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고문헌 약용 생물자원 정보
고문헌 약용 생물자원 효능
- 고문헌 약용 생물자원 효능 정보
산림자원관리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43.00 K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1735 / 다운수 173
6
데이터 상품 정보 |
---|
1. 상품 설명 및 특징
- 고문헌(동의보감,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등)에 나오는 약용 생물자원 식재료 목록의 효능 정보입니다.
2. 컬럼(속성) 정보
- 식재료아이디(INGT_ID): 식재료의 일련번호
- 식재료분류(INGT_CLSSC_NM): 식재료에 대한 분류
- 식재료명(INGT_NM): 식재료 이름
- 식재료효능(INGT_EFCT_CONT): 식재료의 효능 내용
- 식재료효능출전(INGT_EFCT_ORGI_CONT): 식재료의 효능 출전
- 약재라틴명(KRMC_SFRMD_LATN_NM): 식재료가 약재인 경우 약재의 라틴명 또는 생약명
- 날짜(LDNG_DT): 데이터 적재일 (샘플에는 날짜 컬럼이 없습니다.)
3. 활용 주의
상품 데이터는 UTF-8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UTF-8 포맷으로 열어야 합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을 클릭해서 열 경우 글자가 깨지기 때문에 엑셀에서 파일을 열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 엑셀을 실행한다.
- 엑셀의 데이터탭 -> 외부데이터가져오기에서 텍스트 클릭
- 열고자 하는 csv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클릭
- 텍스트 마법사에서 구분 기호로 분리됨과 유니코드(UTF-8)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구분기호에서 탭 해제하고 쉼표 선택하고 다음 클릭
- 마침 클릭
- 기존 워크시트 또는 새 워크시트 선택하고 확인 클릭
|
데이터 키워드 |
---|
약용 생물자원, 약재, 식재료, 고문헌, 효능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한국한의학연구원 | 2020-10-30 | 2021-11-26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1년 | csv/zip | 다운로드 | 43.00 KB |
식재료ID | 식재료분류명 | 식재료명 | 식재료효능내용 | 식재료효능출전내용 | 한의약재라틴명 |
45 | 곡류 | 검은 참깨 | 기력을 증강하고 살을 찌워주며, 뇌(腦)와 수(髓)를 채우고 근골(筋骨)을 튼튼하게 하며, 오장을 자윤(滋潤)한다. 수(髓)를 보하고 정(精)을 채워 주어 노화를 지연시키고 피부색을 한결같게 한다. 환자가 허하여 말할 기운도 없을 때 검은 참깨를 더해서 쓴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Sesami Semen Nigra |
45 | 곡류 | 검은 참깨 | 몸이 쇠약하고 여윈 것을 보해주고 살이 찌게 합니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노화를 방지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상품》 | Sesami Semen Nigra |
45 | 곡류 | 검은 참깨 | 노화를 방지한다. | Sesami Semen Nigra | |
45 | 곡류 | 검은 참깨 | 노인의 요통에 쓴다. | Sesami Semen Nigra | |
45 | 곡류 | 검은 참깨 | 몸을 튼튼하게 한다. | Sesami Semen Nigra | |
45 | 곡류 | 검은 참깨 | 선식으로 활용한다. | Sesami Semen Nigra | |
46 | 곡류 | 참기름-(검은 참깨) | 유행성 열병(熱病)에서 오는 변비로서 장(腸) 속에 열이 몰린 데에 주로 쓴다. 살충 효과가 있다. 대장(大腸)을 잘 통하게 하며, 출산 후에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46 | 곡류 | 참기름-(검은 참깨) | 대변을 잘 보게 하고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합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상품》 | |
46 | 곡류 | 참기름(검은 참깨) | 목이 쉬어 말을 못할 때에 쓴다. | ||
46 | 곡류 | 참기름(검은 참깨) | 산후에 태반의 배출을 촉진한다. | ||
48 | 곡류 | 귀리 | 해산(解産)이 어려운 경우를 치료한다. | 《동의보감·탕액·초부(하)》 | |
