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약용 생물자원 정보
약용 생물자원 치료 정보
- 약용 생물자원의 치료 정보입니다.
산림자원관리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297.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2033 / 다운수 228
8
데이터 상품 정보 |
---|
1. 상품 설명 및 특징
- 한의대학교 교과서 및 중국약전에서 약용 생물자원에 대해 기재된 주치(치료) 정보입니다.
- 약재가 가지는 개별 주치(치료)들에 대해서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합니다.
- 또한, 약재의 여러 주치(치료)들을 간략히 요약한 설명 데이터도 제공합니다.
2. 컬럼(속성) 정보
- 약재아이디(KRMC_SFRMD_ID): 약재의 일련번호
- 약재라틴명(KRMC_SFRMD_LATN_NM): 약재의 라틴명 또는 생약명
- 약재영문명(KRMC_SFRMD_ENGLS_NM): 약재의 일반 영문명
- 약재한글명(KRMC_SFRMD_KRN_NM): 약재의 한글 이름
- 약재한자명(KRMC_SFRMD_CHCHR_NM): 약재의 한자 이름
- 약재이명(KRMC_SFRMD_SNNM): 약재에 대한 다른 이름들
- 약재약용부위(KRMC_SFRMD_MDCNL_RGN_NM): 약용 생물자원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부위
- 약재학명(KRMC_SFRMD_SCNM): 약용 생물자원의 학명(binomial nomenclature)
- 약재치료요약(SFRMD_TRMT_SMMR): 약재의 모든 주치들을 한문장으로 간략히 요약
- 약재치료원문(SFRMD_TRMT_ORNAL_CONT): 약재의 개별 주치
- 약재치료원문한글(SFRMD_TRMT_ORNAL_KRN_CONT): 약재의 개별 주치 한글
- 약재치료원문한자(SFRMD_TRMT_ORNAL_CHCHR_CONT): 약재의 개별 주치 한자
- 약재치료(SFRMD_TRMT_DSCRT): 약재의 개별 주치에 대한 일반인 대상의 설명
- 날짜(LDNG_DT): 데이터 적재일 (샘플에는 날짜 컬럼이 없습니다.)
3. 활용 주의
상품 데이터는 UTF-8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UTF-8 포맷으로 열어야 합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을 클릭해서 열 경우 글자가 깨지기 때문에 엑셀에서 파일을 열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 엑셀을 실행한다.
- 엑셀의 데이터탭 -> 외부데이터가져오기에서 텍스트 클릭
- 열고자 하는 csv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클릭
- 텍스트 마법사에서 구분 기호로 분리됨과 유니코드(UTF-8)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구분기호에서 탭 해제하고 쉼표 선택하고 다음 클릭
- 마침 클릭
- 기존 워크시트 또는 새 워크시트 선택하고 확인 클릭
|
데이터 키워드 |
---|
약용 생물자원, 약재, 본초학, 교과서, 주치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한국한의학연구원 | 2019-12-27 | 2021-11-26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1년 | csv/zip | 다운로드 | 297.00 KB |
약재아이디 | 약재라틴명 | 약재영문명 | 약재한글명 | 약재한자명 | 약재이명 | 약재약용부위 | 약재학명 | 약재치료요약 | 약재치료원문 | 약재치료원문한글 | 약재치료원문한자 | 약재치료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소아행지(小兒行遲) | 소아행지 | 小兒行遲 | 소아(小兒)가 돌이 지나고, 2~3세가 되도록 걷지 못하는 병증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각기(脚氣) | 각기 | 脚氣 | 다리가 저리고 지각이상(知覺異常)이 생기면서 다리 힘이 약해져 제대로 걷지 못하는 병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근골위연(筋骨痿軟) | 근골위연 | 筋骨痿軟 | 근육(筋肉)과 뼈가 저리고 약한 증상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사지구련(四肢拘攣) | 사지구련 | 四肢拘攣 | 팔다리의 근육이 당기면서 뒤틀리는 것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수종(水腫) | 수종 | 水腫 | 몸 안에 수습(水濕)이 정체해 몸이 붓는 것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요슬연약(腰膝軟弱) | 요슬연약 | 腰膝軟弱 | 허리와 무릎이 튼튼하지 못하고 약해진 것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체허핍력(體虛乏力) | 체허핍력 | 體虛乏力 |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음 |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오가피는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마르고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 풍습비통(風濕痺痛) | 풍습비통 | 風濕痺痛 | 풍습(風濕)의 사기(邪氣)가 정체(停滯)되어 팔다리의 근육 및 관절등 특정 부분이 저리거나 아픈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건망(健忘) | 건망 | 健忘 | 선망(善忘), 호망(好忘), 다망(多忘), 희망(喜忘)과 같은 뜻으로 기억력이 약해져 지나간 일을 잘 잊어버리는 병증을 