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해외조림수종

한국임업진흥원_주요해외조림수종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자원관리

  •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
  • 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
  • 데이터 파일 용량

    40 Bytes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339 / 다운수 16

0
데이터 상품 정보

데이터 상품 정보

한국임업진흥원_주요해외조림수종
데이터 상품 정보

데이터 키워드

한국임업진흥원, 산림, 자원, 해외조림수종, 조림수종
데이터 상품 정보
판매제공처 데이터 등록일 데이터 수정일 데이터 이용기한
한국임업진흥원 2021-10-22 2024-11-07 무기한
데이터 상품 정보
상품 구분 데이터 배포 주기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데이터 제공 방식 데이터 파일 용량
dataset - csv/zip 다운로드 40 Bytes
연번 속명 학명 영명 원산지 설명
1 Acacia Acacia auricoliformis Australian wattle, coast wattle 호주,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상록수로 남미와 아프리카에 많이 조림되어 있고 중국과 인도 등 아열대 아시아에도 조림지가 분포하고 있다. 척박한 토양과 모래 언덕, 불안정한 경사에서도 잘 자란다. 펄프용재로 주로 사용되며 밀도와 발열량이 높아 좋은 숯을 생산하며 연기나 불꽃 없이 잘 탄다.
2 Acacia Acacia hybrid A. mangium x A. auriculiformis 파푸아뉴기니, 호주 북부 A. mangium과 A. auriculiformis의 자연교배종인 활엽수종으로써 주로 보르네오 섬 북부 웰크크지역에 자생한다. 이 수종의 가장 큰 특징은 생장이 빠르고 생육조건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경도와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심재부 부패가 없고, 수간의 횡단면 형상도 좋아 합판용재, 집성재, 차량바닥재 등으로 사용된다.
3 Acacia Acacia mangium Black wattle 호주,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본래 Mangium montanum Rumph로써 명명되어졌지만, 1806년 지금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mangium”이라는 종명은 이 나무를 은 인도네시아 맹그로브의 이름인‘mangge’에서 유래되었다.수관이 적당히 발달하고 빨리 자라기 때문에 가로수로 많이 이용한다.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질소를 고정하기 때문에 토양환경개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밀도는 中정도로 가구용 제재목 및 펄프재로서의 가치가 우수하다.
4 Acacia Acacia mellifera Swartaak, Swarthook 앙골라, 에티오피아, 케냐 낙엽성의 상록수로 Acacia mellifera라는 이름의 뜻은 달콤한 향기의꽃과 꿀을 의미한다. 주로 아프리카와 아라비아반도 등 건조한 지역의 사토와 암석이 많은 산허리에 분포하고 흑색 석회질토, 양질토를 선호한다. 나무는 오두막을 짓거나 울타리를 만들 때 사용되며 연료와 숯으로도 많이 쓰인다.
5 Acacia Acacia nilotica Lekkerruikpeul, Ruikpeul, Garad, Sunt, Sunut, Babul 탄자니아, 호주 상록수로 주로 탄자니아와 호주에 분포한다. 충분한 햇빛이 필요하며 서리에 민감하나 방목, 가뭄과 불, 염분에 강하다. 이 수종은 연료, 제지용 등 다양하게 사용되며 수피와 종자는 탄닌 추출의 원료로 쓰이고 뿌리와 꽃은 의약용으로 쓰인다. 목재는 펄프용재로 적합하며 토양 침식방지를 위해서 조림되기도 한다.
6 Agathis Agathis dammara Damar raja, kisi, salo, dayungan 인도네시아, 호주, 파푸아뉴기니아, 피지 등 침엽수에 속하고, 저지대의 열대우림으로서 우점한다. 해발고 2,000~2,400m까지 자라고 강수량은 연년에 걸쳐 2,000~4,000mm인 지역이 적지이다. 이 나무의 목재는 카우리(kauri)라 부르는데 수지(copal)의 생산으로 중요하다. 키가 큰 교목으로 자라며 65m 까지 이른다. 수간이 곧고 원통형이며 직경은 2~4m에 이른다. 성숙한 잎은 타원형이다.
7 Agathis Agathis robusta (Moore) Bailey Damar 인도네시아, 호주, 파푸아뉴기니아, 피지 등 이 수종은 용도가 다양하다. 목공예재, 선박의 제조, 식당용기, 패널, 선반, 몰딩재, 주물공장의 주조에 쓰인다. 세분하면 책상서랍, 자, 성냥개비, 연필, 가구재, 피아노부품, 의족으로도 쓰인다. 목재는 냄새가 나지 않아서 예전에는 찻장이나 버터용기로도 쓰였다. 또한 무늬가 아름다워 베니어판재와 장식용 합판으로도 좋다. 인조양모용 판재도 만들 수 있다. 기타 질이 좋은 포장지, 프린터 용지, 인조견사 등급의 펄프재, 목탄이나 활성탄의 제조에도 쓰인다. 수피의 안쪽에서는 투명한 백색의 송진이 나오는데 ‘copal’ 혹은 ‘Manila copal’ 로 부른다. 이 수지는 중요한 광택제와 리놀륨의 제조에도 쓰인다. 특수 용도로의 수출 수요가 계속 있으며 통조림의 라벨, 사진의 칼라프린트, 반사경의 페인트, 도로 표지판의 광택제로도 쓰인다. 인도네시아에서 광택용 수지, 향료, 램프, 봉합, 도포제, 거머리 방지용 연고의 제조에도 사용되었다. 송진의 채취로 인해 나무의 지상부를 자르거나 구멍을 내는 등 피해가 있다.
