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약용 생물자원 정보
약용 생물자원 효능 정보
- 약용 생물자원의 효능 정보입니다.
산림자원관리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122.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1613 / 다운수 259
10
데이터 상품 정보 |
---|
1. 상품 설명 및 특징
- 한의대학교 교과서 및 중국약전에서 약용 생물자원에 대해 기재된 효능 정보입니다.
- 약재가 가지는 개별 효능들에 대해서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합니다.
- 또한, 약재의 여러 효능들을 간략히 요약한 설명 데이터도 제공합니다.
2. 컬럼(속성) 정보
- 약재아이디(KRMC_SFRMD_ID): 약재의 일련번호
- 약재라틴명(KRMC_SFRMD_LATN_NM): 약재의 라틴명 또는 생약명
- 약재영문명(KRMC_SFRMD_ENGLS_NM): 약재의 일반 영문명
- 약재한글명(KRMC_SFRMD_KRN_NM): 약재의 한글 이름
- 약재한자명(KRMC_SFRMD_CHCHR_NM): 약재의 한자 이름
- 약재이명(KRMC_SFRMD_SNNM): 약재에 대한 다른 이름들
- 약재약용부위(KRMC_SFRMD_MDCNL_RGN_NM): 약용 생물자원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부위
- 약재학명(KRMC_SFRMD_SCNM): 약용 생물자원의 학명(binomial nomenclature)
- 약재효능요약(SFRMD_EFCT_SMMR): 약재의 모든 효능들을 한문장으로 간략히 요약
- 약재효능원문(SFRMD_EFCT_ORNAL_CONT): 약재의 개별 효능
- 약재효능원문한글(SFRMD_EFCT_ORNAL_KRN_CONT): 약재의 개별 효능 한글
- 약재효능원문한자(SFRMD_EFCT_ORNAL_CHCHR_CONT): 약재의 개별 효능 한자
- 약재효능(SFRMD_EFCT_DSCRT): 약재의 개별 효능에 대한 일반인 대상의 설명
- 날짜(LDNG_DT): 데이터 적재일 (샘플에는 날짜 컬럼이 없습니다.)
3. 활용 주의
상품 데이터는 UTF-8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UTF-8 포맷으로 열어야 합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을 클릭해서 열 경우 글자가 깨지기 때문에 엑셀에서 파일을 열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 엑셀을 실행한다.
- 엑셀의 데이터탭 -> 외부데이터가져오기에서 텍스트 클릭
- 열고자 하는 csv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클릭
- 텍스트 마법사에서 구분 기호로 분리됨과 유니코드(UTF-8)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구분기호에서 탭 해제하고 쉼표 선택하고 다음 클릭
- 마침 클릭
- 기존 워크시트 또는 새 워크시트 선택하고 확인 클릭
|
데이터 키워드 |
---|
약용 생물자원, 약재, 본초학, 교과서, 효능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한국한의학연구원 | 2019-12-27 | 2021-11-26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1년 | csv/zip | 다운로드 | 122.00 KB |
약재아이디 | 약재라틴명 | 약재영문명 | 약재한글명 | 약재한자명 | 약재이명 | 약재약용부위 | 약재학명 | 약재효능요약 | 약재효능원문 | 약재효능원문한글 | 약재효능원문한자 | 약재효능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강근골(强筋骨) | 강근골 | 强筋骨 | 근골을 튼튼하게 해 주는 것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거풍습(祛風濕) | 거풍습 | 祛風濕 |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것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보간신(補肝腎) | 보간신 | 補肝腎 | 간신(肝腎)을 보충하는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보신강요(補腎强腰) | 보신강요 | 補腎强腰 | 신(腎)을 보충하고 허리 강하게 하는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익기안신(益氣安神) | 익기안신 | 益氣安神 | 기(氣)를 더하여 정신을 편안하게 하는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활혈통락(活血通絡) | 활혈통락 | 活血通絡 | 혈액의 운행을 원활히 하고 경락(經絡)을 통하게 하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강근골(强筋骨) | 강근골 | 强筋骨 | 근골을 튼튼하게 해 주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보간신(補肝腎) | 보간신 | 補肝腎 | 간신(肝腎)을 보충하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산어혈(散瘀血) | 산어혈 | 散瘀血 | 어혈(瘀血)을 흩어지게 하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소옹종(消癰腫) | 소옹종 | 消癰腫 | 옹종(癰腫)을 사라지게 하는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거풍담(祛風痰) | 거풍담 | 祛風痰 | 풍담(風痰)을 제거하는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정경휵(定驚搐) | 정경휵 | 定驚搐 | 경풍(驚風)으로 인(因)한 사지(四肢)의 경련(痙攣)을 진정 시키는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지통(止痛) | 지통 | 止痛 | 통증을 그치게 하는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해독산결(解毒散結) | 해독산결 | 解毒散結 | 독을 없애 뭉친 것을 풀어주는 것 |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거풍제습(祛風除濕) | 거풍제습 | 祛風除濕 | 풍(風)을 제거하고 습(濕)을 제거하는 것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온경지통(溫經止痛) | 온경지통 | 溫經止痛 | 경락(經絡)을 따뜻하게 하고 통증을 그치게 하는 것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산한제습(散寒除濕) | 산한제습 | 散寒除濕 | 한(寒)을 흩어지게 하고 습을 없애는 것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회양보화(回陽補火) | 회양보화 | 回陽補火 | 양기(陽氣)를 회복시키고 화(火)를 보충하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거한습(祛寒濕) | 거한습 | 祛寒濕 | 한습(寒濕)을 제거하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산풍사(散風邪) | 산풍사 | 散風邪 | 풍사(風邪)를 흩어지게 하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온경(溫經) | 온경 | 溫經 | 경락(經絡)을 따뜻하게 하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지통(止痛) | 지통 | 止痛 | 통증을 그치게 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거풍이비(祛風利痺) | 거풍이비 | 祛風利痺 | 풍사를 제거해 관절과 기육의 저리고 아픈것을 이롭게 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소종지통(消腫止痛) | 소종지통 | 消腫止痛 | 종(腫)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화담개규(化痰開竅) | 화담개규 | 化痰開竅 | 담(痰)을 삭게하고 구멍을 여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화습행기(化濕行氣) | 화습행기 | 化濕行氣 | 습(濕)을 말리고 기를 운행시키는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거담지해(祛痰止咳) | 거담지해 | 祛痰止咳 | 담(痰)을 제거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양음청폐(養陰淸肺) | 양음청폐 | 養陰淸肺 | 음(陰)을 자양(滋養)하고 폐열(肺熱)을 내려주는 것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거담(祛痰) | 거담 | 祛痰 | 담(痰)을 제거하는 것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청열(淸熱) | 청열 | 淸熱 | 열(熱)을 식혀서 없애는 것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해백약독(解百藥毒) | 해백약독 | 解百藥毒 | 모든 독을 풀어주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개위지구(開胃止嘔) | 개위지구 | 開胃止嘔 | 열어 주어 위장(胃腸)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발표해서(發表解暑) | 발표해서 | 發表解暑 | 표사(表邪)를 발산시켜서 서사(暑邪)를 풀어주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방향화탁(芳香化濁) | 방향화탁 | 芳香化濁 | 향기로 탁한 것을 없애는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거풍(祛風) | 거풍 | 祛風 | 풍(風)을 제거하는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지경(止痙) | 지경 | 止痙 | 경련(痙攣)을 멈추게 하는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통락(通絡) | 통락 | 通絡 | 낙맥(絡脈)의 흐름을 원활히 통하게 하는 것 | |
15 | Agrimoniae Herba | 용아초 | 龍牙草 | 선학초(仙鶴草)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짚신나물 <i>Agrimonia pilosa</i> Ledebour 또는 기타 동속식물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 용아초는 출혈과 이질을 멎게 한다. 피를 토하는 증상이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 수렴지혈(收斂止血) | 수렴지혈 | 收斂止血 | 지혈(止血)하여 거두어 들이는 것 | |
15 | Agrimoniae Herba | 용아초 | 龍牙草 | 선학초(仙鶴草)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짚신나물 <i>Agrimonia pilosa</i> Ledebour 또는 기타 동속식물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 용아초는 출혈과 이질을 멎게 한다. 피를 토하는 증상이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 절학(截瘧) | 절학 | 截瘧 | 학질을 치료하는 것 | |
15 | Agrimoniae Herba | 용아초 | 龍牙草 | 선학초(仙鶴草)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짚신나물 <i>Agrimonia pilosa</i> Ledebour 또는 기타 동속식물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 용아초는 출혈과 이질을 멎게 한다. 피를 토하는 증상이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 지리(止痢) | 지리 | 止痢 | 이질(痢疾)을 그치게 하는 것 | |
15 | Agrimoniae Herba | 용아초 | 龍牙草 | 선학초(仙鶴草)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짚신나물 <i>Agrimonia pilosa</i> Ledebour 또는 기타 동속식물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 용아초는 출혈과 이질을 멎게 한다. 피를 토하는 증상이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 해독(解毒) | 해독 | 解毒 | 독을 없애는 것 | |
16 | Ailanthi Radicis Cortex | 저백피 | 樗白皮 | 저근백피(樗根白皮) | 근피(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수피(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 바깥 부분의 조직) | 이 약은 가죽나무 <i>Ailanthus altissima</i> Swingle (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이다. | 저백피는 약간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몸속의 열을 식히고 습을 말리고,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치료하며, 기운을 수렴하여 냉을 멎게 한다. | 수삽지대(收澁止帶) | 수삽지대 | 收澁止帶 | 대하(帶下)를 거두어 들여 새지않게 막는 것 | |