뜻하는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기허부종(氣虛浮腫) | 기허부종 | 氣虛浮腫 | 기허(氣虛)의 영향으로 인(因)해 기(氣)의 통솔작용이 약해지고 그에 따라 몸안 곳곳에 체액(體液)이 정체(停滯)되어 얼굴 또는 사지(四肢) 및 심(甚)하면 온 몸이 붓는 병증(病症)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비허핍력(脾虛乏力) | 비허핍력 | 脾虛乏力 | 비(脾)가 허(虛)하여 힘이 부족한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소아행지(小兒行遲) | 소아행지 | 小兒行遲 | 소아(小兒)가 돌이 지나고, 2~3세가 되도록 걷지 못하는 병증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신허체약(腎虛體弱) | 신허체약 | 腎虛體弱 | 신장(腎臟)의 원기(元氣)가 부족하고 몸이 허약해진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실면다몽(失眠多夢) | 실면다몽 | 失眠多夢 | 수면장애인 실면과 함께 꿈을 많이 꾸는 병증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요슬산연(腰膝酸軟) | 요슬산연 | 腰膝酸軟 | 나이가 들거나 과도한 노동으로 인(因)해 신기(腎氣)가 허(虛)해져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연약(軟弱)해지는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음식불진(飮食不振) | 음식불진 | 飮食不振 | 식욕부진을 말함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질타종통(跌打腫痛) | 질타종통 | 跌打腫痛 | 얻어맞거나 부딪혀 생긴 종통(腫痛)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풍한습비(風寒濕痹) | 풍한습비 | 風寒濕痹 | 풍한습(風寒濕) 삼기(三氣)가 결합하여 기혈(氣血)을 울체(鬱滯)시켜 관절등에 통증(痛症)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자오가는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 기운이 허하여 생기는 부종, 힘이 없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흉비동통(胸痹疼痛) | 흉비동통 | 胸痹疼痛 | 가슴이 막히는 듯 하면서 아프고 쑤시는 듯한 통증이 있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경폐(經閉) | 경폐 | 經閉 | 정상적으로 월경(月經)이 있어야 할 때에 병적으로 월경(月經)이 없는 증상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난산(難産) | 난산 | 難産 | 분만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증상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사지구련(四肢拘攣) | 사지구련 | 四肢拘攣 | 팔다리의 근육이 당기면서 뒤틀리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산후혈어복통(産後血瘀腹痛) | 산후혈어복통 | 産後血瘀腹痛 | 출산 후 어혈로 인해 배가 아픈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옹종(癰腫) | 옹종 | 癰腫 | 옹저(癰疽)가 부어오른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요슬골통(腰膝骨痛) | 요슬골통 | 腰膝骨痛 | 허리와 무릎이 아픈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위비(痿痺) | 위비 | 痿痺 | 위증(痿證)과 비증(痺證)을 겸(兼)한 병증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임병뇨혈(淋病尿血) | 임병뇨혈 | 淋病尿血 | (임(淋)이 있으면서) 혈(血)이 요도(尿道)로 배출되는 병증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질타손상(跌打損傷) | 질타손상 | 跌打損傷 | 얻어맞거나 부딪혀 생긴 손상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징하(癥瘕) | 징하 | 癥瘕 | 뱃속에 생긴 덩어리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포의불하(胞衣不下) | 포의불하 | 胞衣不下 | 태아를 분만한 후 태반이 잘 나오지 않는 것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우슬은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나 무릎이 뼛속까지 아픈 증상과 사지에 힘이 없고 마르며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후비(喉痺) | 후비 | 喉痺 | 목이 메여 숨을 못 쉬고 삼키지도 못하는 병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구안와사(口眼喎斜) | 구안와사 | 口眼喎斜 | 얼굴 신경이 마비되는 비뚤어지는 증상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나력담핵(瘰癧痰核) | 나력담핵 | 瘰癧痰核 | 나력(瘰癧)의 증상에 담(痰)이 뭉쳐 핵이 생긴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담궐두통(痰厥頭痛) | 담궐두통 | 痰厥頭痛 | 담(痰)이 성하여 기(氣)가 막힘으로써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독사교상(毒蛇咬傷) | 독사교상 | 毒蛇咬傷 | 독사에 물려 상처를 입은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언어건삽(言語蹇澀) | 