8 Albizia Albizia lebbeck Lebbeck, Lebbek tree, Hea tree, Frywood, KokoWoman’s tongues tree 남아시아의 열대지역 자귀나무속(Albizia) 수종으로 남아시아의 열대지역이 원산지이고 다른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폭넓게 재배되어 적응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흔한 수종 중 하나이며, 단순하게 “siris”로 흔히 부르는데, 이 이름은 지역적으로 그 나무속의 한 수종임을 나타낸다. 수고 18~30m로 자라며, 직경은 0.5~1.0m에 이른다. 잎은 이회우상(bipinnate)이고, 7.5~15cm이며, 1~4쌍의 날개가 있고, 각각의 날개는 6~18개의 작은 잎이 있다. 꽃은 희고, 2.5~3.8mm이며 수술이 많고, 향기가 짙다. 과실은 꼬투리가 15~30cm, 폭은 2.5~5.0cm이다. 각 꼬투리에 6~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9 Alstonia Alstonia scholaris (L.) R.Br white cheesewood, milk wood pine, blackboard pine,pulzi lilin, pulzi, pule, pulzi, white cheesewood, milky pine, ditz, lettiok, tinpet,sattzban, teenpet, hassaban, cymcua, cysa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뉴기니아 등 목재가 약하기 때문에 구조재로는 부적당하다. 종이상자, 나무상자, 관, 페인팅 보드, 사진틀, 성냥, 차광재, 인테리어 마감재, 가구재 구성요소, 주물 틀, 나막신과 같은 수예품, 장난감, 꼭두각시, 탈 등의 소재로 쓰인다. 유액의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에 전통 의약품으로 이용되었으며, 수피에서 채취한다. 자바에서는 이 목재로 학습용 칠판을 만들어 썼다. 유액은 상처의 소독에 쓰이고, 기름과 섞어서 전통의약으로 귀의 통증에 쓰였다. 유액은 질이 좋은 껌 생산에도 쓰이고, 정원수로도 심는다.
10 Alstonia Alstonia spectabilis R.Br Hard milkwood, Hard alstonia, A. spectabilis, A. macrophylla 열대아프리카, 오스트랄리아, 태평양 지역, 말레이시아, 대륙성 아시아 보통의 크기에서 수고 40m, 직경은 125cm까지 큰 나무로 자란다. 수피에는 회색 코르크가 형성되고, 모자이크 형태를 띤다. 수간은 튼튼하고 길어서 10m에 달하고 위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수피의 안쪽은 크림 - 노란색이고, 자르면 우윳빛의 유액이 다량으로 나온다. 수관은 좁은 돔형이고 울밀하고 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잎은 타원 피침형이고, 윤생(whorls)하고, 때로는 대생(opposite)으로 나타나고, 단순 전연으로 모양이 다양하다. 길이는 10~30cm이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희고 바깥쪽에 솜털이 있다. 잎에 탁엽이 있거나 없다. 과실은 2개의 여포(follicles)로 구성되어 있다. 종자는 배유가 있고 얇고 납작하며 때로는 날개가 있다. 유묘는 자엽 지상위 발아를 하며, 배축이 곧게 선다. 자엽은 두껍지 않고 타원형 혹은 난타원형이다. 주로 1차림이나 2차림으로 저지대의 상록수 혹은 낙엽성의 우림으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점토에서 발견되지만 모래나 심지어 석회질 토양에서도 자란다. 해발 1.000m까지 건조기간이 매년 0~3개월 정도 있는 곳에 분포한다.
11 Anthocepalus Anthocepalus cadamba (Roxb.) Miq. Kalampayan, Kadam. Kannada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인도-차이나, 중국남부, 태국, 말레이시아, 뉴기니아 천연림에서 종자가 많이 달린 나무가 있으며, 종자성숙시기에 지면을 정리하여 천연치수 발생을 촉진시킨다. 호광성 수종이므로 차광은 약하게 해준다. 식재된 나무는 잡초경쟁을 피하고, 덩굴류가 감고 올라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간이 통직하게 자라서 간벌이 용이하고, 수관이 크게 확장되지 않는다.