48 | 곡류 | 귀리 | 열을 내려주고 속을 편하게 하여 소화를 돕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49 | 곡류 | 기장쌀 | 기를 더하여 중초(中焦)를 보(補)한다. 열나고 갑갑하게 하기 때문에 오래 먹어서는 안 된다. 독이 조금 있어서 오래 먹으면 안 되는데, 오장의 신지(神志)를 어둡게 하여 잠이 많게 한다. 폐에 해당하는 곡식이니 폐병에 마땅히 먹어야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49 | 곡류 | 기장쌀 | 소화기를 튼튼하게 합니다. 뜨거운 성질로 인해 많이 먹으면 속이 답답할 수도 있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49 | 곡류 | 기장쌀 | 폐병에 좋다. | ||
50 | 곡류 | 붉은 기장쌀 | 딸꾹질과 곽란(霍亂)을 치료한다. 설사와 갈증을 멎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50 | 곡류 | 붉은 기장쌀 | 구토나 설사를 멎게 하고 갈증을 없애줍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51 | 곡류 | 기장쌀뜨물 | 뱃속의 기울(氣鬱)을 푼다. | ||
52 | 곡류 | 들깨 | 기(氣)를 내리고 해수(咳嗽)를 멎게 한다. 갈증을 멎게 하고, 폐를 자윤(滋潤)한다. 중기(中氣)를 보하며, 정수(精髓)를 채워 준다. | 《동의보감·탕액·채부》 | |
52 | 곡류 | 들깨 | 소화기를 편하게 하고 방귀 냄새를 줄여줍니다. | 《향약집성방·채부상품》 | |
54 | 곡류 | 메밀 | 위장(胃腸)을 실(實)하게 하고 기력을 증강한다. 비록 여러 가지 병을 동하게 하기도 하지만 오장의 더러운 찌꺼기를 정련해서 정신(精神)으로 돌려준다. 오래 먹으면 풍(風)을 동하게 하여 머리가 어지러워진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54 | 곡류 | 메밀 | 소화기를 좋게 하는데 많이 먹으면 설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54 | 곡류 | 메밀 | 오장의 찌꺼기를 정련한다. | ||
55 | 곡류 | 메밀가루 | 민간에서는 1년이나 위장(胃腸)에 식적(食積)이 묵은 경우에 메일가루를 먹으면 금방 해소된다고 한다. 여러 가지 부스럼을 야기할 수 있다. 삶아 먹을 수 있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56 | 곡류 | 메밀 잎 | 기(氣)를 내려 귀와 눈을 밝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57 | 곡류 | 멥쌀 |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을 길러주며,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이질을 멎게 하고, 기(氣)를 보태어 답답한 것을 없앤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Oryzae Semen |
57 | 곡류 | 멥쌀 | 설사를 멎게 합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Oryzae Semen |
58 | 곡류 | 흰죽(멥쌀) | 허약자나 질병을 앓은 후의 사람에게 활용할 수 있다. | ||
58 | 곡류 | 흰죽(멥쌀) | 만성 위장(胃腸) 질환에 보조식으로 활용 가능하다. | ||
59 | 곡류 | 누룽지 | 열격(噎膈)으로 밥을 잘 못 먹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 ||
60 | 곡류 | 밀 | 주로 번열(煩熱)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없애는 데 쓴다. 혈조(血燥)로 인한 갈증을 멎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간기(肝氣)를 자양(滋養)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0 | 곡류 | 밀 | 열을 내려 갈증을 풀어줍니다. 하지만 밀가루는 열을 내리지 못합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60 | 곡류 | 밀 | 불면에 활용할 수 있다. | ||
60 | 곡류 | 밀 | 간기(肝氣)를 자양(滋養)한다. | ||
61 | 곡류 | 밀가루 | 중초(中焦)를 보하여 원기를 도우며, 위장(胃腸)을 튼튼하게 하고, 기력을 증강하며, 오장을 돕는다. 오래 먹으면 몸이 튼튼해진다. 밀은 성(性)이 차지만, 밀가루로 만들면 따뜻하고 독이 있다. 밀가루에 열독(熱毒)이 있는 것은 대부분 오래되어 색이 바랜 것이 그렇고, 또한 빻는 도중에 돌가루가 들어갔기 때문이다. 절구에 빻아 먹는 것이 좋다. 밀가루는 열을 몰리게 해서 약간 풍기(風氣)를 동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1 | 곡류 | 밀가루 | 오장을 조화롭게 한다. | ||