16 | Ailanthi Radicis Cortex | 저백피 | 樗白皮 | 저근백피(樗根白皮) | 근피(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수피(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 바깥 부분의 조직) | 이 약은 가죽나무 <i>Ailanthus altissima</i> Swingle (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이다. | 저백피는 약간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몸속의 열을 식히고 습을 말리고,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치료하며, 기운을 수렴하여 냉을 멎게 한다. | 지사(止瀉) | 지사 | 止瀉 | 설사를 그치게 하는 것 | |
16 | Ailanthi Radicis Cortex | 저백피 | 樗白皮 | 저근백피(樗根白皮) | 근피(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수피(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 바깥 부분의 조직) | 이 약은 가죽나무 <i>Ailanthus altissima</i> Swingle (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이다. | 저백피는 약간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몸속의 열을 식히고 습을 말리고,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치료하며, 기운을 수렴하여 냉을 멎게 한다. | 지혈(止血) | 지혈 | 止血 | 출혈을 멎게 하는 것 | |
16 | Ailanthi Radicis Cortex | 저백피 | 樗白皮 | 저근백피(樗根白皮) | 근피(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수피(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 바깥 부분의 조직) | 이 약은 가죽나무 <i>Ailanthus altissima</i> Swingle (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이다. | 저백피는 약간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몸속의 열을 식히고 습을 말리고,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치료하며, 기운을 수렴하여 냉을 멎게 한다. | 청열조습(淸熱燥濕) | 청열조습 | 淸熱燥濕 | 열(熱)을 식혀주고 습(濕)을 건조시켜 말려 없애는 것 | |
17 | Akebiae Caulis | Akebia Stem | 목통 | 木通 | 줄기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목통은 열을 식히고 소변을 잘 보게 하고, 혈맥이 잘 통하게 한다. 소변량이 적고 붉은 색을 띠는 증상이나 소변을 볼 때 아프고 고름같은 것이 나오는 증상, 부종을 치료한다. | 청열이뇨(淸熱利尿) | 청열이뇨 | 淸熱利尿 | 열(熱)을 식혀주고 소변을 원활히 통하게 하는 것 | |
17 | Akebiae Caulis | Akebia Stem | 목통 | 木通 | 줄기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목통은 열을 식히고 소변을 잘 보게 하고, 혈맥이 잘 통하게 한다. 소변량이 적고 붉은 색을 띠는 증상이나 소변을 볼 때 아프고 고름같은 것이 나오는 증상, 부종을 치료한다. | 통리혈맥(通利血脈) | 통리혈맥 | 通利血脈 | 혈액의 흐름이 매끄럽게 잘 통하게 하는 것 | |
18 | Akebiae Fructus | 예지자 | 預知子 | 임하부인(林下婦人), 팔월찰(八月札) | 잘 익은 열매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예지자는 단단히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하고 뭉친 덩어리를 풀어주고, 소변을 잘 보게 한다. 배나 옆구리가 더부룩하며 아픈 증상, 음식이 소화가 잘 안되는 증상에 사용한다. | 소간화위(疏肝和胃) | 소간화위 | 疏肝和胃 | 간(肝)의 울체를 소통시키고 위(胃)를 조화시키는 것 | |
18 | Akebiae Fructus | 예지자 | 預知子 | 임하부인(林下婦人), 팔월찰(八月札) | 잘 익은 열매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예지자는 단단히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하고 뭉친 덩어리를 풀어주고, 소변을 잘 보게 한다. 배나 옆구리가 더부룩하며 아픈 증상, 음식이 소화가 잘 안되는 증상에 사용한다. | 연견산결(軟堅散結) | 연견산결 | 軟堅散結 |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고 결체(結滯)를 풀어주는 것 | |
18 | Akebiae Fructus | 예지자 | 預知子 | 임하부인(林下婦人), 팔월찰(八月札) | 잘 익은 열매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예지자는 단단히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하고 뭉친 덩어리를 풀어주고, 소변을 잘 보게 한다. 배나 옆구리가 더부룩하며 아픈 증상, 음식이 소화가 잘 안되는 증상에 사용한다. | 이소변(利小便) | 이소변 | 利小便 | 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것 | |
18 | Akebiae Fructus | 예지자 | 預知子 | 임하부인(林下婦人), 팔월찰(八月札) | 잘 익은 열매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예지자는 단단히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하고 뭉친 덩어리를 풀어주고, 소변을 잘 보게 한다. 배나 옆구리가 더부룩하며 아픈 증상, 음식이 소화가 잘 안되는 증상에 사용한다. | 활혈지통(活血止痛) | 활혈지통 | 活血止痛 | 혈액의 운행을 원활히 하고 통증을 멎게하는 것 | |
19 | Albizziae Cortex | 합환피 | 合歡皮 | 야합피(夜合皮) | 줄기껍질 | 이 약은 자귀나무 <i>Albizzia julibrissin</i> Durazzini (콩과 Leguminosae)의 줄기껍질이다. | 합환피는 정신이 불안한 증상을 치료하고, 슬픔과 근심이 많은 불면증을 치료한다. | 안신해울(安神解鬱) | 안신해울 | 安神解鬱 | 정신을 안정하게 하고 울(鬱)을 해소하는 것 | |