12 Anthocephalus Anthocephalus macrophyllus 몰루카제도, 셀레베스 A. macrophyllus는 해발고 50∼1,000m에서 잘 자란다. 환경 적응력이 매우 좋아서 다른 수종의 보존을 위한 완충림으로 혹은 뿌리가 깊이 내리는 특성으로 호수지역의 완충림으로 식재가 가능하다. 이상적인 생육온도는 18∼33℃이다. Redwood는 생장이 빠르며, sengon (Albizia)의 생장율과 비교될 정도이다. 평균 수확 시기는 4∼5년에 직경 20∼30cm가 된다. 적색을 띠고 목재의 결이 평활하여 합판재, 가구재, 베니어재, 가구 액세서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잎은 연녹색이고 매끄럽고 부드러운 솜털이 있고, 두께는 보통이며 핑크색에서 적색의 잎맥을 지닌다. 새로 돋아난 잎은 구릿빛에서 갈색을 띤다. 다른 열대수종과 마찬가지로 다량의 물과 햇빛을 필요로 한다. 유기물이나 무기물 비료를 주면 생장이 좋다.
13 Aquilaria Aquilaria mallacensis Lam.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수마트라, 깔리만탄, 슬라웨시, 몰루카스, 파푸아) 종자는 파종상에 흩어 뿌리고 혼합 퇴비로 1-2cm 얕게 복토한다. 파종상 및 차후 유묘의 이식은 비음처리를 해야 한다. 발아 후 잎이 3개 정도 나오면 비닐폿트에 이식 시킨다. 활착 후에는 비음 처리를 점차 낮추어 준다.
14 Azadirachta Azadirachta excelsa marrmgo tree, philppine neem tree, Kayu bawang, sentang,ranggu, saurian bawang, sa~dav~thiam, sentan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활엽수로 수고 50m, 직경 125cm에 달하는 큰 나무로 자란다. 수관하부에 버팀벽이 없다. 수피의 표면은 평활하고, 균열이 생기고, 털이 많고 박편이며, 핑크~갈색 혹은 핑크~회색이고, 점차 연갈색으로 변하거나 노령목이 되면 잿빛의 담황색을 띤다. 수피의 안쪽은 오렌지~적색을 띤다.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이며, 60~90㎝이다. 7~11개의 소엽편이 있고, 소엽편은 비대칭이며, 피칭형에서 장타원형으로 12.5x3.5㎝이다. 잎의 가장 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녹색계통~백색이고, 액생으로 많은 꽃이 달리는 원추꽃차례이며, 향기가 있고, 방사대칭을 이룬다. 과실은 핵과선이고 2.4~3.2㎝이고 녹색이며, 익으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태국에서는 2~3월에 꽃이 핀다. 과실은 개화 후 12주가 지나면 성숙하게 되는데 흔히 새나 박쥐가 먹는다.
15 Cananga Cananga odorata Ilang-ilan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다용도로 쓰인다. 카누(canoe)의 제조, 가구재, 신탄재, 끈, 밧줄 등을 만드는데 쓰인다. 꽃은 향기가 좋아 향신료 기름과 화환을 만든다. 수피는 위의 통증완화와 변비약으로 쓰인다. 자바에서는 건조한 꽃으로 말라리아의 치료제로, 생화는 천식(asthma) 치료에 쓰였다. 꽃의 증류액은 약초상과 방향요법 치료자에게 의학적으로 중요한 재료이다. 방향치료자는 꽃의 기름이 우울증, 호흡곤란, 고혈압, 성기능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증류시킨 오일은 때때로 음료나 식재료로도 이용된다. 목재는 붉은색, 노란색에서 연회색이고, 견고하지 않다. 표면이 거칠고 나뭇결이 직선으로 똑 바르다. 카누의 제조, 가구재, 선반세공, 나무상자, 나막신, 낚시의 부표로 쓰인다. 때로는 장작이나 기구의 손잡이로 쓰인다. 슬라웨시에서는 끈이나 밧줄을 만든다. 꽃은 향기가 매우 좋아서 화환, 머리장식, 기타 개인용 장신구로 쓰인다. 오일은 산업적으로 이용되며 프랑스로 수출된다. 1900년대에 하와이에서는 인기 있는 머리 포마드(pomade) 제조에 쓰였다.
16 Other Species Casuarina equisetifolia Agoho, She oak, Adjaob, Kasuari 호주 북부, 폴리네시아의 해안가 속성수로 열대 및 아열대의 해안가에 널리 식재된 수종으로 큰 줄과 선의 모양이 매력적인 목재이다. 펄프재로서의 가치가 높으며 질소 고정량이 매우 높다. 관상용으로 주로 식재되며 경계용 울타리 등으로도 식재된다.
17 Cerbera Cerbera odollam G bintan, sang la 관목에서 수고 30m까지 자라는 상록수이며 직경은 90cm에 이르고 버팀목이 없다. 수피의 표면은 불규칙하게 벗겨져 떨어지고 혹이 있다. 종자는 자엽지하위 발아(hypogeous germination)를 한다. 꽃은 충매수분을 한다. 과실은 물에 의해서 퍼지며 물가에서 아주 흔하게 씻겨 내린다. Cerbera속 수종들은 대체로 물과 관련이 있고 강이나 소류지를 따라서 분포한다. 습지림으로 망그로브 숲의 후면에서 자라지만 사바나 혹은 2차림의 가장자리에서 관목으로도 발견된다. C. manghas와 C. odollam는 망그로브 습지림, 그리고 조수가 있는 강 언덕의 주요 구성원이다. 그리고 점토 뿐만아니라 모래가 많은 해안가에서도 나타난다. 대부분의 수종들이 저지대의 1차 우림의 형태로 낮은 고도에서 자라지만, 어떤 수종들은 표고 2,000m까지 분포한다. 이 수종은 실생번식이 가능하다.
18 Other Species Dalbergia latifolia Roxb Indian rosewood, blackwood 인도, 인도네시아 열대아시아, 열대아메리카, 중남미에 분포하며 밀도가 높고 단단하며 고가이기 때문에 악기나 장식품을 만드는 곳에 사용한다. 목재는 아름다운 광택이 나지만 수지가 있어서 가공하기가 어렵다. 나무가 성숙하기도 전에 심재가 썩기 시작하여 중심부에 구멍이 생기기 때문에 심재의 부피는 크지만 정방형의 통나무나 두꺼운 판자는 얻기 어렵다.