언어건삽 | 言語蹇澀 | 언어장애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중풍담옹(中風痰壅) | 중풍담옹 | 中風痰壅 | 중풍(中風)으로 담연(痰涎)이 가슴속에 막혀 있는 병증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파상풍(破傷風) | 파상풍 | 破傷風 | 상처로 풍독사(風毒邪), 오늘날의 파상풍균이 들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증(病症)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편정두통(偏正頭痛) | 편정두통 | 偏正頭痛 | 편두통으로 머리가 어느 한쪽만 아픈 것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백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풍 휴유증과 전반적인 두통이나 편두통 및 담이 성하여 기가 막혀서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후비인통(喉痺咽痛) | 후비인통 | 喉痺咽痛 | 목이 메여 숨을 못 쉬고 삼키지도 못하며 목구멍이 아픈 것 |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관절동통(關節疼痛) | 관절동통 | 關節疼痛 | 뼈의 마디마디가 쑤시고 아픈 것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마취지통(痲醉止痛) | 마취지통 | 痲醉止痛 | 마취시켜 통증을 멎게 하는 것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심복냉통(心腹冷痛) | 심복냉통 | 心腹冷痛 | 가슴과 배가 시리고 아픈 증상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풍한습비(風寒濕痺) | 풍한습비 | 風寒濕痺 | 풍한습(風寒濕) 삼기(三氣)가 결합하여 기혈(氣血)을 울체(鬱滯)시켜 관절등에 통증(痛症)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초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상당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풍, 한,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관절이 욱씬거리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한산작통(寒疝作痛) | 한산작통 | 寒疝作痛 | 한습사(寒濕邪)가 간경(肝經)에 침범하여 아랫배와 고환(睾丸)이 찌를듯이 아픈 것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각기수종(脚氣水腫) | 각기수종 | 脚氣水腫 | 다리에 부종(浮腫)이 생기며 힘이 없어지는 것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대한망양(大汗亡陽) | 대한망양 | 大汗亡陽 | 땀을 많이 흘려 양기(陽氣)가 몹시 소모된 것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비설냉리(脾泄冷痢) | 비설냉리 | 脾泄冷痢 | 추위나 습기 또는 음식이 비(脾)를 손상시켜서 비기(脾氣)가 약해져서 생긴 설사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소아만경(小兒慢驚) | 소아만경 | 小兒慢驚 | 어린이들이 큰 병을 앓는 등의 이유로 비기(脾氣)가 허(虛)하고 간기(肝氣)가 성해질 때 주로 발생 얼굴색이 누렇고 대변이 묽으며 경련이 있다가 없다가 하는 등의 증상이 발생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심복냉통(心腹冷痛) | 심복냉통 | 心腹冷痛 | 가슴과 배가 시리고 아픈 증상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위벽구련(踒躄拘攣) | 위벽구련 | 踒躄拘攣 | 痿躄-팔다리가 늘어지고 힘이 없어 걷지 못하는 병증, 拘攣-팔다리에 경련이 생겨 오그라드는 병증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음성격양(陰盛格陽) | 음성격양 | 陰盛格陽 | 몸안에 음한(陰寒)이 몹시 성(盛)하여 양기(陽氣)를 몸 겉면으로 몰아내서 속은 춥지만 허열(虛熱)이 뜨는 진한가열(眞寒假熱)이 나타나는 것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음저창루(陰疽瘡漏) | 음저창루 | 陰疽瘡漏 | 음저(陰疽)가 헐고 물이 나오는 병증임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일절침한고냉(一切沈寒痼冷) | 일절침한고냉 | 一切沈寒痼冷 | 체질이 허하고 신체 기능이 쇠퇴하여 생기는 일체 증상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토이궐역(吐痢厥逆) | 토이궐역 | 吐痢厥逆 | 구토와 설시를 하며 팔다리가 차가운 것 |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부자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가슴이나 배가 차고 아픈 증상이나 비장의 기운이 약해서 설사를 하는 증상 등 일체의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한다 | 풍한습비(風寒濕痺) | 풍한습비 | 風寒濕痺 | 풍한습(風寒濕) 삼기(三氣)가 결합하여 기혈(氣血)을 울체(鬱滯)시켜 관절등에 통증(痛症)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두풍두통(頭風頭痛) | 두풍두통 | 頭風頭痛 | 오래도록 낫지 않는 두통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반신불수(半身不遂) | 반신불수 | 半身不遂 |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사지구련(四肢拘攣) | 사지구련 | 四肢拘攣 | 팔다리의 근육이 당기면서 뒤틀리는 것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심복냉통(心腹冷痛) | 심복냉통 | 心腹冷痛 | 가슴과 배가 시리고 아픈 증상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역절풍통(歷節風痛) | 역절풍통 | 歷節風痛 |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병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음저종독(陰疽腫毒) | 음저종독 | 陰疽腫毒 | 음저(陰疽)가 붓고 곪는 병증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천오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머리가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뼈마디가 붓고 아프며 마음대로 굽히고 펴지 못하는 질환에도 쓰며, 몸의 좌우 한쪽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풍한습비(風寒濕痺) | 풍한습비 | 風寒濕痺 | 풍한습(風寒濕) 삼기(三氣)가 결합하여 기혈(氣血)을 울체(鬱滯)시켜 관절등에 통증(痛症)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건망(健忘) | 건망 | 健忘 | 선망(善忘), 호망(好忘), 다망(多忘), 희망(喜忘)과 같은 뜻으로 기억력이 약해져 지나간 일을 잘 잊어버리는 병증을 뜻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금구리(噤口利) | 금구리 | 噤口利 | 이질(痢疾)로 인해서 입맛이 없어져서 먹지 못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담궐(痰厥) | 담궐 | 痰厥 | 담(痰)이 성하여 기(氣)가 막힘으로써 팔다리가 차고 심지어 기절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열병신혼(熱病神昏) | 열병신혼 | 熱病神昏 | 열병(熱病)으로 인하여 정신이 혼미하거나 맑지 못한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옹저개선(癰疽疥癬) | 옹저개선 | 癰疽疥癬 | 옹저(癰疽)는 종기를 말하고 개선(疥癬)은 피부가 가려운 병증을 말함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완복창통(脘腹脹痛) | 완복창통 | 脘腹脹痛 | 중초(中焦)의 소통(疏通)이 원활하지 못하여 윗배가 빵빵하게 부르고 아픈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이롱(耳聾) | 이롱 | 耳聾 | 이중청(耳重聽)과 유사하며 점차 청력에 이상이 생겨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이명(耳鳴) | 이명 | 耳鳴 | 귀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는 것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질타손상(跌打損傷) | 질타손상 | 跌打損傷 | 얻어맞거나 부딪혀 생긴 손상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석창포는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치료하고 통증을 줄인다. 풍, 습으로 인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 풍습비통(風濕痺痛) | 풍습비통 | 風濕痺痛 | 풍습(風濕)의 사기(邪氣)가 정체(停滯)되어 팔다리의 근육 및 관절등 특정 부분이 저리거나 아픈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건해조담(乾咳稠痰) | 건해조담 | 乾咳稠痰 | 마른기침을 하고 가래가 끈적끈적함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기음부족(氣陰不足) | 기음부족 | 氣陰不足 | 몸안의 음액(陰液)과 양기(陽氣)가 모두 손상되어 부족한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번열구건(煩熱口乾) | 번열구건 | 煩熱口乾 | 가슴이 답답하고 열(熱)이 나며 구건(口乾)이 나타나는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상음인건후통(傷陰咽乾喉痛) | 상음인건후통 | 傷陰咽乾喉痛 | 음이 상하여 인후부가 마르고 아픈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폐열조해(肺熱燥咳) | 폐열조해 | 肺熱燥咳 | 폐열(肺熱) 증상이 있고 마른 기침을 하는 것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사삼은 폐의 열을 식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오르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 허로구해(虛勞久咳) | 허로구해 | 虛勞久咳 | 기혈(氣血)이나 장부(臟腑) 등의 정기(正氣)가 손상되어 발생한 허약증을 앓고 있으며 기침이 오래 된 것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급성기관지염(급성기관지염) | 급성기관지염 | 급성기관지염 | 약물 바이러스 세균 등으로 인한 기관지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소갈(消渴) | 소갈 | 消渴 | 현대의 당뇨병과 유사하며,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하며 소변이 단 병증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인통(咽痛) | 