19 | Albizziae Cortex | 합환피 | 合歡皮 | 야합피(夜合皮) | 줄기껍질 | 이 약은 자귀나무 <i>Albizzia julibrissin</i> Durazzini (콩과 Leguminosae)의 줄기껍질이다. | 합환피는 정신이 불안한 증상을 치료하고, 슬픔과 근심이 많은 불면증을 치료한다. | 활혈소종(活血消腫) | 활혈소종 | 活血消腫 | 혈액의 운행을 원활히 하고 종기를 없애는 것 | |
20 | Alismatis Rhizoma | Alisma Rhizome | 택사 | 澤瀉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질경이택사 <i>Alisma orientale</i> Juzepzuk (택사과 Alismataceae)의 덩이줄기로서 잔뿌리 및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택사는 설사를 하면서 소변량이 적어지는 증상을 치료하고, 몸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르며 그득한 증상을 치료하며, 담음으로 인해 눈앞이 아찔하고 머리가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 이소변(利小便) | 이소변 | 利小便 | 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것 | |
20 | Alismatis Rhizoma | Alisma Rhizome | 택사 | 澤瀉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질경이택사 <i>Alisma orientale</i> Juzepzuk (택사과 Alismataceae)의 덩이줄기로서 잔뿌리 및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택사는 설사를 하면서 소변량이 적어지는 증상을 치료하고, 몸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르며 그득한 증상을 치료하며, 담음으로 인해 눈앞이 아찔하고 머리가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 청습열(淸濕熱) | 청습열 | 淸濕熱 | 습열(濕熱)을 식혀서 없애는 것 | |
21 | Alli Tuberosi Semen | 구자 | 韮子 | 가구자(家韮子) | 씨 | 이 약은 부추 <i>Allium tuberosum</i> Rottler (백합과 Liliaceae)의 씨이다. | 구자는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자주 보는 증상, 허리나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으며 차갑게 느껴지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난요슬(暖腰膝) | 난요슬 | 暖腰膝 | 무릎과 허리를 따뜻하게 하는 것 | |
21 | Alli Tuberosi Semen | 구자 | 韮子 | 가구자(家韮子) | 씨 | 이 약은 부추 <i>Allium tuberosum</i> Rottler (백합과 Liliaceae)의 씨이다. | 구자는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자주 보는 증상, 허리나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으며 차갑게 느껴지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보간신(補肝腎) | 보간신 | 補肝腎 | 간신(肝腎)을 보충하는 것 | |
21 | Alli Tuberosi Semen | 구자 | 韮子 | 가구자(家韮子) | 씨 | 이 약은 부추 <i>Allium tuberosum</i> Rottler (백합과 Liliaceae)의 씨이다. | 구자는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자주 보는 증상, 허리나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으며 차갑게 느껴지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장양고정(壯陽固精) | 장양고정 | 壯陽固精 | 양기(陽氣)를 기르고 정기(精氣)를 튼튼하게 하는 것 | |
22 | Allii Bulbus | Garlic | 대산 | 大蒜 | 호산(葫蒜) | 인경: 비늘줄기. 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마늘 <i>Allium sativ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비늘줄기이다. | 대산은 독기를 풀어주고, 종기를 없애며, 기생충을 없앤다. | 살충(殺蟲) | 살충 | 殺蟲 | 벌레를 죽이는 것 |
22 | Allii Bulbus | Garlic | 대산 | 大蒜 | 호산(葫蒜) | 인경: 비늘줄기. 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마늘 <i>Allium sativ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비늘줄기이다. | 대산은 독기를 풀어주고, 종기를 없애며, 기생충을 없앤다. | 소종(消腫) | 소종 | 消腫 | 종(腫)을 없애는 것 |
22 | Allii Bulbus | Garlic | 대산 | 大蒜 | 호산(葫蒜) | 인경: 비늘줄기. 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마늘 <i>Allium sativ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비늘줄기이다. | 대산은 독기를 풀어주고, 종기를 없애며, 기생충을 없앤다. | 해독(解毒) | 해독 | 解毒 | 독을 없애는 것 |
23 | Allii Fistulosi Bulbus | Ciboule Root, Fistular onion stalk | 총백 | 葱白 | 파뿌리 | 비늘줄기(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파 <i>Allium fistulos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신선한 비늘줄기이다. | 총백은 찬바람을 맞아 든 감기 증상, 찬 기운으로 인해 배가 아픈 증상, 피부질환이나 종기로 인해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발표통양 (發表通陽) | 발표통양 | 發表通陽 | 표사(表邪)를 발산시켜서 양기(陽氣)를 통하게 하는 것 |