19 Diospyros Diospyros celebica ebony, Kayuarang, Kayu malam, Toe, Sora, Ayu Maitang 뉴기니아, 인도네시아 동부지역, 슬라웨시(Sulawesi), 말라쿠(Malaku) 교목성의 나무로 대개 40m까지 자라며 지하고는 10~26m, 직경은 150cm까지 자란다. 버팀목은 4m까지 있다. 수피의 표면이 벗겨 떨어지며 검은색이다. 잎은 직선 타원형이며 12~35cm x 2.5~7.0cm 이다.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는 무겁고 단단한 목재이다. 심재는 농갈색이거나 흑색이며 붉은 색 띠가 있고 때로는 연녹색 띠가 있다. 비중은 15% 습도 하에서 m3 당 640~1,270kg 이다. 심재는 검고 혹은 연노랑색의 띠가 있다. 나무의 질감이 좋으며 연륜은 분명치 않다. 접선의 직경은 80~190㎛이고 구멍이 있다. 대부분 에보니는 1차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2차림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20 Dipterocarpus Dipterocarpus alatus 동인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말레이 반도, 태국 꽃은 크고 방사대칭이고, 액생화로 향기가 난다. 꽃받침이 달리며 5개로 나뉘고, 둥글게 겹쳐진 씨방이 관속에 들어있으나 들러붙어 있지 않다. 밸브가 있는 열편이 있고, 그중 두 개는 길쭉하다. 타원형에서 주걱모양이고, 다소 분명한 3개의 엽맥이 있고, 3개는 짧으나 모두 짧지 않다: 꽃잎이 크고, 타원형으로 좁아진다. 심하게 비틀리고, 낙엽 시에는 기부에 느슨하게 붙어있다. 과실의 견과는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있고, 비교적 크다. 과실 꽃받침의 열편은 14×3cm이고, 짧은 3개는 12×14mm이다. 이 나무의 특정한 별칭은 과실에 날개가 있음을 뜻한다.
21 Dracontomelon Dracontomelon dao (Blanco) Merr & Rolfe dao, dahu, sengkuang, basuong, sengkuang, New Guinea walnut, dao, kakho, samg kuan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시아 교목성의 나무로 45m까지 자라고, 20m까지는 수간에 가지가 없다. 직경은 1m까지 자란다. 버팀목이 좁게 형성되어 6m까지 생긴다. 수피는 불규칙하게 벗겨 떨어지고 회갈색, 갈색 혹은 녹색의 반점이 있다. 수피내부는 핑크 혹은 적색이다. 잎자루는 6~25cm 이고, 소엽은 길이 4.5~20cm x 2~7cm, 9~19개이며 호생 혹은 대생한다. 털이 없고 때로는 아래에 연모가 있다. 꽃은 길이 7~10mm 이다. 강우가 많고 건기가 짧은 지역에서 낙엽수의 형태로 1차림 혹은 2차 상록수, 반 낙엽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표고 1,000m까지 점토에서 자갈토양에 산재하여 나타난다. 목재 비중은 15% 습도 하에서 m3당 370~790kg 이다.
22 Dyera Dyera costulata Jeungjing, Sengon laut, Batai, Kayu, Machis, White Albazia, Moluccan sau, falcate, Jelutung 인도네시아, 말레시아 교목성의 낙엽수로 자라며 통직한 수간이 50~60m, 때로는 80m까지 달하고 직경은 3m에 이르는 큰 나무이다. 버팀목이 없으며 지하고는 25~30m에 이른다. 수피의 표면은 농회색이고 평활하며 작은 사각형의 비늘조각이 있고, 수피의 내부가 두껍고, 우윳빛의 유액이 있다. 잎은 대체로 매년 떨어진다. 잎은 윤생하며 털이 없다. 길이 15~25cm, 폭은 6~11cm이다. 꽃은 작고 희며 털이 없고 길이 5~18cm의 원추꽃차례이다.
23 Other Species Elaeis guineensis Oil palm, African oil palm 서아프리카 상록 활엽 교목으로 생장이 느리며 웅장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 등 열대지방에서 자라며 다른 나무들에 비해 오일생산량이 많다. 과피(果皮)에서 채취한 팜오일은 가정요리나 비누를 만드는 데 사용하며, 열매에서 채취한 오일은 화장품 원료나 마가린에 사용된다. 수꽃은 먹기도 하고, 수액은 설탕이나 와인으로 만든다.
24 Eucalyptus Eucalyptus botryoides Bangalay, Southern-mahogany 호주 동남부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스(New South Wales)와 빅토리아(Victoria)동부의 좁은 해안지대에서 강한 바람에 노출되어 자란다. 브라질, 이탈리아, 미국 캘리포니아, 뉴질랜드 등에서도 생육 가능하다. 북아프리카에는 E.camaldulensis와의 교배종(hybrid)을 심는다. 나뭇결은 단단하고 붉은 색을 띄고 있으며 비중이 높다. 목재는 건축자재, 합판용으로 사용된다.