62 | 곡류 | 한식날 만든 밀가루 국수 | 적(積)을 깨뜨리고 기(氣)를 잘 돌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3 | 곡류 | 누룩 |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음식을 잘 소화시키며 이질을 멎게 한다. 누룩은 민물고기를 먹고 생긴 배탈을 멎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3 | 곡류 | 누룩 | 소화를 도와주고 오래 묵은 식체를 내려줍니다. 얼굴 빛이 좋아지도록 합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63 | 곡류 | 누룩 | 비위의 기가 약하여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 《의방유취·비위식치(식의심감)》 | |
64 | 곡류 | 약으로 쓰는 누룩 | 입맛이 돌게 하고 비기(脾氣)를 강하게 해서 음식을 잘 소화시킨다. 곽란(霍亂)·설사·적백하리(赤白下痢)를 멎게 하고 징가(癥瘕)와 결취(結聚)를 깨뜨리며, 담(痰)이 치밀어 올라 가슴이 그득한 것과 위장(胃腸)이 막혀서 음식이 내려가지 못하는 것을 내리며, 낙태시키고 귀태(鬼胎)를 내린다. 홍국(紅麴)은 피를 잘 돌아가게 하고 음식을 잘 소화시키며 이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으니 아마 이것도 신국(神麴)인 것 같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Massa Medicata Fermentata |
64 | 곡류 | 약으로 쓰는 누룩 | 낙태시키고 귀태(鬼胎)를 내린다. | Massa Medicata Fermentata | |
65 | 곡류 | 밀기울 | 속을 고르게 하고 열을 없앤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6 | 곡류 | 밀쭉정이 | 심(心)을 자양(滋養)한다. 대추와 함께 달이면 도한(盜汗)을 멎게 한다. 어른과 아이의 골증열(骨蒸熱)이나 부인의 허로(虛勞)로 인한 열을 치료한다. 약간 볶아서 쓴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Tritici Fructus Levis |
66 | 곡류 | 밀쭉정이 | 자한(自汗)에 활용할 수 있다. | Tritici Fructus Levis | |
68 | 곡류 | 밀깜부기 | 번열(煩熱)을 치료한다. 유행성 열독(熱毒)을 풀어준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9 | 곡류 | 보리 | 기(氣)를 더하여 중초(中焦)를 고르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여 허(虛)한 것을 보(補)하며, 오장을 실(實)하게 한다. 오래 먹으면 살찌고 튼튼해지며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먹으면 몸에 열이 많이 생기게 하며, 오곡 가운데 으뜸이다. 오래 먹으면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고 풍기(風氣)가 동하지 않는다. 갑자기 많이 먹으면 다리가 약해지는 것 같은데 기(氣)를 내려주기 때문이다. 충분히 익혀 먹으면 몸에 좋지만 조금이라도 덜 익혀 먹으면 냉기로 몸이 상할 수 있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69 | 곡류 | 보리 | 소갈에 활용합니다. 꿀과 함께 쓰면 좋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69 | 곡류 | 보리 | 오장을 실(實)하게 한다. | ||
69 | 곡류 | 보리 | 소화를 돕는다. | ||
69 | 곡류 | 보리 | 살을 찌게 한다. | ||
70 | 곡류 | 겉보리 | 주로 몸을 가볍게 하는데, 중초(中焦)를 보하면서도 열을 없애어 병을 유발하지 않는다. 오래 먹으면 기력이 세지고 잘 걸어 다닐 수 있게 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1 | 곡류 | 보리 가루 | 위기(胃氣)를 고르게 해서 소갈(消渴)을 해소하며, 식적(食積)을 소화시켜 창만(脹滿)을 치료한다. 성질이 뜨겁거나 조급하지 않아 밀가루보다 낫다. 떡을 만들어 먹으면 기(氣)가 동하지 않지만, 폭식하면 기(氣)가 동할 수 있다.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1 | 곡류 | 보리 가루 | 인후(咽喉)질환으로 음식을 삼키기 어려울 때 죽을 쑤어 먹는다. | ||
72 | 곡류 | 보리길금 | 숙식(宿食)을 소화시키고 심복(心腹)의 창만(脹滿)을 제거한다.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위를 열어 입맛이 돌게 하고 곽란(霍亂)을 멎게 한다. 징결(癥結)을 깨뜨리며, 분만을 촉진시키거나 낙태시킨다. 보리길금[麥糵]은 상초(上焦)의 어혈(瘀血)을 돌리고 숙식(宿食)으로 장명(腸鳴)이 있는 데에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식적(食積)을 소화시킨다. 오래 먹으면 신기(腎氣)를 소모시키므로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Hordei Fructus Germinatus |