23 | Allii Fistulosi Bulbus | Ciboule Root, Fistular onion stalk | 총백 | 葱白 | 파뿌리 | 비늘줄기(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파 <i>Allium fistulos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신선한 비늘줄기이다. | 총백은 찬바람을 맞아 든 감기 증상, 찬 기운으로 인해 배가 아픈 증상, 피부질환이나 종기로 인해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해표살충(解表殺蟲) | 해표살충 | 解表殺蟲 | 표(表)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어 벌레를 죽이는 것 |
24 | Allii Macrostemi Bulbus | 해백 | 薤白 | 소근산(小根蒜), 해백두(薤白頭)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산달래 <i>Allium macrostemon</i> Bunge 또는 염부추 <i>Allium bakeri</i> Regel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해백은 기가 잘 흐르게 하여 체한 것을 통하게 한다. 가슴이 막히는 듯 하면서 아프고 쑤시는 증상과 담음으로 인해 기침을 하거나 숨이 가쁜 증상을 치료한다. | 통양산결(通陽散結) | 통양산결 | 通陽散結 | 양기(陽氣)를 통하게 하고 뭉쳐있는 것을 흩뜨려 풀어주는 것 | |
24 | Allii Macrostemi Bulbus | 해백 | 薤白 | 소근산(小根蒜), 해백두(薤白頭)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산달래 <i>Allium macrostemon</i> Bunge 또는 염부추 <i>Allium bakeri</i> Regel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해백은 기가 잘 흐르게 하여 체한 것을 통하게 한다. 가슴이 막히는 듯 하면서 아프고 쑤시는 증상과 담음으로 인해 기침을 하거나 숨이 가쁜 증상을 치료한다. | 행기도체(行氣導滯) | 행기도체 | 行氣導滯 | 기(氣)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것 | |
25 | Aloe | Aloe | 노회 | 蘆薈 | 액즙(液汁) | 이 약은 <i>Aloe barbadensis</i> Linné, <i>Aloe ferox</i> Miller, <i>Aloe africana</i> Miller 또는 <i>Aloe spicata</i> Baker의 잡종 (백합과 Lilliaceae) 의 잡종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 노회는 열이 맺힌 것을 풀어 대변을 잘 보도록 하며, 기생충을 없앤다. 소아가 경련, 의식장애 등을 나타내는 발작성 질환에 사용한다. | 사하(瀉下) | 사하 | 瀉下 | 대변으로 내리는 것 | |
25 | Aloe | Aloe | 노회 | 蘆薈 | 액즙(液汁) | 이 약은 <i>Aloe barbadensis</i> Linné, <i>Aloe ferox</i> Miller, <i>Aloe africana</i> Miller 또는 <i>Aloe spicata</i> Baker의 잡종 (백합과 Lilliaceae) 의 잡종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 노회는 열이 맺힌 것을 풀어 대변을 잘 보도록 하며, 기생충을 없앤다. 소아가 경련, 의식장애 등을 나타내는 발작성 질환에 사용한다. | 살충(殺蟲) | 살충 | 殺蟲 | 벌레를 죽이는 것 | |
25 | Aloe | Aloe | 노회 | 蘆薈 | 액즙(液汁) | 이 약은 <i>Aloe barbadensis</i> Linné, <i>Aloe ferox</i> Miller, <i>Aloe africana</i> Miller 또는 <i>Aloe spicata</i> Baker의 잡종 (백합과 Lilliaceae) 의 잡종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 노회는 열이 맺힌 것을 풀어 대변을 잘 보도록 하며, 기생충을 없앤다. 소아가 경련, 의식장애 등을 나타내는 발작성 질환에 사용한다. | 청간열(淸肝熱) | 청간열 | 淸肝熱 | 간(肝)의 열(熱)을 식혀주는 것 | |
26 | Alpiniae Katsumadai Semen | Alpina Katsumadai Seed | 초두구 | 草豆蔲 | 열매껍질 | 이 약은 초두구 (草豆蔲) <i>Alpinia katsumadai</i> Hayata (생강과 Zingiberaceae)의 씨로서 열매껍질을 제거한 것이다. | 초두구는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구역질을 멎게 하며, 입맛이 없는 증상과 배가 차갑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온위지구(溫胃止嘔) | 온위지구 | 溫胃止嘔 | 위(胃)를 따듯하게 하고 구토를 그치게 하는 것 | |
26 | Alpiniae Katsumadai Semen | Alpina Katsumadai Seed | 초두구 | 草豆蔲 | 열매껍질 | 이 약은 초두구 (草豆蔲) <i>Alpinia katsumadai</i> Hayata (생강과 Zingiberaceae)의 씨로서 열매껍질을 제거한 것이다. | 초두구는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구역질을 멎게 하며, 입맛이 없는 증상과 배가 차갑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조습건비(燥濕健脾) | 조습건비 | 燥濕健脾 | 습(濕)을 말리고 비(脾)를 튼튼하게 하는 것 | |
27 | Alpiniae Officinari Rhizoma | Alpinia Officinarum Rhizome | 고량강 | 高良薑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고량강(高良薑) <i>Alpinia officinarum</i> Hance (생강과 Zingibe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고량강은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음식의 소화를 돕고 소화불량으로 인한 통증을 멎게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찬 기운을 몰아낸다. | 소식지통(消食止痛) | 소식지통 | 消食止痛 | 식(食)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는 것 | |
27 | Alpiniae Officinari Rhizoma | Alpinia Officinarum Rhizome | 고량강 | 高良薑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고량강(高良薑) <i>Alpinia officinarum</i> Hance (생강과 Zingibe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고량강은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음식의 소화를 돕고 소화불량으로 인한 통증을 멎게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찬 기운을 몰아낸다. | 온위산한(溫胃散寒) | 온위산한 | 溫胃散寒 | 위(胃)를 따듯하게 하고 한사(寒邪)를 날려버리는 것 | |
