매의 겉모양이 살구와 비숫하기 때문에 은행(銀杏)나무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2 | smilax saponin B | Smilax china | 청미래덩굴 | 덩굴성 관목으로서 뿌리가 굵고 꾸불꾸불 옆으로 벋는다.원줄기는 마디에서 이리저리 굽으며 길이 3m 정도로서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3?12cm, 너비 2~10αη로서 두껍고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亞心臟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잎자루는 길이 7~20mm 이고 턱잎은덩굴손으로 된다. 꽃은 2가화로서 5월에 피며 황록색이고산형화서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5~30mm.소화경은 길이 1cm 정도이다. 화피 열편은 6개로서 장타원형이고 뒤로 말리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씨방은 장타원형으로서 3실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둥글고 지름 Ιση 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종자는 황갈색이며 5개 정도이다. 뿌리는 약용으로 하고 열매는 생식하며어린 순은 나물로 한다. 줄기가곧고 가지가 많으며 높이 20-50cm이고 잎은 길이 1?5cm, 너비7~43_이며 밑부분에서 5맥이 나오는 것을 좀청미래, var.micmphylla Nak. 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3 | 3-butylphthalide | Angelica tenuissima | 고본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4 | epi-verazine | Veratrum nigrum ussuriense | 참여로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5 | C saponin | Aralia elata | 두릅나무 | 사계절산약초, 푸른행복, 장광진, 성환길, 곽준수, 2012 | |||||
86 | α-eudesmol | Magnolia obovata | 일본목련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7 | proline | Capsella bursa-pastoris | 냉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8 | salicarin | Lythrum salicaria anceps | 부처꽃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89 | nupharamine | Nuphar japonica | 개연꽃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0 | saurolactam | Saururus chinensis | 삼백초 | 제주도 협재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 이며 근경(根莖〉은 백색이고 진흙 속을 옆으로 벋어간다.잎은 호생하며 장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5~ 15cm, 너비 3~8cm로서 5~7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은 심장상 이저(耳底)이고 표면은 연한녹색, 뒷면은 연한백색이지만 윗부분의 2?3개의 잎은 표면이백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l~5cm로서 밑부분이 다소 넓어져서 원줄기를 안는다. 꽃은 양성으로서 6~8월에 피며백색이고 수상화서(?狀花序)는 잎과 대생하며 길이 10~15cm로서 꼬불꼬불한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지다가 곧추선다. 소포(小苞)는 난상 원형이며 지름 1.5mm 정도이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2?3mm이며 꽃잎이 없다. 수술은6~7개이고 심피(心皮)는 3~5개로서 털이 없으며 열매는 둥글고 종자는 각 실에 대개 1개씩 들어 있다. 잎 ?꽃및 뿌리가 백색이기 때문에, 또는 윗부분에 달린 2?3개의 잎이 희어지기 때문에 삼백초(三白草)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1 | gentisin | Gentiana scabra | 용담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92 | gentisin | Gentiana scabra | 용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3 | euparin | Eupatorium makinoi oppositifolium | 벌등골나물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4 | Galactan | Schisandra chinensis | 오미자 | 사계절산약초, 푸른행복, 장광진, 성환길, 곽준수, 2012 | |||||
95 | urticin | Laportea bulbifera | 혹쐐기풀 |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40?70cm 이고 잎겨드랑이에 달려 있는 살눈〔肉芽〕으로 번식한다. 뿌리에는작은 덩이뿌리〔塊根〕가 달리며 원줄기는 높이 40~70cm로서 곧추 자라고 잎과 더불어 가시털이 있다. 잎은 잎자루가 길며 장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길이 8? 15cm, 너비 4?7cm 로서 가장자리에 끝이뾰족하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양면, 특히 맥 위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1가화로서 응화서는 아래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원추화서이며 길이 4?7cm이고 수꽃은 4?5개씩의 꽃받침잎과 수술이 있으며 꽃가루는 백색이다. 자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나오고 한쪽으로 가지를 치며 화서축(花序軸)과더불어 길이 7? 15cm 로서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연한녹색이며 2개는 꽃이 핀 다음 크게 자라서 길이가 조5mm에달한다. 암술대는 선형이고수과는 찌그러진 원반형이며 길이 2.5~3_로서 짧은 대가 있다. 잎을 약용으로 한다.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96 | urticin | Urtica thunbergiana | 쐐기풀 | 식물독성학 / 임경수, 김원학, 손창환 저자 | |||||
97 | urticin | Urtica thunbergiana | 쐐기풀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8 | phytolacca saponin F | Phytolacca acinosa | 자리공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99 | nogakilactone G(=picrasin A) | Picrasma quassioides | 소태나무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
100 | benzoyloxypaeoniflorin | Paeonia lactiflora | 작약 | 다년초로서 높이 50?80cm 이고 뿌리가방추형이며 굵고 자르면 붉은빛이 돌기 때문에 적작약이라고 한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고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소엽은 피침형,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양면에 털이없으며 표면은 짙은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엽맥과 더불어 붉은빛이 돈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 적색 등 여러 품종이 있으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개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녹색이고 끝까지 남아 있다. 꽃잎은 10개 정도로서 도란형(倒卵形)이며 길이 5cm 정도이고 수술은 많으며 황색이다.씨방은 3~5개로서 털이 없고 짧은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지며 골들은 내봉선(內縫線)으로 터진다.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올 호작약. var. hirta Regel, 씨방에 털이 밀생한 것을 참작약, var. trichocaipa Bunge, 흔히 재배하는 것올 작약. var. hortensis Mak. 이라고 한다. | 한국약용식물도감, 해진미디어, 윤경원, 김무열, 2017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infoboss.co.kr | 인포보스 | 010-9097-3786 | starflr@infoboss.co.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19, 인포보스,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실시 | 품질측정기간 | 20191101~20191131 |
---|---|---|---|
품질측정기관 | 인포보스 | 품질측정연락정보 | 02-6341-1187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관계, 오류 데이터 점검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