72 | 곡류 | 보리길금 | 소화를 돕는다. | Hordei Fructus Germinatus | |
72 | 곡류 | 보리길금 | 분만을 유도하고 유산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 Hordei Fructus Germinatus | |
73 | 곡류 | 생동쌀 | 위비(胃痺), 열중(熱中), 소갈(消渴)을 주로 치료한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고 노화를 지연시킨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3 | 곡류 | 생동쌀 | 소갈에 활용하고 설사를 멎게 합니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고 합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73 | 곡류 | 생동쌀 | 중초(中焦)가 뜨거워져 생긴 소갈(消渴) 증상에 쓴다. | ||
73 | 곡류 | 생동쌀 | 선식으로 활용 가능하다. | ||
74 | 곡류 | 노란 양미 | 기(氣)를 더하고 속을 조화롭게 하여 설사를 멎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5 | 곡류 | 흰 양미 | 주로 열을 없애는 데 쓴다. 기(氣)를 더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6 | 곡류 | 율무쌀 | 폐위(肺痿)나 폐기(肺氣)로 피고름을 뱉고 기침하는 데 주로 쓴다. 또, 풍습비(風濕痺)로 근맥(筋脈)이 당기는 것과 건각기(乾脚氣)와 습각기(濕脚氣)에 주로 쓴다. 몸을 가볍게 하고 장기(瘴氣)를 이겨내게 한다. 오래 먹으면 음식을 잘 먹게 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Coicis Semen |
76 | 곡류 | 율무쌀 | 각종 관절염에 활용할 수 있고 붓기를 빠지게 합니다. 늘 복용하면 소갈병에 좋습니다. | 《향약집성방·초부상품(상)》 | Coicis Semen |
76 | 곡류 | 율무쌀 | 근육에 경련이 이는 데에 쓴다. | Coicis Semen | |
76 | 곡류 | 율무쌀 | 근맥의 구련(拘攣)이나 오래된 풍습비에 기를 내리고 뼛속의 사기를 제거한다. 장위를 부드럽게 하여 부종을 없앤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볍고 기가 늘어난다. | 《의방유취·제풍식치(경험양방)》 | Coicis Semen |
77 | 곡류 | 좁쌀 | 신기(腎氣)를 자양(滋養)하고 비위(脾胃)의 열을 없애며 기(氣)를 더해준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비위(脾胃)를 돕는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7 | 곡류 | 좁쌀 | 소갈에 쓸 수 있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중품》 | |
77 | 곡류 | 좁쌀 | 비위(脾胃)를 보(補)한다. | ||
78 | 곡류 | 좁쌀로 만든 미숫가루 | 번열(煩熱)을 풀어 갈증과 설사를 멎게 하고, 대장을 튼튼하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8 | 곡류 | 좁쌀로 만든 미숫가루 | 대장을 튼튼하게 한다. | ||
79 | 곡류 | 좁쌀 뜨물 | 곽란(霍亂)으로 인한 번갈(煩渴)에 주로 쓴다. 시큼한 냄새가 나는 것이 상품이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79 | 곡류 | 좁쌀 뜨물 | 심한 갈증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다. | ||
80 | 곡류 | 좁쌀죽 윗물 | 갈증을 멎게 하고 곽란(霍亂)으로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며, 답답한 번열(煩熱)을 풀고 졸음을 쫓아준다. | 《동의보감·탕액·수부》 | |
80 | 곡류 | 좁쌀죽 윗물 | 식욕을 돋게 하고 소화를 돕습니다. 구역질이나 딸꾹질을 멎게 하고 피부를 부드럽고 희게 합니다. 다만 차갑게 해둔 좁쌀뜨물은 임신부에게 좋지 않습니다. | 《향약집성방·석부하품》 | |