25 Eucalyptus Eucalyptus camaldulensis River red gum 호주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식재되고, 상업적으로도 가치가 큰 유칼립투스 수종 중 하나이다. 충적토와 하천 인근 사토에서 잘 자라며, 연평균강수량 200~1,200mm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호주에서는 건조지나 반건조 지역에도 분포하지만 침수에는 약하다. 목재는 어두운 질감으로 펄프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나, 가구, 건축자재, 목탄, 연료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
26 Eucalyptus Eucalyptus citriodora Lemon-scented gum, Spotted gum, Lemon eucalyptus 호주(New South Wales 및 Queensland 주) 부드러운 수피, 곧은 수간이 특징이며 호주 퀸즈랜드(Queensland)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강수량 600~800mm의 포드졸(podsol) 및 적색토양(laterite)지역에서 생장한다.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식재된 이 수종은 중앙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인도에 가장 적합하다.시트로넬라(citronella)오일, 연료와 울타리용, 목재기둥 생산용으로 많이 식재되어 있다.
27 Eucalyptus Eucalyptus deglupta Blume Kamarere, Deglupta, Mindanao gum 파푸아 뉴기니, 필리핀 민다나오(Mindanao) 지역 파퓨아뉴기니와 필리핀의 민다나오섬이 원산지이며, 수피의 색깔이 녹색, 노란색, 빨간색, 파란색과 보라색 등 여러 가지 빛깔을 가져 ‘레인보우 검’으로 불린다. 생장이 빠르며 위도 9°~11°S 사이의 열대지역에 자란다. 자연적으로 북반구에서 나타난 유일한 유칼립투스 수종이다.
28 Eucalyptus Eucalyptus dunnii Dunn’s White Gum, Killarney Ash, White Gum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북동부, 퀸즐랜드 동남부) 자연적으로는 호주 퀸즈랜드(Queensland) 동남부 및 뉴사우스웨일스(New South Wales) 북동부 지역의 우림지역 주변에 자생한다. 비교적 추위에 강하며 건조에도 강하다. 토양조건에 민감하지는 않지만, 비옥하며, 습기가 있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 더 잘 자란다. 목재는내구성이 약하지만, 경량 건설자재, 펄프용재, 파티클보드 제조에는 적합하다.
29 Eucalyptus Eucalyptus globulus Blue gum, Tasmania Blue gum 호주(태즈매니아, 뉴사우스웨일즈, 빅토리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식재하는 수종으로 특히, 호주에 자생하는 유칼립투스 중 가장 먼저 조림에 이용되고, 가장 먼저 호주 이외 지역에서 식재된 수종이다. 조림면적은 최근 1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1.3백만ha가 늘어났다. 펄프용재, 용재용, 에센셜 오일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30 Eucalyptus Eucalyptus grandis Blue gum, Rose gum, Saligna, Saligna gum 호주 동부 연안 Flooded gum, Rose gum로 불리우며 세계적으로 열대와 아열대지역에서 2백만ha 이상 식재되어 있다. 천연적으로는 호주 동쪽 연안을 따라 광범위하게 분포된 이 수종은 관리하기 쉽고, 빠른 생장력을 지니고 있어 제재목, 펄프, 목탄, 산업용재로 활용가능한 수종이다. 목재는 전반적으로 부드러우며 다른 유칼립투스보다 밀도가 낮다. E. urophylla와의 교잡을 통해 균에 저항력이 있는 묘목을 만들 수 있다.
데이터 샘플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판매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www.kofpi.or.kr/ 한국임업진흥원 02-6393-2714 yongsok3@kofpi.or.kr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라이선스 권한 접근권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opyright 2021. BEAGLE CO., LTD. all rights reserved public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품질측정검사 품질측정기간 ~
품질측정기관 한국임업진흥원 품질측정연락정보 16003248
품질측정결과 품질측정내용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의 글만 수정이 가능하며, 타인의 글에 댓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 댓글이 달린 글은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문의 내용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