28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 Bitter Cardamon | 익지 | 益智 | 열매 | 이 약은 익지 (益智) <i>Alpinia oxyphylla</i> Miquel (생강과 Zingiberaceae)의 열매이다. | 익지는 기를 고밀하게 하고, 정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비위의 기운이 차서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차가운 기운으로 인해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고기(固氣) | 고기 | 固氣 | 기(氣)를 완고하게 하는 것 | |
28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 Bitter Cardamon | 익지 | 益智 | 열매 | 이 약은 익지 (益智) <i>Alpinia oxyphylla</i> Miquel (생강과 Zingiberaceae)의 열매이다. | 익지는 기를 고밀하게 하고, 정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비위의 기운이 차서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차가운 기운으로 인해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난신(暖腎) | 난신 | 暖腎 | 신(腎)을 따뜻하게 하는 것 | |
28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 Bitter Cardamon | 익지 | 益智 | 열매 | 이 약은 익지 (益智) <i>Alpinia oxyphylla</i> Miquel (생강과 Zingiberaceae)의 열매이다. | 익지는 기를 고밀하게 하고, 정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비위의 기운이 차서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차가운 기운으로 인해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삽정(澀精) | 삽정 | 澀精 | 수삽약(收澁藥)으로 비정상적으로 정액(精液)이 새는 증상을 치료하는 것 | |
28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 Bitter Cardamon | 익지 | 益智 | 열매 | 이 약은 익지 (益智) <i>Alpinia oxyphylla</i> Miquel (생강과 Zingiberaceae)의 열매이다. | 익지는 기를 고밀하게 하고, 정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비위의 기운이 차서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차가운 기운으로 인해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온비(溫脾) | 온비 | 溫脾 | 비(脾)를 따뜻하게 하는 것 | |
29 | Althaeae Flos | Althaea flower | 촉규화 | 蜀葵花 | 꽃 | 이 약은 접시꽃 <i>Althaea rosea</i> Cavanil (아욱과 Malvaceae)의 꽃이다. | 촉규화는 토혈, 코피, 월경과다, 어린 아이의 풍진, 다양한 종류의 종기를 치료한다. | 해독산결(解毒散結) | 해독산결 | 解毒散結 | 독을 없애 뭉친 것을 풀어주는 것 | |
29 | Althaeae Flos | Althaea flower | 촉규화 | 蜀葵花 | 꽃 | 이 약은 접시꽃 <i>Althaea rosea</i> Cavanil (아욱과 Malvaceae)의 꽃이다. | 촉규화는 토혈, 코피, 월경과다, 어린 아이의 풍진, 다양한 종류의 종기를 치료한다. | 화혈지혈(和血止血) | 화혈지혈 | 和血止血 | 혈(血)의 운행을 조화롭게 하고 출혈을 멎게 하는 것 | |
30 | Alumen | Aluman, Potassium aluminium sulfate | 백반 | 白礬 | 명반(明礬) | 이 약은 황산염광물 명반석을 가공하여 얻은 결정체이다. | 백반은 피부의 습을 거두어 창양이 잘 아물게 하고, 습을 말리고 가려움증을 멎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살이 곪은 것을 아물게 한다. | 거제풍담(祛除風痰) | 거제풍담 | 祛除風痰 | 풍담(風痰)을 제거하는 것 | |
30 | Alumen | Aluman, Potassium aluminium sulfate | 백반 | 白礬 | 명반(明礬) | 이 약은 황산염광물 명반석을 가공하여 얻은 결정체이다. | 백반은 피부의 습을 거두어 창양이 잘 아물게 하고, 습을 말리고 가려움증을 멎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살이 곪은 것을 아물게 한다. | 수습염창(收濕斂瘡) | 수습염창 | 收濕斂瘡 | 습(濕)을 거두어 들이고 상처를 아물게 하는 것 | |
30 | Alumen | Aluman, Potassium aluminium sulfate | 백반 | 白礬 | 명반(明礬) | 이 약은 황산염광물 명반석을 가공하여 얻은 결정체이다. | 백반은 피부의 습을 거두어 창양이 잘 아물게 하고, 습을 말리고 가려움증을 멎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살이 곪은 것을 아물게 한다. | 조습지양(燥濕止痒) | 조습지양 | 燥濕止痒 | 습(濕)을 말려 가려움증을 그치게 하는 것 | |
30 | Alumen | Aluman, Potassium aluminium sulfate | 백반 | 白礬 | 명반(明礬) | 이 약은 황산염광물 명반석을 가공하여 얻은 결정체이다. | 백반은 피부의 습을 거두어 창양이 잘 아물게 하고, 습을 말리고 가려움증을 멎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살이 곪은 것을 아물게 한다. | 지혈지사 (止血止瀉) | 지혈지사 | 止血止瀉 | 출혈을 멎게하고 설사하는 것을 멎게하는 것 | |
30 | Alumen | Aluman, Potassium aluminium sulfate | 백반 | 白礬 | 명반(明礬) | 이 약은 황산염광물 명반석을 가공하여 얻은 결정체이다. | 백반은 피부의 습을 거두어 창양이 잘 아물게 하고, 습을 말리고 가려움증을 멎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살이 곪은 것을 아물게 한다. | 지혈화부(止血化腐) | 지혈화부 | 止血化腐 | 출혈을 멎게하고 곪아 썩은 것을 없애는 것 | |