81 | 곡류 | 찰기장쌀 | 대장(大腸)을 잘 통하게 한다. 오장의 기를 막아 풍(風)을 동하게 하므로 늘 먹어서는 안 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82 | 곡류 | 찹쌀 | 중초(中焦)를 보(補)하여 원기를 더함으로써 곽란(霍亂)을 멎게 한다. 먹으면 열이 많이 생기게 하여 대변이 굳는다. 여러 경락의 기운을 막히게 하여 사지가 말을 듣지 않게 되고 풍(風)을 일으키며, 어지러워 잠을 많이 자게 하니 많이 먹으면 안 된다. 오래 먹으면 몸이 물러진다. 고양이나 개가 먹으면 다리가 굽어져 제대로 돌아다니지 못한다. 사람의 근(筋)을 늘어지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82 | 곡류 | 찹쌀 | 속을 따뜻하게 하여 대변을 굳어지게 하니 아랫배가 찬 설사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하품》 | |
82 | 곡류 | 찹쌀 | 소화기가 약하여 자주 설사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 ||
82 | 곡류 | 찹쌀 | 진액(津液) 소모가 극심하여 생긴 갈증에 활용할 수 있다. | ||
83 | 곡류 | 피쌀 | 열을 다스린다. 기(氣)를 더하고 부족한 것을 보(補)한다. 많이 먹으면 냉기를 발동시키니 팔곡 중에서 가장 하품이다. 피쌀로 밥을 지어먹을 수는 있으나 찰지지 않고 그 맛이 담담하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83 | 곡류 | 피쌀 | 비위(脾胃)가 약한 사람에게 쓰면 좋다. | ||
84 | 곡류 | 흰 참깨 | 위장(胃腸)을 매끄럽게 하고 혈맥(血脈)을 통하게 하며 풍기(風氣)를 운행시키고 피부를 윤기 있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84 | 곡류 | 흰 참깨 | 선식으로 활용한다. | ||
85 | 곡류 | 참기름-(흰 참깨) | 삼초(三焦)의 열독(熱毒)을 내리고 대소장을 통하게 한다. 부작용으로 골수(骨髓)를 새나가게 하고 비장(脾腸)의 기(氣)를 크게 삭감한다. 회심통(蛔心痛)을 치료하고, 모든 기생충을 죽인다. 치아에 병이 있거나 비위(脾胃)에 병이 있는 사람은 절대로 먹으면 안 된다. | 《동의보감·탕액·곡부》 | |
85 | 곡류 | 참기름-(흰 참깨) | 기력이 쇠한 것을 치료하고 피부에 윤기를 더해줍니다. | 《향약집성방·미곡부상품》 | |
85 | 곡류 | 참기름(흰 참깨) | 변비에 좋다. | ||
85 | 곡류 | 참기름(흰 참깨) | 기생충을 없앤다. | ||
85 | 곡류 | 참기름(흰 참깨) | 악성 부스럼 초기에 화농(化膿)시키는 효능이 있다. | ||
85 | 곡류 | 참기름(흰 참깨) | 소아의 원인불명 열에 쓴다. | ||
100 | 견과류 | 개암 | 기력을 증강하고 위장(胃腸)을 편안하게 한다. 허기지지 않게 하고 위를 열며, 잘 걷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과부》 | |
100 | 견과류 | 개암 | 선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101 | 견과류 | 도토리 | 하리(下痢)에 주로 쓴다. 위장(胃腸)을 튼튼하게 하며 살을 찌운다. 삽장(澁腸)하여 설사를 멈추고, 굶주림을 채워서 흉년에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 | 《동의보감·탕액·목부》 | |
101 | 견과류 | 도토리 | 심한 설사를 치료하고 위장을 튼튼히 합니다. 먹으면 허기가 지지 않아서 선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향약집성방·목부하품》 | |
101 | 견과류 | 도토리 | 위장(胃腸)을 튼튼하게 한다. | ||
101 | 견과류 | 도토리 | 설사를 멎게 한다. | ||
102 | 견과류 | 밤 | 기를 더하고 위장(胃腸)을 튼튼하게 하며, 신기(腎氣)를 보(補)한다. 배고픔을 견디게 한다. | 《동의보감·탕액·과부》 | Castaneae Semen |
102 | 견과류 | 밤 | 소화기를 좋게 하고 허기지지 않게 합니다. | 《향약집성방·과부상품》 | Castaneae Semen |
102 | 견과류 | 밤 | 신장(腎腸)을 보(補)한다. | Castaneae Semen | |
102 | 견과류 | 밤 | 하지무력에 쓴다. | Castaneae Semen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kiom.re.kr | 한국한의학연구원 | 042-868-9526 | skkim@kiom.re.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20. KIOM.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품질측정기간 | 20201201~20201231 | |
---|---|---|---|
품질측정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89526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무결성, 유효성, 정확성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상이한 데이터에 한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