2024-11-07

조회수 341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떫은감(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떫은감(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13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밤(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밤(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13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복분자(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복분자(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1385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산딸기(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산딸기(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2-19

조회수 783

산림자원관리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굴피나무)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굴피나무)

0

무료

2024-12-19

조회수 1349

산림재해안전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박달나무)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박달나무)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11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은행(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은행(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09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잣(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잣(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2608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호두(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호두(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2-19

조회수 921

산림자원관리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산사나무)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산사나무)

0

무료

2024-11-07

조회수 1515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느릅나무(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느릅나무(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1427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두충(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두충(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865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마가목(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마가목(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848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산계릅(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산계릅(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2-19

조회수 1252

산림자원관리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주목)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주목)

0

무료

2024-12-19

조회수 861

산림자원관리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전나무)

임업진흥원_임목생육분포도(전나무)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42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산수유(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산수유(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39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산초나무(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산초나무(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334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오갈피(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오갈피(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2024-11-07

조회수 1284

산림자원관리

한국임업진흥원_더덕(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한국임업진흥원_더덕(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

0

무료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Address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28 청호나이스빌딩 6층
E-mailfdex@datastreams.co.kr Tel02-6393-2730
(주)데이터스트림즈대표이사 이영상 사업자등록번호214-86-91079
민원이나 환불 처리의 주체는 데이터스트림즈입니다.
    산림청     한국임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