30 | Alumen | Aluman, Potassium aluminium sulfate | 백반 | 白礬 | 명반(明礬) | 이 약은 황산염광물 명반석을 가공하여 얻은 결정체이다. | 백반은 피부의 습을 거두어 창양이 잘 아물게 하고, 습을 말리고 가려움증을 멎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살이 곪은 것을 아물게 한다. | 해독살충(解毒殺蟲) | 해독살충 | 解毒殺蟲 | 독을 없애 벌레를 죽이는 것 | |
31 | Amomi Fructus | Amomum Fruit | 사인 | 砂仁 | 축사(縮砂) | 열매 | 이 약은 녹각사 (錄殼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var. <i>xanthioides</i> T. L. Wu et Senjen 또는 양춘사 (陽春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이다. | 사인은 비장의 기운을 따뜻하게 하고 습을 풀어주어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하고 기가 잘 돌게 하여 태아를 안정시킨다. | 온비지사(溫脾止瀉) | 온비지사 | 溫脾止瀉 | 비(脾)를 따뜻하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는 것 |
31 | Amomi Fructus | Amomum Fruit | 사인 | 砂仁 | 축사(縮砂) | 열매 | 이 약은 녹각사 (錄殼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var. <i>xanthioides</i> T. L. Wu et Senjen 또는 양춘사 (陽春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이다. | 사인은 비장의 기운을 따뜻하게 하고 습을 풀어주어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하고 기가 잘 돌게 하여 태아를 안정시킨다. | 이기안태(理氣安胎) | 이기안태 | 理氣安胎 | 기(氣)를 다스려서 태아를 편안하게 하는 것 |
31 | Amomi Fructus | Amomum Fruit | 사인 | 砂仁 | 축사(縮砂) | 열매 | 이 약은 녹각사 (錄殼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var. <i>xanthioides</i> T. L. Wu et Senjen 또는 양춘사 (陽春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이다. | 사인은 비장의 기운을 따뜻하게 하고 습을 풀어주어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하고 기가 잘 돌게 하여 태아를 안정시킨다. | 화습개위(化濕開胃) | 화습개위 | 化濕開胃 | 습(濕)을 말리고 위장(胃腸)의 기능을 좋게하는 것 |
32 | Amomi Fructus Rotundus | Round Amomum Fruit | 백두구 | 白豆蔲 | 열매 | 이 약은 백두구 <i>Amomum kravanh</i> Pierre ex Gagnep. 또는 자바백두구 <i>Amomum compactum</i> Solander ex Maton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백두구는 위의 기능을 개선하여 소화가 잘 되게 하고, 기운이 잘 돌게 하고 비위를 따뜻하게 하며, 습을 풀어주고 명치가 답답한 증상을 해소한다. | 개위소식(開胃消食) | 개위소식 | 開胃消食 | 열어 주어 위장(胃腸)의 기능을 개선시켜 음식의 소화를 돕는 것 | |
32 | Amomi Fructus Rotundus | Round Amomum Fruit | 백두구 | 白豆蔲 | 열매 | 이 약은 백두구 <i>Amomum kravanh</i> Pierre ex Gagnep. 또는 자바백두구 <i>Amomum compactum</i> Solander ex Maton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백두구는 위의 기능을 개선하여 소화가 잘 되게 하고, 기운이 잘 돌게 하고 비위를 따뜻하게 하며, 습을 풀어주고 명치가 답답한 증상을 해소한다. | 행기온중(行氣溫中) | 행기온중 | 行氣溫中 | 기(氣)를 원활히 소통하여 중초를 따뜻하게 하는 것 | |
32 | Amomi Fructus Rotundus | Round Amomum Fruit | 백두구 | 白豆蔲 | 열매 | 이 약은 백두구 <i>Amomum kravanh</i> Pierre ex Gagnep. 또는 자바백두구 <i>Amomum compactum</i> Solander ex Maton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백두구는 위의 기능을 개선하여 소화가 잘 되게 하고, 기운이 잘 돌게 하고 비위를 따뜻하게 하며, 습을 풀어주고 명치가 답답한 증상을 해소한다. | 화습소비(化濕消痞) | 화습소비 | 化濕消痞 | 습(濕)을 말리고 비증(痞症)을 없애는 것 | |
33 | Amomi Tsao-ko Fructus | Amomum Tsao-ko Fruit | 초과 | 草果 | 열매 | 이 약은 초과 (草果) <i>Amomum tsao-ko</i> Crevost et Lemaire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초과는 명치가 답답하고 그득하며 구토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말라리아와 같은 질환으로 인해 오한과 발열이 번갈아 나타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제담절학(除痰截瘧) | 제담절학 | 除痰截瘧 | 담(痰)을 제거하고 학질을 치료하는 것 | |
33 | Amomi Tsao-ko Fructus | Amomum Tsao-ko Fruit | 초과 | 草果 | 열매 | 이 약은 초과 (草果) <i>Amomum tsao-ko</i> Crevost et Lemaire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초과는 명치가 답답하고 그득하며 구토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말라리아와 같은 질환으로 인해 오한과 발열이 번갈아 나타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조열온중(燥熱溫中) | 조열온중 | 燥熱溫中 | 조(燥)하고 열(熱)하며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것 | |
34 | Ampelopsis Radix | 백렴 | 白蘞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가회톱 <i>Ampelopsis japonica</i> Makino (포도과 Vit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렴은 옹종을 치료하고 뭉친 것을 풀어주며, 열을 식히고 독을 없애서 염증성질환을 치료한다. | 소옹산결(消癰散結) | 소옹산결 | 消癰散結 | 옹(癰)을 사라지게 하고 맺힌 것을 흩어지게 하는 것 | ||