인통 | 咽痛 | 목구멍이 아픈 증상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인후염(咽喉炎) | 인후염 | 咽喉炎 | 목구멍에 발생한 염증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정창(疔瘡) | 정창 | 疔瘡 | 속에 뿌리(根)가 있고 잘 낫지 않으며 모양이 못머리처럼 생긴 부스럼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제니는 급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및 그로 인한 목구멍의 통증을 치료하고, 마른 기침을 치료하며, 당뇨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조해(燥咳) | 조해 | 燥咳 | 폐허로 진액이 부족하고 말라서 마른 기침을 하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복통토사(腹痛吐瀉) | 복통토사 | 腹痛吐瀉 | 배가 아프고 구토(嘔吐)와 설사(泄瀉)를 하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비연두통(鼻淵頭痛) | 비연두통 | 鼻淵頭痛 | 콧물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서습권태(暑濕倦怠) | 서습권태 | 暑濕倦怠 | 서습사(暑濕邪)를 감수하여 몸이 권태로운 병증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습탁중조(濕濁中阻) | 습탁중조 | 濕濁中阻 | 습사(濕邪), 담음(痰飮) 등의 탁기(濁氣)가 중초(中焦)의 기혈순환(氣血循環) 통로를 막아 소화(消和) 및 운화(運化) 기능을 방해하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완비구토(脘痞嘔吐) | 완비구토 | 脘痞嘔吐 | 뱃속이 답답하고 구토증상이 있는 것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한습폐서(寒濕閉暑) | 한습폐서 | 寒濕閉暑 | 여름에 서기(暑氣)가 몸안에서 잠복하고 풍한사(風寒邪)가 체표(體表)를 막아서 발생하는 병증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곽향은 위의 기능을 개선시켜 구토를 멎게 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 흉민불서(胸悶不舒) | 흉민불서 | 胸悶不舒 | 가슴이 답답하고 불편한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마목구련(麻木拘攣) | 마목구련 | 麻木拘攣 | 감각이 둔해지면서 사지가 뒤틀리고 경련(痙攣)이 생기는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마풍개선(麻風疥癬) | 마풍개선 | 麻風疥癬 | 마풍(麻風)과 개선(疥癬)을 이르는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반신불수(半身不遂) | 반신불수 | 半身不遂 |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중풍구안갈사(中風口眼喝斜) | 중풍구안갈사 | 中風口眼喝斜 | 풍(風)으로 인한 얼굴 신경이 마비되는 비뚤어지는 증상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추휵경련(抽搐痙攣) | 추휵경련 | 抽搐痙攣 | 팔다리가 펴지고 뒤틀어지는 것이 반복되면서 멈추지 않고 경련이 일어남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파상풍증(破傷風症) | 파상풍증 | 破傷風症 | 상처로 풍독사(風毒邪)가 들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증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백화사는 강한 약성으로 인해 일정의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풍습인한 피부의 감각이상,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등에 사용한다. | 풍습완비(風濕頑痹) | 풍습완비 | 風濕頑痹 | 풍습(風濕)의 사기(邪氣)가 인체에 머물러 피부의 감각이 남의 살을 만지는 듯 무뎌지고 관절 및 근육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것 | |
15 | Agrimoniae Herba | 용아초 | 龍牙草 | 선학초(仙鶴草)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짚신나물 <i>Agrimonia pilosa</i> Ledebour 또는 기타 동속식물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 용아초는 출혈과 이질을 멎게 한다. 피를 토하는 증상이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 붕루하혈(崩漏下血) | 붕루하혈 | 崩漏下血 | 붕루(崩漏)의 증상에 변(便)에 피가 나오는 것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kiom.re.kr | 한국한의학연구원 | 042-868-9526 | skkim@kiom.re.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19. 한국한의학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실시 | 품질측정기간 | 20191209~20191227 |
---|---|---|---|
품질측정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8-9526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무결성, 유효성, 정확성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