34 | Ampelopsis Radix | 백렴 | 白蘞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가회톱 <i>Ampelopsis japonica</i> Makino (포도과 Vit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렴은 옹종을 치료하고 뭉친 것을 풀어주며, 열을 식히고 독을 없애서 염증성질환을 치료한다. | 청열해독(淸熱解毒) | 청열해독 | 淸熱解毒 | 열(熱)을 식혀주고 독(毒)을 풀어 없애는 것 | ||
35 | Amydae Carapax | 별갑 | 鱉甲 | 단어(團魚) | 배갑(背甲): 등딱지 | 이 약은 자라 <i>Pelodiscus sinensis</i> (Wiegmann) (자라과 Trionychidae)의 등딱지(背甲)이다. | 별갑은 음기가 허하여 열이 오르는 증상이나 음혈의 부족으로 풍이 동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몸이 지나치게 허약하여 뼛속이 달아오르듯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연견산결(軟堅散結) | 연견산결 | 軟堅散結 |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고 결체(結滯)를 풀어주는 것 | |
35 | Amydae Carapax | 별갑 | 鱉甲 | 단어(團魚) | 배갑(背甲): 등딱지 | 이 약은 자라 <i>Pelodiscus sinensis</i> (Wiegmann) (자라과 Trionychidae)의 등딱지(背甲)이다. | 별갑은 음기가 허하여 열이 오르는 증상이나 음혈의 부족으로 풍이 동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몸이 지나치게 허약하여 뼛속이 달아오르듯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자음잠양(滋陰潛陽) | 자음잠양 | 滋陰潛陽 | 음(陰)을 자양하여 음허(陰虛)로 양(陽)이 상항(上亢)된 것을 가라앉히는 것 | |
35 | Amydae Carapax | 별갑 | 鱉甲 | 단어(團魚) | 배갑(背甲): 등딱지 | 이 약은 자라 <i>Pelodiscus sinensis</i> (Wiegmann) (자라과 Trionychidae)의 등딱지(背甲)이다. | 별갑은 음기가 허하여 열이 오르는 증상이나 음혈의 부족으로 풍이 동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몸이 지나치게 허약하여 뼛속이 달아오르듯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 퇴열제증(退熱除蒸) | 퇴열제증 | 退熱除蒸 | 열을 끄고 찌는 것을 없애는 것 | |
36 | Anemarrhenae Rhizoma | Anemarrhena Rhizome | 지모 | 知母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지모 <i>Anemarrhena asphodeloides</i> Bunge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지모는 고열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증상, 폐의 열로 인해 마른 기침을 하는 증상, 몸이 지나치게 허약하여 뼛속이 달아오르듯 열이 주기적으로 오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생진윤조(生津潤燥) | 생진윤조 | 生津潤燥 | 진(津)을 기르고 건조한 것을 윤기있게 하는 것 | |
36 | Anemarrhenae Rhizoma | Anemarrhena Rhizome | 지모 | 知母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지모 <i>Anemarrhena asphodeloides</i> Bunge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지모는 고열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증상, 폐의 열로 인해 마른 기침을 하는 증상, 몸이 지나치게 허약하여 뼛속이 달아오르듯 열이 주기적으로 오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청열사화(淸熱瀉火) | 청열사화 | 淸熱瀉火 | 열(熱)을 식혀주고 화(火)를 꺼트려 없애는것 | |
39 | Angelicae Dahuricae Radix | Angelica Dahurica Root | 백지 | 白芷 | 뿌리 | 이 약은 구릿대 <i>Angelica dahurica</i> Bentham et Hooker f. 또는 항백지(杭白芷) <i>Angelica dahurica</i> Bentham et Hooker f. var. <i>formosana</i> Shan et Yuan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백지는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아픈 증상, 눈썹을 따라 나타나는 두통, 코막힘이나 콧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거풍제습(祛風除濕) | 거풍제습 | 祛風除濕 | 풍(風)을 제거하고 습(濕)을 제거하는 것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kiom.re.kr | 한국한의학연구원 | 042-868-9526 | skkim@kiom.re.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19. 한국한의학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실시 | 품질측정기간 | 20191209~20191227 |
---|---|---|---|
품질측정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8-9526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무결성, 유효성, 정확성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또는, 상이한 데이터인 경우 구매자가 요구 시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 본인의 글만 수정이 가능하며, 타인의 글에 댓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 댓글이 달린 글은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문의 내용
-
2021-11-30wy s
비밀글입니다. (0)
댓글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